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3

        12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출용 큰느타리버섯의 선도 유지 및 저장성 증대를 위한 배지 적합 질소함량과 생육온도 조건을 설정 하고자 하였다. 배지 질소함량 1.5%, 1.8%, 2.1%, 2.4% 및 생육온도 15 ̊C, 12 ̊C, 9 ̊C 조건별로 자실체의 생육특성, 수확 후 냉장저장기간 동안의 가스농도, 자실체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직경과 중량은 생육온도와 관계없이 질소함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병 당 중량은 12 o C, T-N 2.4% 조건에서 149.5 g으로 가장 높았다. 갓 색은 배지 질소함량과 관계없이 온도가 낮아 질수록 색도(L)가 낮아져 갓 색이 진해졌다. 저장기간에 따른 봉지 내 가스농도 변화는 9 ̊C, T-N 2.1% 조건에서 산도 농도가 가장 오래 유지되었다. 달관조사에 의한 자실체 품질평가에서 배지 질소함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저장기간 28일까지 이취, 변색, 부패 정도는 15 ̊C와 9 ̊C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4,000원
        12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 생육용 톱밥배지 내 질소함량(1.2~1.8%)과 생육단계 중 억제기 온도(2, 4, 6 ̊C)에 따른 자실체 특성과 저장기간별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톱밥배지의 이화학성 분석 결과 배지 내 질소함량에 따른 pH, 탄소함량 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실체 생육 특성은 배지내 질소함량이 높아질수록 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억제기온도의 경우 질소함량에 따라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경향이 달랐는데 질소함량이 1.28%로 낮은 T1의 경우 억 제기온도에 따른 자실체생육에 차이가 없었고 질소함량 1.5% 이상 배지에서는 억제기 온도가 낮을수록 수량과 갓, 대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중량감소율은 배지 내 질소함량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억제기 온도 4 ̊C이하에서 1.50~1.93%로 6 ̊C보다 낮은 중량감소율을 보였다. 자실체 갓 색도는 저장 31일 후 배지 내 질소함량이 높은 T3에 억제기 온도 4 ̊C처리 에서 L값 84.81, ΔE값이 6.3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갈변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관능평가 또한 저장 31일 후에도 5.2점을 받아 판매 가능한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전체적인 결과를 봤을 때 배지 내 질소함량과 억제기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두 조건이 복합적으로 팽이버섯의 품질과 저장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톱밥배지 내 질소함량 및 생육단계별 온·습도 조건에 따른 팽이버섯의 생육과 저장성 특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2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혼란스러운 상황과 최근 미디어 환경 변화로 영화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급격한 환경 변화로 영화산업이 처한 현실과 앞으로의 동향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달라진 영화산업과 영화관 운영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OTT의 급속한 확산으로 영화관람 형태와 제작 방식의 변화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미 한국도 넷플릭스로 대표되는 OTT 서비스의 확산으로 영화산업의 재편은 진행되고 있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그 변화의 속도는 지금까지 전문가들의 예상 보다 훨씬 빨라진 상황이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대중이 영화를 소비하는 방식도 개인 미디어를 통한 소비의 비중이 더욱 높아지게 될 것이며, 영화관은 소수의 대작 영화나 블록버스터 오락 영화 위주의 상영으로 유지되는 구조로 점차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5,100원
        12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on “media language” published in ≪Social Linguistics≫ from the first issue to Volume 27(4) in the viewpoint of research history. First, the media's language was divided into ‘newspaper language’, ‘broadcast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language’ and the published papers were classified by period. Then each paper's achievements were analyzed over time. After analyzing detailed research topics and approaches for each media language and their main flow, individual papers' contents were review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the communication language research was most actively carried out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media language studies, he discussions were largely concerned with discourse analysis. discourse analysis. The communication language has also changed its aspe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hardware and platform on which the communication is based. Media languag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nique properties of each medium. However recently, as 3 media such as newspapers, broadcasting and the Internet have been integrated into one, the media language research needs to b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integration.”
        9,200원
        129.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an be defined as corporate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well-being (Dahlsrud, 2008). Donation-linked activities in which a portion of the revenue is donated to the local community when consumers purchase products can be part of CSR activities (Folse, Niedrich, & Grau, 2010). Consumers now also want to consume "good" CSR activities, purchase "good" corporate products, and “reward” the companies engaged in CSR activities (Bhattacharya & Sen, 2004).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hat companies promote products that are associated with CSR so that consumers can identify the company is doing good (Lii & Lee, 2012). This is because CSR-related products can lead to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or evaluation (e.g. Brown & Dacin, 1997), high buying intentions (e.g. Mohr & Webb, 2005), and posi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or brand equity (e.g. Hur, Kim, & Woo, 2014).
        3,000원
        131.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w much do you like a person who loves the brands you hate? We investigated an effect we call the brand negativity bias, which occurs when an unfavorable brand reduces the attitudes toward an associated target product or person. Using a person perception paradigm in the context of brand placements, Experiment 1 established that unfavorable brands reduced attitudes toward a new digital product (i.e., a movie) in which the brand was placed. Experiment 2 showed this effect was driven by a reduced ability to connect with the character in the movie who was associated with an unfavorable brand in two serial processes (lower perceived similarity leading to lower empathy). These results provide the first evidence showing how unfavorable brands can reduce empathy between people. Supporting the brand negativity bias, we found that unfavorable brands yielded stronger effects across every evaluative outcome suggesting that unfavorable brands held more influence over consumer judgment compared to favorable brands. Lastly, these results add a layer of complexity to B2B partnerships and tell a cautionary story of when unfavorable brand associations transfer between entities.
        4,600원
        135.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al media influencer (SMI) phenomenon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academia and business. A SMI refers to an individual who has accumulated a sizable social network of followers and thereby has influence over others (Ki et al., 2020). Due to the influence SMIs possess, an increasing number of brands are approaching SMIs and asking them to create and share branded content that includes product placements or brand recommendations. This practice is commonly referred to as influencer marketing. Reflecting the trend of influencer marketing, this study investigated: (1) whether consumers are ‘inspired-by’ SMIs and ‘inspired-to’ adopt the exemplars of SMIs (e.g., SMIs’ lifestyles, styles, and recommendations) as their social defaults that provide desirable standards that consumers will like and follow, and if so, (2) what are its causal factors and effects, and (3) whether the inspiration mechanism between SMIs and consumers differs between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so doing, we drew on social defaults theory (Huh et al., 2014) and customer inspiration theory (Böttger et al., 2017).
        4,000원
        140.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builds and tests a framework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engagement with luxury brands on social media platform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