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2

        121.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용자 중심의 일상 생활용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네 유형의 스마트 자켓 사례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스마트 자켓은 내장되는 기기의 종류와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네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척도 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60개의 사용성 평가문항을 구성하였다 각 스마트 자켓 유형에 대한 사용성 평정 결과 10개의 대표 범주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유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범주 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켓 유형별 중요 요인이 서로 달랐으며, 이 결과는 사용성 평가 척도 개발 시 디자인하는 스마트 자켓 유형에 따라 고려해야 할 중요 사용성 요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성 평가 척도에서의 우선 순위도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
        122.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 visual analysis scale and functional visual analysis scale regarding functional capacity. A total of 7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complaint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ho received this diagnosis from a sports medicine physician were recruited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o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Functional Visual Analog Scale (FVAS), functional capacity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The exercise rehabilitation consisted of a complex training program requiring five treatments a week for eight week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our phases, and each lasted for two weeks. Statistical analyses wer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and FVAS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capacity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5). In conclusion, at the end of the eight weeks of this rehabilitation program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 significant reduction was found in VAS and FV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capacity at the end of the treatment.
        4,000원
        123.
        200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에서 발생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경우 처분장으로 이송되기 이전에 드럼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특히 핵종 재고량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드럼처리된 방사성폐기물의 경우 평가 대상 핵종 농도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자 직접측정이 어려운 경우 척도인자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96년부터 고리원전에서 척도인자 개념이 적용된 핵종분석장치를 운영해오고 있다. 그러나 고리원전에 적용된 척도인자의 경우 많은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따라서 현재 척도인자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범위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와 핵종 재고량 평가 방법 중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찾고자 통계적인 척도인자 평가 방법을 비교 평가했으며 이를 통해 고리원전에 사용된 산술평균 방법을 기하평균 방법으로 바꾸는 것이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럼내 핵종 재고량의 과대평가를 막고 합리적인 보수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4,000원
        124.
        200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n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from Nuclear Power Plant (NPP) requires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quantities of radionuclides in waste package. Most of these radionuclides are difficult to measure and expensive to assay. Thus it is suggested to the indirect method by which the concentration of the Difficult-to-Measure (DTM) nuclide is estimated using the correlations of concentration - it is called the scaling factor - between Easy-to-Measure (Key) nuclides and DTM nuclides with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Key nuclide. In general, the scaling factor is determined by the log mean average (LMA) method and the regression method. However, these methods are inadequate to apply to fission product nuclides and some activation product nuclides such as 14 and 90 . In this study,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ethod is suggest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SF determination methods - the LMA method and the regression method. The root mean squared errors (RMSE) of the ANN model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SF determination models for 14 and 90 in two parts divided by a training part and a validation part. The SF determination model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RMSEs as the following order: ANN model
        4,000원
        125.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rg Balance Scale (BBS) scores, Timed Up & Go (TUG),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and subject characteristics. All of the 18 subjects were women between the ages of 68 and 91 (mean=80.2, SD=5.43), and they all lived at the nursing home in Wonju. Balance was measured using BBS, and functional mobility was measured using TUG. FIM was used to evaluate functional independ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BBS and TUG (r=-.486,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otal FIM and BBS, TUG. The FIM items "locomotion" and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BBS and TUG. The results suggest that FIM may be able to predict dangerous falls in elderly people.
        4,000원
        126.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gait speed, and Timed Up & Go test (TUG) and to predict gait ability from subscale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 stroke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Bundang Jaesang General Hospital.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Fugl-Meyer Assessment scale and gait speed (m/s), TUG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item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except passive joint range of mo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eed and TUG. In particular, sensation score, lower extremity motor and coordination score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ait speed and TUG (p<.05). The sensation score and lower extremity motor score were important factors in comfortable gait and maximal gait speed.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comfortable gait and maximal gait speed were 63.0% and 65.0%, respectively. The sensation score and lower extremity coordination score were important factors in TUG.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TUG was 55.0%. These results showed that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eed and TUG. Therefore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predict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Further study about gait speed and TUG by change of Fugl-Meyer Assessment score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5,100원
        12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 for selecting the preferred alternatives of multiple Attribute Deeision-Making(MADM) problem using the Entropy measure. A decision-maker who wants to estimate exactly the weight to be applied to her/his MAD
        4,000원
        13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Berg Balance Scale, which is a clinical tool used to evaluate balance ability,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and falling; determined the parameters most closely related to falling; and identified a discriminatory parameter and its predictability. Thirty-four subjects aged 72 to 92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llowing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falling, the Berg Balance Scale and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cidence of falls increased with aging and an accompanying reduction in the flexion range of motion of the hip joint. The gait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who fell easily included a slower walking speed, shorter stride, and longer stance time than other elderly. When the cutoff score was set at 45, the Berg Balance Scale was able to identify correctly those individuals who truly have experience of falling than when the cutoff score was set at 39. But when the cutoff score was set at 39, the scale's specificity identifying correctly those individuals who truly have not experience of falling was higher than at the cutoff score of 45. Therefore, the Berg Balance Scale is an appropriate screening method in a clinical setting for the early detection of elderly people at risk of falling. In conclusion, elderly people with a Berg Balance Scale score. below 45 are the most likely to fall owing to their decreased balance ability.
        5,400원
        132.
        200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ertification of software products can provide a greater level of acceptance and feeling of security to customers of these products. This paper presents a certification method for the quality of package software. First of all, the evaluation criteria are derived from IS0/1EC 9126 and 12119 standards, and then the evaluation module are designed considering the measurement scale type.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construct the certification scheme of software product quality for the commercial purpose.
        4,000원
        13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향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향 감성평가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향의 감성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향 감성평가 척도제작을 위해 향 감성관련 형용사를 수집한 다음, 37개의 향 감성 형용사를 선발하여 양극 7점 척도로 구성된 척도를 작성하였다. 304명의 실험 참여자는 집단실험에 참여하여 향 감성을 평정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2주 후에 동일한 절차와 조건에서 53명의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고 요인부하가 한 요인에 많이 차지하는 25개의 형용사를 최종 선택하여 양극 7점 척도로 이루어진 향 감성평가 척도를 제작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10대, 20대, 30∼40대 남녀 각각 24명씩으로 개별 실험을 통해 cederwood oil, peppermint oil, rose oil, grapefruit oil, teebaum oil의 다섯 가지 향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향 감성구조는 '심미성', '강도', '낭만성', '자연성', '개성'의 다섯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혔다. 연령에 따른 향 감성구조는 유사하였으나 향 종류별 감성구조는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4,000원
        134.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scale in fashion sensibility. Base on the Fashion Magazines and free word association method, 919 affective words were condensed into 36 semantic differential bi-polar scales. 128 male and 128 female in Pusan rated their Fashion Sensibility by 87 kinds of costume samples from photograph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color, detail and trimming, pattern, textile. The obtained data analyzed by Cronbach α,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o consider of the reliability, tranquility, and resemblance among the mea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cleary that aesthetics, maturity character, and femininity masculinity etc were consisted of Fashion Sensibility and 25 item of affective words of Fashion Sensibility and 25 item of affective words of Fashion Sensibility were constructed.
        4,000원
        13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designed to 1) understand customers' choice behavior and preference of foodservices in campus and 2) provide recommendation on management strategies for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r. Individual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used to identify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480 Yonsei university student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7.5 for descriptive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onjoi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Students evaluated four foodservices in different ways, and strength/weakness points could be identified from the evaluation patterns. Most students(51.1%) were frequently used 'A' foodservice, though they preferred other foodservices, and cost, mainly, caused the difference. Perceptual map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that preference and patronage were close with different attributes. Cost was most relatively important attribute to select foodservice in campus from conjoint analysis. Therefore,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in customer preference survey for constructing management plan.
        4,000원
        138.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의 시스템들이 가지는 고기능화와 자동화로 인하여 인간의 운용 능력이 점점 더 중요한 능력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인지넉 복잡도를 제어하는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경험해야 하는 인지적 복잡도를 스키마 구조를 반영하여 정량화하는 엔트로피 모형(윤완철, 1992)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겪게 될 인지적 복잡도를 예측하는 척도가 제안되었으며 실험적으로 검증되었다. 엔트로피와 시스템 크기-조작의 수와 상태의 수-가 각각 다른 세 가지 인터페이스 (엔트로피가 낮고 작은 크기의 인터페이스, 엔트로피가 높고 작은 크기의 인터페이스, 엔트로피가 높고 큰 크기의 인티페이스)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피험자이 학습하고, 이에 대해 검사를 받았다. 제안된 척도인 시스템 엔트로피는 사용자 수행도를 잘 설명하였지만, 시스템의 크기는 그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겪게 될 인지적 복잡도를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하지 않는 방법을 통하여 평가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가전제품이나 스프트웨어의 디자인의 평가와 개선 등 인간의 인지적 복잡도가 사용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서 유용하리라 여겨진다.
        4,000원
        139.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품의 “감성이미지”란 제품의 기능과 함께 제품의 전달하는 감각적 요소 그리고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적 표상을 통합하는 이미지이다. 감성이미지의 국제 비교 연구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구가나 문화의 맥락 속에서 해석하고, 이들 이미지를 상호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생활문하 속에서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해 가지는 감성이미지를 계량적으로 규명하고 비교 평가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각국의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활동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었다. 먼저, 각 문화 집단을 특징 지울 수 있는 표상개념으로 “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구성하였다. 이 언어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자인 요소로 색채를 활용하여, 언어 개념과 색채 요소에 상응하는 자동차 제품의 감성 이미지가 각 문화 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각 문화 집단들이 특정 제품에 대해 적용하는 감성 이미지는 언어와 색체 요소로 구체화 될 뿐 아니라, 이들 집단이 형성한 사회적 표상(social representation)의 개념으로 비교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