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123.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Sorghum-Sudan hybrid를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달리하여 silage를 제조하였을 때 이들이 silage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저 실시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황숙기(黃熟期)에 예취(刈取)하여 각(各)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1.0, 2.5 4.0cm로 하여 silage를 제조한 후 silage의 일반성분(一般成分),
        4,000원
        125.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저장병으로서 중요한 Fusarium solani, F. roscum, F. oxysporum 및 Erwinia carotovora를 분리 동정하고 수확후에 공시품종 Epicure, Irish Cobbler, 및 Superior의 괴경을 절단하여 각 온도의 습실에 1, 3, 5, 및 7일간 예치한 후 suberin 및 periderm 형성을 검경하였다. 그리고 위와 같이 처리한 괴경에 4종의 병원균을 접종하여 9일간 정치한 후 부패도를 조사하였다. 예치온도가 높을수록 또 그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보호막으로서의 suberin 및 periderm 형성이 증가하였으며 부패는 감소되었다. 공시균종간의 병원성, 품종에 대한 반응, 보호막 형성에도 차이가 있었으나 예치온도 및 기간의 효과가 부패방지에 더 중요하였다. 에서는 7일이내의 예치기간에 보호막은 거의 형성되지 않았으며 부패는 심하였고 에서는 대체로 이와 반대하였다. 그러므로 절상감자를 바로 에 냉장함은 피해여야 할 것으로 본다. 에서 3일 에서 5일이 지나면 부패되지 않았으며 suberin 및 periderm 형성은 중정도였다. 고온에서는 예치, 기간중에 기경이 부패되는 수도 있으므로 그 적온을 피하여 에 5일 이상 예치한 후에 저장하는 것이 실용적이라 생각된다.
        4,000원
        126.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rface electromyogram (sEMG), which is a bio-electrical signal originated from action potentials of nerves and muscle fibers activated by motor neurons, has been widely used for recognizing motion intention of robotic prosthesis for amputees because it enables a device to be operated intuitively by users without any artificial and additional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ining-free unsupervised sEMG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It is useful for the gesture recognition for the amputees from whom we cannot achieve motion labels for the previous supervis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we can classify the sEMG signals for gesture recognition and the calculated threshold probability value can be used as a sensitivity parameter for pattern registration. The proposed algorithm was verified by a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partial-hand amputation.
        12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evering tests of prestressing steel in old PSCI bridges were carried out. The behavior of the bridge i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and strain at midpoints of severing girder. The effects of severing some prestressing steel were not noticeable enough to be visible.
        129.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각칼슘 용액(0.5% 난각칼슘+0.5% 구연산)에 배추를 침지하고 탈수한 후, 절단(3×3 cm)하여 2주 동안 4℃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이화학적인 특성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절단배추의 중량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NT에 비하여 ET의 중량 감소율이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NT와 ET 모두 감소하였으며,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적정산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기간 동안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pH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결과적으로 NT의 pH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과 달리 ET의 pH는 감소하였다(p<0.05). NT와 ET의 외관을 비교한 결과 초기에는 NT가 우수하였으나, 저장 2주 후에는 NT에 비하여 ET의 외관이 밝고 깨끗하였다. 저장한 절단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CON, ET-K, NT-K 순으로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적정산도 또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값은 NT-K, ET-K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CON이 더 낮은 함량을 보였다. pH의 경우, NT-K가 더 낮은 pH 값을 보였으며, CON과 ET-K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관능검사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모든 구에서 외관은 색에 대한 기호도와 절임상태 모두 감소하였으며, 냄새는 젓갈내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 신내의 경우 ET-K가 NT-K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조직감은 ET-K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CON, NT-K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미는 짠맛과 젓갈맛이 증가한 반면, 생배추맛, 쓴맛, 탄산맛은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난각칼슘을 처리절단배추 김치(ET-K)는 일반 배추김치(CON)와 관능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난각칼슘을 처리하여 단기간 저장한 절단배추를 이용하여 품질이 양호한 김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130.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되고 있는 난각을 건조(80℃) 및 회화(1,000℃) 처리하여 칼슘 소재화하고 이의 농도(0.5, 1.0, 2.0%)를 달리하여 절단배추에 처리하여 polyethylene(PE) 지퍼백에 넣어 5℃에서 6주 동안 저장하면서 선도유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난각 칼슘 소재의 칼슘 함량은 회화처리(ESP-2)가 건조처리(ESP-1)보다 2배 가량 높은 값(51.86%)을 나타내었다. 난각 칼슘 소재는 citric acid 수용액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ESP-2가 ESP-1보다 용해도가 높았다. 절단배추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의 측정 결과, ESP-2 0.5% 처리구에서 중량감소율, 적정산도, 가용성 고형분 및 색차의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평가결과 각 처리구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ESP-2 0.5% 처리는 절단배추의 단기 저장 시 선도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13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pplied the ensemble model output statistics (EMOS) with truncated normal distribution, which are easy to implement postprocessing techniques, to calibrate probabilistic forecasts of wind speed that take the form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We also considered th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of EMOS, which were EMOS exchangeable model and reduced EMOS model. These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forecasts of wind speed over Pyeongchang area using 51 members of the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EPSG). The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rank histogram, mean absolute error, root mean square error and continuous ranked probability score. The results showed that EMOS models with truncated normal distribution performed better than the raw ensemble and ensemble mean. Especially, the reduced EMOS model exhibited better prediction skill than EMOS exchangeable model in most stations of study area.
        132.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단 배추의 포장재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알아보 기 위해 배추(3×3 cm)를 PP film, OPP film, LDPE film백에 각각 넣은 후 5℃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량은 0.03~0.24%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 분 함량은 0.03~0.2°Brix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 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PP film과 OPP film 포장구의 증가율이 낮았다. 색도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포장재에 따른 유의 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포장재 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관상 품질 특성은 PP film 포장구가 다른 포장보다 우수하였다. 따라 서 투명한 PP film으로 절단배추를 포장하여 저장 및 유통 하는 것이 선도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13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lung and respiratory disease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saponin and sugar content in P. grandiflorum root is dependent on the drying temperature and meth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aponins and antioxidant contents in dried P. grandiflorum roots either not cut or cut to different lengths. Methods and Results : P. grandiflorum roots were either cut to 0.5, 1.0 or 2.0 ㎝ in length or left uncut. They were dried at 45℃ and the effect of antioxidant substances, antioxidant ability, and saponin content were investigated. P. grandiflorum roots rapidly dried out when cut to short lengths. The saponin contents (platycodin D, polygalacin D, and deapioplatycodin D) was highest in the uncut P. grandiflorum roots. When the cut lengths were long, the levels of polyphenolic compound increased. However,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er in the samples cut to shorter length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aponin and antioxidant content of P. grandiflorum roots could be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drying rate of the roots via adjustments to the root cutting length.
        134.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용 절단배추의 선도유지 및 갈변 방지 목적으로 질소 치환 및 세라믹 칼날에 의한 절단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 5일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NC 처리구의 중량변화 와 갈변도가 적게 나타났다. 질소 치환과 세라믹 칼날의 사용에 의한 절단 공정의 개선이 절단채소의 선도 유지와 갈변 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35.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단 배추를 예열처리하고 LDPE 필름 포장하여 단기저장하면서 이화학적인 품질특성과 갈변도를 조사하였다. 40℃에서 1, 2, 4, 8시간동안 예열처리한 후 SDS-PAGE 법으로 단백질 밴드를 조사한 결과, 예열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HSP 밴드로 추정되는 60, 39, 33, 12 kDa 밴드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4시간 예열처리구(HS 4)가 가장 발현율이 높았으며 중량감소율도 적었다. 8주 동안 저장 중 예열처리한 절단배추의 중량감소율 및 적정산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4시간 예열처리구가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갈변도는 HS 4가 가장 적었다(Con>HS 1>HS 8>HS 2>HS 4, p<0.05). PPO활성은 저장 중 모든 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S 4가 가장 낮았고 총페놀성 화합물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감소하였다. 예열처리한 절단배추에서 HSP 밴드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4시간 예열처리구의 단기 저장 효과가 가장 좋았다.
        136.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추의 신선편이 제품화를 위하여 Ca²+용액을 처리하여 소포장 단기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추를 절단(3×3 cm)하여 2% calcium chloride(Ca), ascorbic acid(As), citric acid(Ct), 2% calcium chloride와 2% citric acid 용액(Ca/Ct)에 침지하여 LDPE 백(18×20 cm)에 넣어 5℃에서 6주간 저장하였다. 중량은 0.13~0.72% 감소하였으며, Ca/Ct구의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8.85~35.00% 감소하였으며, Ca/Ct구의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Hunter 색차계에 의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Ca/Ct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Ca²+과 citric acid 처리에 의하여 절단배추의 단기저장 시 선도가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138.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dip treatments of chemicals (ascorbic acid, cystein,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histidine: 1% solution) and medicinal herbs (Pueraria thunbergiana, Angelica gigas, Dioscorea japonica, Lindera strychifolia, Cnidium officinale, Astragalus membranaceus: 1% extracts), heat shock (40-60℃ water), and edible coating (albumin, dextrin, sucrose poly ester, whole soy flour: 0.5-4% solution)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Fuji' apples were studied. Among the each treatment methods, the surface browning of fresh-cut apples was best retarded by calcium chloride dip, Astragalus membranaceus dip, 45-50℃ heat shock, coating with 3% dextrin or 1% whole soy flou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heat shock, and edible coating can be used as alternative for the use of chemical agents for the antibrowning of fresh-cut apples
        139.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탄소섬유판 매립공법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섬유판 표면매립공법은 피복부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과 높이 부족 등으로 인하여 그 적용의 제한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전단 스터럽을 절단하고 탄소섬유판을 주철근의 위치에 표면매립 보강하는 공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반적인 표면매립공법과 스터럽을 절단하고 표면매립공법을 적용한 보에 대한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탄소섬유판의 길이를 실험변수로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전단 스터럽을 절단한 보강 보의 휨거동은 일반적인 표면매립공법이 적용된 실험체의 거동과 유사한 전형적인 휨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스터럽의 절단으로 인한 구조거동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일반적인 현장 여건에 의하여 탄소섬유판의 적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스터럽을 절단하는 본 공법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140.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ultrasound and ascorbic acid cotreatment on the browning inhibition and microbial growth of fresh-cut Tsugaru apples were investigated. The prepared samples were dipped in distilled water (Cont) or 1% (w/v) ascorbic acid solution (AA) and were then ultrasonicated in distilled water (US) or 1% (w/v) ascorbic acid solution (AA+US). The samples were then packed in a 0.04mm polypropylene bag (20×15 cm) and were stored at 10℃ for eight days. The AA+US treated samples showed high L* and low a*, b* values as well as inactivated PPO activity. The growth of the total aerobic bacteria also inhibited the AA+US treated samples mo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he samples. It was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at the ultrasonication treatment with ascorbic acid prevented the enzymatic browning of and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Tsugaru apple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