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4

        121.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이지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과 우리 전통된장을 접목하여 허브를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고자 된장의 염도와 세이지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조건을 얻고자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은 1.20~2.70, 냄새는 1.60~3.20, 맛은 1.40~3.50, 조직감은 1.60~3.50, 전반적인 기호도는 1.60~3.05의 값을 나타내어 실험구의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차회귀식에 의하여 형성된 반응표면 분석
        122.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사과의 주스 가공과정에서 patulin 함량 최소 방법을 모니터링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으로 ascorbic acid 첨가량(100, 200, 300 및 400 ppm)과 활성탄 사용량(50, 100, 150 및 200 ppm)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건에서 사과주스를 제조한 결과 patulin 잔류량은 ascorbic acid 함량 237.77 ppm, 활성탄 함량 106.58 ppm에서 최소점을 나타내었다가 점차
        123.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124.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experimental design methodology in the optimization condition of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Rhodamine B(RhB). The reactions of electrochemical oxidation were mathematically describ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amounts of current, NaCl dosage, pH and time being modeled by the use of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which was used for fitting quadratic response surface model. The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CCD) technique yield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val efficiency of RhB and test variable in actual variables: RhB removal (%) = 3.977 + 23.279․Current + 49.124․NaCl - 5.539․pH - 8.863 ․time - 22.710․Current․NaCl + 5.409․Current․time + 2.390․NaCl․time + 1.061․pH․time - 0.570․time2. The model predicted also agree with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R2 = 91.9%).
        125.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메밀새싹의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 총 페놀, -glucosidase 저해활성능, 및 ACE 저해활성능에 대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온도(), 추출시간(0~12 hr) 및 에탄올 농도(0~100%)를 달리하였을 때 반응 표면 회귀식의 R2는 수율, 총 페놀, -glucosidase 저해활성능 및 ACE 저해활성능에서 각각 0.9461(p-glucosidase 저해활성능 및 ACE 저해
        126.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퉁퉁마디의 에탄올 추출조건에 따른 당도,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에 대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용매에 대한 시료비(/100 mL), 추출온도() 및 에탄올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당도,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에서 각각 0.7866(p/100 mL, 추출온도 , 에탄올 농도 로 나타났다. 최적 추출조건범위내의 임의의 조건
        127.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도토리를 이용한 기능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토리의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온도 , 추출시간 시간, 용매비 mL/g을 중심합성계획법으로 16개의 구간으로 하여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전자공여능, 항산화능 및 아질산 염소거작용 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온도 , 추출시 간 4.08 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39 mL/
        128.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화과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하여 무화과의 추출조건에 따른 무화과 유용성분의 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수율의 최대값은 66.46%이었으며,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08 mL/g,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 148.04 min이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87 mL/g,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 130.80 min에서 최대 값 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에 대한
        129.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동결 파운드 케이크의 배합비를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여러 가지 동결방지제의 함량을 조절하여 결정하였다. 수분함량만이 동결방지제 함량과 선형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반응변수들은 quadratic모형으로 나타났다. 비동결 파운드 케이크에 제조시 함유되는 당류의 최적 배합비는 7736 : 0.0 : 20.4, 60.0 : 32.8 : 16.4, 70.8 : 11.2 : 19.6와 같이 3가지로 제시되었다. 최적배합비로 제조한 파운드 케이크의 냉동
        130.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 및 농산물의 생리적 활성에 대하여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조건별로 마늘의 유효성분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열수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용매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lin allicin 및 total thiosulfinate는 추출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고
        131.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마를 채취한 그대로 이용하는 데에는 생체 보존에 따른 불편, 독성 그리고 자극성 등의 부작용으로 간단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마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을 위한 전처리 과정 중 건조 조건별로 천마의 이화학적 특성을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건조조건을 설정하였다. 천마 건조물의 수분활성도는 건조온도 , 건조시간 7.17 hr에서 가장 높은 간을 나타내었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 8.74hr에서, 전자
        133.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반응표면분석 결과 고형분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이상 온도, 시간, 총산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의 온도, 시간, 페놀성 화합물은 25배의 용매비, 의 온도, 시간, 환원당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이상의 온도, 시간, 비타민 C는 25배 이상의 용매비, 의 추출 온도와 시간의 추출조건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나타내었고,
        134.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마를 건강기능식품가공소재로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공 중 일어날 수 있는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과정중 추출조건별로 천마의 유효성분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천마 열수 추출물의 vanillyl alcohol 함량은 추출온도 , 추출시간 2.64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5.16 mL/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vanil
        135.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외를 이용한 적절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참외잼을 제조하였으며, 참외잼에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참외 페이스트 함량(40, 45, 50, 55, 60 g), 첨가당에 대한 과당의 비율(20, 35, 50, 65, ) 및 펙틴함량(1.0, 2.0, 3.0, 4.0, 5.0 g)을 달리하면서 참외잼을 제조하였다. 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참외잼 제조조건은 첨가된 과당함량의 비율이 , 참외페이스트의 함량이 41.04 g 및 펙틴함량이 2.12
        136.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talytic wet oxidation of trichloroethylene (TCE) in water has been conducted using TiO2-supported cobalt oxides at 36oC with a weight hourly space velocity of 7,500 h-1. 5% CoOx/TiO2, prepared by using an incipient wetness technique, might be the most promising catalyst for the wet oxidation although it exhibited a transient behavior in time on-stream activity. Not only could the bare support be inactive for the wet decomposition reaction, but no TCE removal also occurred by the process of adsorption on TiO2 surface. The catalytic activity was independent of all particle sizes used, thereby representing no mass transfer limitation in intraparticle diffusion. XPS spectra of both fresh and used Co surfaces gave different surface spectral features for each CoOx. Co 2p3/2 binding energy for Co species in the fresh catalyst appeared at 781.3 eV,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chemical states of CoTiOx such as Co2TiO4 and CoTiO3. The used catalyst exhibited a 780.3-eV main peak with a satellite structure at 795.8 eV. Based on XPS spectra of reference Co compound, the TCE-exposed Co surfaces could be assigned to be in the form of mainly Co3O4. XRD patterns for 5% CoOx/TiO2 catalyst indicated that the phase structure of Co species in the catalyst even before reaction is quite comparable to the diffraction lines of external Co3O4 standard. A model structure of CoOx present predominantly on titania surfaces would be Co3O4, encapsulated in thin-film CoTiOx species consisting of Co2TiO4 and CoTiO3, which may be active for the decomposition of TCE in a flow of water.
        13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용액 내 캐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의 표면화학 특성을 전위차 적정 실험과 FITEQL3.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표면복합반응 모델 중 일정용량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표면을 사면체 자리와 팔면체 자리로 나누어 설정한 2 sites - 3 pKa/s 모델은 캐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의 표면화학 특성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였다. 두 점토광물 표면은 pH 4 이상에서 음전하를 띄며 pH가 높아질수록 양성자 표면 전하 밀도는 낮아진다. 산성 및 중성 영역에선 Si 사리(≡SiO- )가, 염기성 영역에선 Al 자리(≡AlO-)가 양이온을 흡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델링 결과 캐올리나이트의 경우 pKa2(si) /int, p Kal(Al) /int /, pKa2 (Al)int /는 각각 4.436. 4.564, 및 8.461이며, 할로이사이트의 경우는 각각 7.852, 3.885, 7.084이다. 캐올리나이트의 총 Si 표면자리 농도와 총 Al 표면자리 농도는 0.215와 0.148 mM이며, 할로이사이트의 경우는 0.357과 0.246 mM이다 두 광물 모두 Si 표면자리 밀도 : Al 표면자리 밀도가 1 : 0.69로 비슷하다. 캐올리나이트의 총 표면자리 밀도는 3.774 sites/nm2로 할로이사이트의 2.292 sites/n m2 값보다 약 1.6배정도 높다.다.
        13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ngle and combined effect of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according to the pH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and to develope Response surface model for the effect of concentrations of garlic extract. The results of electric conductibil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growing in the range of incubation temperature (25~42℃), pH (5.5~9.0) and concentration of garlic juice (0~0.8%) showed that a badge with high temperature had low D.T.value and concentration of garlic extrac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T.value (p<0.01).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the condition of 37℃ and pH 7.0 presented the lowest D.T.value.
        139.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타블렛의 영양성과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재료로 유자, 사과, 당근, 표고버섯의 혼합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검토하였다. 당근분말은 0.75 g 첨가시에 타블렛의 견고성이 낮았으며, 표고버섯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이 증가하였다. 사과는 1.0 g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표고버섯 및 당근의 첨가량이 견고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김치 타블렛의 hue angle은 유자, 사과, 당근 및 표고버섯의 첨가량이 0.5 g 이하 및 1.
        140.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충하초를 음료로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로 열수추출공정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하였다. 추출시간에 따라서는 큰 변화가 없어 추출온도와 농도를 요인변수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열수추출액의 당도(brix)와 고형분 함량은 농도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액의 탁도와 총당, 환원당 및 단백질 함량은 낮은 농도에서 추출수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반응변수 모두 농도에 대하여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립된 이차 회귀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