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0

        12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남북한의 경제교류 증대 및 개성공단의 발전에 따라 남북한의 물동량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천과 개성 사이의 물류 수송을 위하여 육상수송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물류 수송 및 수송로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천과 개성 사이의 바지 운송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고찰한다. 적은 초기 투자비용, 적하역 및 접안 편이성 등과 같은 유리한 점을 가진 바지 운송시스템은 유럽 및 미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바지 운송 항로, 해상 물동량 및 바지와 푸셔로 구성되는 바지 선단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 그 다음에 바지 해상항로 조건 및 바지 선단 등에 기초하여 바지 및 푸셔의 선형 및 일반배치 설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바지 항로 운영 방안, 적하역 시설, 물류 센터 및 복합 수송 등과 같은 바지 해상항로 구축 방안에 대하여 고찰한다.
        4,000원
        12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완도항은 서남해안 물류거점의 항만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항만 시스템 개선 사업을 수년전부터 활발하게 계획하고 있으며, 그중에 항만 내 선박 통항 시스템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완도항만 및 그 인근 해역의 전반적인 해상교통 시스템을 살펴보고, 보다 효율적인 해상교통 시스템의 확보를 위한 기존의 시스템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항만내 항로, 항만 내외의 묘박지에 대한 효율성을 검토하여 새롭게 제안하였다.
        4,000원
        12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로부터 선장은 경험적으로 기상, 선박 제원 상태 및 운항 일정을 고려하여 최적의 항로를 선택하여 항해하여 왔다. 이는 선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류나 파랑에 대한 기상 예보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항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아직까지 선상에서 항로 결정을 보조해주는 디지털화한 시스템은 그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운항 효율성과 안전성의 관점에서 구성된 선상 최적 항로 안전 평가 시스템을 소개한다. 선사와 선장이 요구하는 효율적인 항해를 위해서는 도착예정시간 및 연료소모량을 최소로 하는 최적 항로를 구한다. 이는 선박의 파랑 중 부가저항에 기초를 둔 선속 저하 빚 마력 증가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안전성 관점에서는 3D 판넬법에 기초를 둔 선박의 내항 계산을 본 시스템에서 구현하여 내항 평가를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선박의 항로 안전 계획 및 평가를 위한 보조 수단이다.
        4,000원
        12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항 인근해역은 해상교통량이 많고, 해양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목포구에서 목포항까지의 수역에는 협수로 형성 안개 발생 빈번, 항로 폭 협소, 천수 구역 존재, 소형 어선과 여객선 등에 의한 특정 시간대 항내 교통량이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목포항만 수역내 해상안전의 위해요소 및 해상교통환경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여 해상교통흐름에 대한 해상교통특성을 도출하여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환경스트레스를 평가하고자 한다.
        4,000원
        12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컨테이너 선박 및 고속선 등과 같은 고속선박의 등장으로 해상에서의 선박 속력은 이전보다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정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현행 교통 밀집해역에서의 속력규제는 수십년전의 규정으로 현재의 교통상황에 잘 부합되지 않는 제도라고 사료된다. 특히 그 해역을 항행하고 있는 선박운항자의 주장으로 인천항의 속력규제 폐지, 광양항의 속력규제 완화 등 속력규제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지만 이러한 협수로에서의 속력규제에 대하여 수치화되거나 정량화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항로에서의 통항선박의 흐름을 재현한 후, 선박운항자의 선박운항 부담감을 정량화한 환경스트레스 모델(ES Model)을 이용하여 속력규제에 대하여 분석하여 최대속력규제의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12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낙도보조항로의 운영현황과 선박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낙도보조항로 선박 이용자를 중심으로 1,0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서비스 만족도 정도를 심층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전체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약 2.8점 정도로 보통수준보다 약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낙도보조항로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 정도가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낙도보조항로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시 이들 내용이 충분히 검토되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 뒷받침이 요구된다.
        3,000원
        12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항은 부산항과 더불어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 처리 Two Port System의 한축으로 개발 중인 동북아 중심항만(Hub Port)으로서 향후 2011년까지 총 33개의 컨테이너 선적 등이 개발 추진 중에 있어 해상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거대선·위험화물운반선·고속여객선의 통항이 빈번하여 대형사고의 발생우려가 상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항을 이용하는 선박의 입출항 항로 등에 대한 해상교통환경을 면밀히 분석·평가하고, 통항로 및 항행보조시설 등의 적정성 검토를 통하여 미래 지향적이고 안전한 해상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항로를 설정한다.
        4,000원
        12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낙도보조항로의 운영실태와 발달과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낙도보조항로는 14개 사업자가 U개 항로에서 총 30척 선박으로 낙도주민을 위한 안정적인 생활교통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항로별 수송실적을 분석한 결과, 낙도보조 항로를 이용하는 여객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선박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운영사업체별로 경영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보다 구조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낙도보조항로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4,000원
        12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 인근해역 특히 목포구 외측수역은 항로지정이 되어 있지 않고, 시하도 이남부터는 해상교통관제도 실시되고 있지 않으며, 항로가 여러 지점에서 교차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목포 인근해역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고, 해상교통환경 및 국내.외 항로설계기준을 검토하여 목포 인근해역의 항로를 설계하였다.
        4,000원
        13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교통시스템은 선박, 조선자, 선박과 조선자를 둘러싼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행환경은 조선환경, 교통환경, 정보사회환경으로 분류하며, 항로설계는 조선환경의 일부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항만설비 중 항로설계기준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선자의 입장에서 직선항로와 항로만곡부에서의 조선부담감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환경스트레스모델을 이용하여 대상항로에서 항로폭, 선박전장, 선속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선박조종 난이도를 평가하고, 그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조선부담의 경감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13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s the coastal trading is being increased rapidly, risk of collision being increased especially in the coastal route near around the port of Wando. In this paper, with the reference to various literatures and papers on collision avoidance rules, the navigational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coastal area-especially for the narrow channel-are construed and introduced in brief. Also, 3 collision cases near around the port of Wando and statistical data during 5 years(1996 to 2000) a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separate the route of east-bound and west-bound in this area due to removing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vessels in reciprocal way. 2. The owner of the fleet should lead that the master should con the vessel by himself when passing this area. 3.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oastal VTS,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apability to cooperate with military radar sites which based on all over the coast.
        5,400원
        132.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channel of Pudo-sudo in Chinhae-Ma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ject of the port of Masan, by investigating the design criteria of harbour facilities for the maximum sized ship. The new deep-water route was proposed and according to it the present separation scheme was adjusted appropriately. The width of the deep-water route is suggested to be 350m and would be wide enough for the 30,000 DWT container ship to go through However, the proposed channel will be tested and validated by the shiphandling simulator.
        4,000원
        133.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afety of the would-be approach channel of LNG Terminal at Kwangyang Harbour, by utilizing Captains 2000 port-design simulator. Six competent shipmasters or navig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model ship was a 70,200DWT (138,000m3) LNG carri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maximum flood-and-ebb current condition and wind condition. To evaluate the navigational safety, two categories were analyzed, which were measures of vessel's proximity and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the worst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ransit safety, it was concluded that the would-be approach channel was safe on basis of the support of four tugs of 3,200hp or more and current speed of 0.5knots or less.
        4,300원
        134.
        1997.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ork aims at examining the navigational safety of the entrance channels of Masan harbour and suggesting the way to improve ships' navigational safety through the channels. It has been found, from the on-scene investigation of the navigational safety at Masan, that the depth of the Budo-Sudo channel is not deep enough to cater for the largest vessel visiting the harbour, and that the No.2 navigational channel is not wide enough for the vessel. An additional new waterway, therefore, has been recommended to be established in the south of the Budo-Sudo channel so that the deep draft vessel can detour. The No.2 navigational channel has been recommended to be widen. The width of the channel was suggested to be 280 meters. A waterway design simula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o examine the safety of the newly suggested channels. New channels have been proved to be safe from the experiment.
        5,100원
        135.
        199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ork aims at examining the navigational safety of the entrance channel of Inchon harbour and suggesting the way to improve ship's navigation of the navigational safety at Inchon, that small ships such as fishing boats and barges coming out of the harbour through the East Channel cause major threat to the inbound large ships using the channel. An additional new waterway, therefore, has been recommended to be established in the middle of the East and West Channels so that the outbound small ships can use it. A waterway design simula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o examin the sagety of the newly suggested channel. Minor chansge has been made to the original design after the simulation experiment, and the corrected final design of the waterway has been suggested to be im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6,000원
        136.
        199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studies carried out in recent years have provied much new information about channel widths and alignment, they are not consistent in their resul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ariations in local condition and type of traffic accommodated, the dimensions of the channel widths vary over a wide range. Therefore, the recommendation made by the maritime engineering organizations over the world, do not offer detailed and decisive optimal design criteria and are all different. It, therefore, was attempted in this paper to draw a decisive guideline on the optimal widths and alignment of the navigational channels, which can be utilized by the port designers at the stage of the planning. The guideline was draw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guidelines of the U.S.A, Japan and PIANC and simulation experiment. The simul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Off Line Port and Waterway Design Simulator" to find the optimal dimensions of the widths of the navigational channels. 90 different simulation runs were conducted at the 3 different secenario channels. New guidelin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usefully by the Korean port designers when designing the rapodly developing ports in Korea. in Korea.
        5,100원
        137.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제주간 선로상에서 정박중일 때와 항행중일 때 Loran C 위치를 관측하여 시간대별, 지역별, 침로별 위치의 정도와 편위오차를 수정하여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야간별 위치의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고, 수신점주위에 높은 산이 있을 경우 편위거리의 오차가 더욱 커졌다. 2. 정박중과 항행중에 편위거리의 평균치는 각각 0.188, 0.452마일이었고, 침로의 변화에 따른 측위오차의 변동은 거의 없었다. 3. 위치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속도보정과 측지계변환만으로도 정도가 높은 위치를 구할 수 있었다
        4,000원
        138.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무권의 선로내에 관측선을 정하고 통항선박의 선적을 연속측정한 자료로서 항행중의 위험성과 조선상의 여유와 부담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항행중의 위험성은 동항할 때 모두 항로의 동부보다 중앙부와 서부에서 비교적 높았다. 2. 조선상의 여유는 동항할 때는 선로의 서부, 서항할 때는 선로의 중앙부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서부입구에서는 동항할 때나 서항할 때 모두 가장 낮았다. 3. 조선상의 여유는 동항할 때나 서항할 때 모두 항로의 서부에서 높았고 동부에서 낮았다. 4. 조종성지수 T', K'는 모두 좌초위험지수 R에 영향을 미치나 T'가 K'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9.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로표지는 선박에게 위치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양사고 예방 및 해양환경 보호 등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항로 표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무역항을 입출항하는 선박에 톤당 24원의 항로표지이용료가 징수되고 있다. 그러나 24원의 항로표지이용료는 1999년에 책정된 이후 현재까지 유지되어 오고 있는 반면, 해운 및 항만 4.0 시대변화에 따라 자율운항 선박 및 스마트 항만운영 등을 위한 항로표지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해운 및 항만산업의 변화에 따른 적정한 항로 표지이용료의 추정에 있으며, 이를 위해 평택청을 대상으로 총괄원가를 회수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항로표지이용료 추정은 연도별 및 누적 환산 연도별 2가지와 항로표지이용료 징수대상이 무역항 이용 선박임으로 평택청의 항로표지를 전체와 대상 항로표지로 구분한 총 4가지 경우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평택청의 항로표지이용료는 53.78-71.62원(2019년 기준)으로 현재 24원보다 29.78-47.62원이 높게 추정되어 인상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항로표지의 역할을 고려한 관련 예산 운영과 정책 운용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40.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로표지는 선박에 대하여 등광, 형상, 색채, 음향, 전파 등을 수단으로 운항 선박에게 위치, 방향 및 장애물의 위치 등을 알려주는 항행보조시설 일체를 의미하며, 주야간 선박항행의 안전을 위한 기본 수단이다. 예인선은 안전을 위해 종류별 최소 설비요건을 마련하여 사고를 대비하고 있지만, 예인삭의 길이, 조류의 영향,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부선의 타력으로 인한 영향 등으로 예인선과 선회권이 달라, 변침 시 부선이 예인선을 따라가지 못하여 등부표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선박의 물리적 관계를 분석하여 예인선 열을 식별하고 등부표와의 위험을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을 통해 전파하는 기초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통해 예부선의 사전 식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위험 전파를 위한 메시지를 설계하고 모의 시스템을 통한 위험 전파 및 전자해도 상에 위험을 표시하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