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3

        121.
        2002.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terial of Rhodiola sachatinensis collected from an alpine region of the west-northern China. For analysing the effect, 1 used Rhodiola sachatinensis's rhizome and cultivated callus. In EtOAc, BuOH, H2O separation the plant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ut not in Hexane.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EtOAc(RC50,35(g), BuOH(RC50, 43(g), H20(RC50, 50(g) fraction and MeOH extract(RC50, 50(g) of the Rhodiola sachatinensis was comparable to that of synthetic antioxidant BHA(RC50, 14(g) and α-Tocopherol(RC50, 12(g).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ere 18,009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val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as 46.93%.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ere 32,435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valine, histidine, lysine and leuc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as 56.07%. was 56.07%.
        122.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fty-four Korean native and 28 foreign rice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were examin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that is measured to a chemiluminescence and superoxide radical intensity, by the flow injection chemiluminescence (FI-CL) system and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photometer, respectively. In the chemiluminescence measurement by FI-CL, radical scavenger activ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rice varieties between origin types of rice varieties, and between storage periods. GinSun and Hongchoengdo, colored rice exhibited high electron scavenging effect by ESR.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gments of rice varieties may play important antioxidative roles and that it may be possible to breed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123.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preve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 on several tumor cells and Chinese hamster V7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effect on the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U937)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otoxicity of H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may useful as potential soures of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124.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xty local soybean cultivars were evaluated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by superoxide dismutase (SOD),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hiobarbituric acid(TBA), and chemiluminescence using the FI-CL system. Soybean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were grown over two years (1997 and 1998) for measuring antioxidative activity in soybean seeds. There were differences in antioxidative activity depen-ding on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variation of the crop year. Soybeans from Kwangyang-shi-1 (76.78%) in 1997 and Kangjin-gun-3(79.14%) in 1998 showed the highest SOD activity, whereas those from Hwasoon-gun (80.43%) in 1997 and Kangjin-gun-2 (49.82 %) in 1998 exhibited the highest DPPH activity. Soybeans from Chongup-gun-2 (75.77%) in 1997 and from Yochon-shi-5 (69.17%) in 1998 exhibited the highest TBA activity, and those from Jinahn-gun (48.99%) in 1997 and Kohung-gun (49.73%) in 1998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using the chemiluminescence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possible to develop soybean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125.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백피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로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하여 lard emulsion에 첨가하여 6에서 저장하면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분획물의 첨가농도의 결정 및 기질특이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생체내에서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흰쥐 간 micmsome 을 사용하여 유도된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백피의 추출물
        126.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ctivity of rice grain using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nd 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 and germination ability for screening rice varieties with high antioxidative activities on korean native and foreign rice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The average antioxidative activity of foreign rice varieties (DPPH 63.5% and TBA 5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ative rice varieties (DPPH 47.2% and TBA 45.6%) on varieties harvested in 1999. The promptness index (PI) of native rice varieties was higher in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mean PI=160.7)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a year (mean PI=141.6). On the other hand, the PI of foreign rice varieties was higher in stored rices stored for a year (mean PI=176.7)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mean PI=157.5). Varieties with high redness of hulled rice (a-value) showed significant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to DPPH in a stored rices for a year (r=0.5744** ) and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r=0.5630** )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gments of hulled rice varieties may play important antioxidative roles and colored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can be developed and also may provide information with rice breeder to breed rice variety with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for a rapid screening of a small amounts of a large number of samples using color value.
        127.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tent of anthocyanin, cyanidin 3-glucoside (C3G) and the peonidin 3-glucoside (P3G) from 591 rice cultivars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OH extract from 8 rice cultivars were evaluated. Among them, C3G content of pigmented rice were ranged from 0 to 451.9mg in 100 g brown rice, while the P3G contents were in the range from 0 to 42.7mg in 100g brown ric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3G and P3G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ranged from 0 to 475.1mg in 100g brown rice. The antioxidative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2,2-diphenyl-picryl-hydrazyl) radical of MeOH extracts from rice grai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rs. The activity of blockish purple pericarp rice cultivars was twice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Especial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Heugjinjubyeo was four times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rice extracts was related to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s of the extracts.
        128.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유지에 대한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돈지에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을 가하여 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으며, 고구마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목포18이 율미보다, 껍질부위가 속부위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페놀화합물 3개 분획 중
        129.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한 서양 향신 허브식물의 무기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 효과를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시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서양 허브식물은 여러 가지 종류의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허브 종류별 무기물 함량은 매우 상이하였다. 캄슘함량은 borage, chicory에서 높았고 칼륨은 comfrey, borage, Parsley에서 철분은 coriander, comfrey에서 높았다. 2. 19종의 서양 허브식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작용 검색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검색한 결과 spearmint, marjoram, sweet basil 및 rosemary 식물의 추출물에서 tocopherol, BHA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매별 분획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검토한 결과 MeOH ext.에서 효과를 타나내지 못한 herb종류도 용매분획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낼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3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로구터 그 수액이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어온 고로쇠나무의 줄기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성분을 찾기위하여 실험에 착수하였으며, 그 MeOH추출물의 ETOAc분획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scopoletin, isoscopoletin, (-) -epicatechin등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scopoletin과 isoscopoletin은 BHA나 α-tocopherol보다 활성이 약하였으나 (RC50 : 120, 110 mug), (-)-epicatechin의 항산화활성 (RC50 : 7.5 mug)은 BHA나 α-tocopherol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131.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eral compon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tometry. The mineral component cont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Fe < Na < Mg < Ca < P < K.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on refined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the rancimat method,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Blum added to the refined perilla oil was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fashion in concentration of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Th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for their antioxidation stability were also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tioxidation stability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132.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toporphyrinogen oxidase(Protox) 저해형 제초제로 알려진 oxyfluorfen(OF), acifluorfen(AF), bifenox(BF) 및 oxadiazon(OD)에 대해 밀이 보리보다 특이적으로 내성을 보인 요인이 이들 제초제 처리로 인하여 발생된 singlet oxygen을 무독화할 수 있는 항산화효소 및 항산화제의 능력 차이와 Protox 저해에 의한 protoporphyrin Ⅸ(PPIX)의 축적량에 기인하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내성을 보인 밀과 감수성을 보인 보리에 OF, AF, BF 및 OD을 106 M로 침지처리후 광에 2, 4, 6 및 8시간 경과후에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본 결과, 이들 네 가지 약제 처리 후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MDAR), catalase(CAL) 및 superoxide dismutase(SOD)의 활성은 밀보다 보리에서 활성의 감소폭이 컸다. POX 활성은 OF 처리후 단지 8시간에만 밀보다 보리에서 활성이 적었을 뿐, 그밖의 AF, BF 및 OD 처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GR활성은 4약제 처리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밀과 보리간에 활성의 차이는 없었다. 네 가지 약제 처리 후 항산화제인 vitamin C 함량은 밀보다 보리에서 함량 감소가 컸었다. Vitamin E는 OF처리에서만 밀이 보리보다 함량 감소가 적었을 뿐 그 밖의 약제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carotenoid 함량은 AF처리에서만 밀이 보리보다 함량 감소가 적었을 뿐 그 밖의 약제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Glutathione(GSH, GSSG) 함량은 네 가지 약제처리 모두 밀보다 보리에서 함량이 많았다. 이들 약제 처리후 PPIX 축적량은 밀보다 보리에서 많았고, 특히 OF및 AF 처리에서는 각각 밀보다 보리에서 2.3배 및 1.3배가 더 많이 축적되었다.지는 않았지만 공연전체를 통하여 무대장치 및 의상에 변화를 주지 않음으로써 이 작품의 초시한성과 복식이미저리를 오히려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공연의 의상 계획은 복식 이미저리의 역설적인 한 표현으로 분석되었으며 관객에게 등장인물의 외곤은 그 실체를 그대로 반영한다는 Shakespeare 본래의 의도를 잘 보여주는 의상계획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hakespeare극의 무대의상 디자인 및 제작시 무대의상이 단순한 무대의상 그 이상의 의미로 고려되어져야 함을 보여주며 이는 관객에세 의미 깊은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여 각 대학별로 그 특성에 맞는 세분화되고 심도있는 전공교육과정을 개발 발전시켜 야 할 것이다 둘째 산업체 방문 산업체인사와의 면담 및 특강 등 산학협력을 좀더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산업체 현장 연수를 실질적으로 도입하여 산업체의 인력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 할수 있어야 하겠다,개선해야 할 점은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앞으로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미에는 유황처리구보다 작았으며 유황처리구에서는 특히 Glutamic acid와 Lysine이 함유되여 있었다.ligraphy patterns were frequently used.의 증가를 나타냈다.". And the issues were high risk perception in general sett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