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

        12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육용 한자 가운데 대표훈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들이 절반 이상이나 된다. 이로 말미암아 기존의 한자, 한자어, 한자 어구를 학생들에게 지도할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특히 한글 전용보다 국한 혼용의 장점 중에 하나인 생산적 조어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동훈자의 의미를 가능한 한 변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집’ 동훈자 ‘家, 閣, 館, 宮, 堂, 舍, 室, 屋, 宇, 院, 宙, 宅’ 12자의 의미를 변별하는 시도를 해 보았다. 그 결과, 어원이나 『설문해자』 등을 바탕으로 기존 단어들에 쓰인 동훈자들의 의미를 변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단어 생성 때부터 별로 의미 변별을 의식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형태가 다르면 의미가 다르며, 완전한 동의어는 없다는 것이 의미론의 기본 이론이다. 따라서 이들 동훈자의 의미를 어떻게 해서든 변별할 장치가 필요하다.
        5,700원
        123.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2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anxiety of 66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Non-test Group (absence of a test atmosphere) and Test Group (presence of a test atmosphere).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anxiety in both groups was measured by the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anxiety scale I (FLLTAS I) and they answered questions related to the FLLTAS II after taking a listening test. Based on the change in mean scores of the FLLTAS I and II,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s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bjects indeed felt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anxiety and significantly experienced an increase in anxiety levels after taking a listening test regardless of the absence or presence of a test atmosphere and subject's differences in listening proficiency level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anxiety and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y are negatively related. Also, a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ension over English listening or English listening tests' and 'lack of confidence over English listening or English listening tests' are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foreign language listening test anxiety.
        6,300원
        12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passed 10 years since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Corporation Aggregate had offered Nation-wide Test Of Hanja-capability Certificate. Year by year the number applicants grow almost as much as that of College Learning Capability Test. The Test, now become a national license, has great social influence. If not long after, the advantage of this license holder is guaranteed for evaluations of national officers and for employing of teachers, its influence will be more enlarged. Upon this point of time, 10 years from the start of The Test, it will be very meaningful to view in retrospect the footsteps and building environment and to self-evaluate the acting result of,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nd Korean Hanja Proficiency Test Institute that have lead Co-Using OF Hangul & Hanja Movement. At this paper, we will inspect the language policy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t Korea at the epoch of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1968 and 1969, that become the motive of founding Research Societ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nd also view the meaning of Nation-wide Test Of Hanja-capability Certificate, and the influential role of that for our language education until now, and future prospect.
        6,000원
        130.
        200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31.
        200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13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3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언어장애인용 문장발생장치의 통신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처리방안으로 신경망을 이용하여 문장발생장치에 동사예측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단어들은 구문론과 의미론에 따른 정보벡터로 표현되며, 언어처리는 전통적으로 사전을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상태공간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되어 개념적으로 유사한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통하여 알게 된다. 사용자가 심볼을 누르면 심볼에 해당하는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찾아가며, 신경망 학습을 통해 동사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약 20% 통신율 증진을 가져올 수 있었다.
        4,000원
        139.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정서관련 어휘분석을 통하여 내적체계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1에서는 내적경험을 표현하는 데 자주 쓰이는 어휘들을 자유연상을 통해 100개를 선정하고 유사성과 빈도평가 자료를 다차원분석한 결과, 1차원(63%)은 불쾌, 2차원(25%)은 각성수준으로 해석될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차원모형의 주장과 거의 유사한 결과였다. 다른 이휘목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연구 2에서는 표정을 보고 정서를 추론하는 실험을 통해 자주 언급된 단어를 빈도순으로 22개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차원 분석한 결과 역시 같은 차원들이 얻어졌으나, 1차원의 비중이 훨씬 커서(89%)각성수준의 설명력은 (6%)상대적으로 작았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2의 이휘목록이 전체 재적체계의 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기 위해, 두 어휘목록을 포함한 83개 내적체계의 단어를 차원평정시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가 차원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