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3

        121.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sound absorption conditions by comparing the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air-dried leaves of Quercus glauca, the main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EBLT) in southern Korea.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SACs) obtained under 18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SAC of air-dried leaves improv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af layer thickness. The highest average SAC in the fresh leaf group was 0.617, which was ob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a leaf specimen size of 0.5 × 0.5 cm2 and a leaf layer thickness of 1.75 cm. In a group of air-dried leaves, this was 0.615 under the condition of a leaf specimen size of 0.5 × 0.5 cm2 and a leaf layer thickness of 2.50 cm. The maximum value of SAC for each wavelength was ob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a leaf layer thickness of 2.50 cm consisting of 0.5 × 0.5 cm2 leaf specimens, ranging from 1,400 Hz to 1,500 Hz.
        122.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ercus mongolica (QM), which belongs to fagaceae, is one of the oak native to Korea.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branches extracted with 70% ethanol of QM (QM-B) and elucidated the potential signaling pathway in LPS-induced RAW264.7 cells. The QM-B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QM-B dose-dependently suppressed NO production by inhibiting iNOS, COX-2 and IL-6 express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The QM-B inhibited the degradation and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NF-κB activation. The QM-B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and ERK1/2. Also, the QM-B increased HO-1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QM-B may utilize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suppressing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 and inducing HO-1 expression indicated that the QM-B can be used as a natural anti-inflammatory drugs.
        12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measure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stemflow, and throughfall and concentrations of nine major inorganic nutrients (H+, NH4 +, Ca2+, Mg2+, K+, Na+, Cl-, NO3 -, and SO4 2-) to investigate the nutrient inputs into soil from precipitation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from September 2015 to August 2016. The precipitation inputs of H+, NH4 +, Ca2+, Mg2+, K+, Na+, Cl-, NO3 -, and SO4 2- into soil were 0.170, 15.124, 42.227, 19.218, 14.050, 15.887, 22.391, 5.431, and 129.440 kg·ha-1·yr-1, respectively. The P. densiflora stemflow inputs were 0.008, 0.784, 1.652, 1.044, 0.476, 0.651, 1.509, 0.278, and 9.098 kg·ha-1·yr-1, and those for Q. mongolica were 0.008, 0.684, 2.429, 2.417, 2.941, 1.398, 2.407, 0.436, and 13.504 kg·ha-1·yr-1, respectively. The P. densiflora throughfall inputs were 0.042, 21.518, 52.207 27.694, 20.060, 24.049, 37.229, 10.241, and 153.790 kg·ha-1·yr-1, and those for Q. mongolica were 0.032, 15.068, 42.834, 21.219, 20.294, 20.237, 24.288, 5.647, and 119.134 kg·ha-1·yr-1, respectively. Of the total throughfall flux (i.e., stemflow + throughfall flux) of the nine ions for the two species, SO4 2- had the greatest total throughfall flux and H+ had the lowest. The net throughfall fluxes of the ions for the two species had various correlations with the precedent dry period, rainfall intensity, rainfall amount, and pH of precipitation. The soil pH under the Q. mongolica canopy (4.88) was higher than that under the P. densiflora canopy (4.34). The difference in the soil pH between the two stands was significant (P < 0.01), but the difference in soil pH by the distance from the stems of the two species was not (P > 0.01). This study shows the enrichments of inorganic nutrients by two representative urban forests in temperate regions and the roles of urban forests during rainfall events in a year.
        12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status of intact plants has been optically estimated by measuring reflectance at the wavelengths 1,450 nm and 1,900 nm based on their signal strengths. Although another water band at 970 nm is considered to have very small signals, the band apparently lie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inexpensive spectrometer and plain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 used in wild fire studies. However measurement of the reflectance at 970 nm has been rarely applied to estimate the water status of dead plant materials such as fallen branch, twig, and leaf. To t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water reflectance at 970 nm to estimate the water content (WC) in leaf litter, the reflectance in various WC values were measured in the leaf litter of three Quercus species (Q aliena, Q aliena, Q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C in the leaf litter can be determined by reflectance water index (WI) in the three Quercus species (WC=1,450×WI-1,378.8, r=0.865).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 and WC among the litter of the three Quercus species.
        125.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토리의 산업적 활용도 제고를 위해 도토리차를 제조하였으며, 증숙, 건조 전처리에 따른 도토리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의 경우 열풍 건조 볶음한 도토리차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의 경우 전처리 없이 볶음한 도토리차에서 높았다. pH는 증숙 및 열풍 건조 공정 처리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탁도 또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처리를 실시한 도토리차에서 총당 함량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도토리차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열풍 건조 후 볶음한 도토리차에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증숙 공정 처리군보다 열풍 건조 공정 처리군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토리차의 기호도 평가에서는 열풍 건조 후 볶음한 도토리차가 맛, 향,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전처리 공정을 통한 도토리차 제조가 제품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열풍 건조 후 볶는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높은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기호도 평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12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도시경관의 향상과 생태적 건전성을 위해 조경용 상록활 엽수 종자 및 묘목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종가 시나무에 대하여 채종시기와 종자크기에 따른 종자발아 및 유묘생 장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남부산 림자원연구소(N35°09’58.62”, E128°06’23.42”, 67m)에 식재 된 종가시나무에서 2011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30일 간격으 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크기에 따라서 3가지로 구분하고 종자특 성과 발아 및 유묘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종자의 수 분함량은 채종을 개시한 11월에서부터 이듬해 1월까지 점차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배의 피해가 증가하 며 특히 대립에서 더욱더 많은 피해가 나타냈다. 발아율은 채종경 과일수와 종자 내 배의 피해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 을 나타냈고, 종자크기와는 뚜렷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12월 까지 채종된 종자는 높은 발아율을 보였지만 이후에는 점차 발아율 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아속도, 발아지수, T50값도 11월과 12월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유묘생장은 채종경과일수와 상관 을 나타내지 않았고, 종자크기와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종 자크기가 클수록 총 건중량이 높게 나타냈으며, 11월부터 12월까 지 묘목품질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건전 한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을 위해서 종가시나무의 채종시기는 12월 까지가 적합하며 상대적으로 큰 종자를 선별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12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utting types on microclim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fforested tree in Quercus acutissima stand after different types of cutt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reaching 5.2℃ was shown in between clear cutting and selective cutting treatments. On July and August days with temperatures more than 35℃ often appeared in clear cutting stand. The values of VPD in July and August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months. Maximum VPD of 3.99 kPa was shown in clear cutting stand on May 23 as a prolonged rainless days appeared. However, VPD in selective cutting stand always stayed under 3.0 kPa throughout growing season. A higher intensity was shown in clear cutting and strip clear cutting stands, reaching to more than 1,600 μmol m-2 s-1 at midday on early August, while that in selective cutting stand stayed about 1,500. In relative growth rate selective cutting stan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growth rate in plant height than those in other cutting stands (p<0.05). The number of leaf in current-year branch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lective cutting stand, whereas no increase was shown in clear cutting and strip clear cutting stands (p<0.05). In addition, relative elongation rate of current year branch also showed higher values in selective cutting stand compared with that in strip clear cutting stand (p<0.05). However, leaf mass per unit area (LMA) was higher in order of strip clear cutting, clear cutting, and selective cutting stand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clear cutting and strip clear cutting stands during growing season are more stressful to afforested tree species, resulting in lower relative growth in plant height, elongation of current-year branches, and leaf number per branch compared with those in selective cutting stand. Consequently, more data must be accumulated in the field to find out best cutting type in plantation considering the adaptational characteristic of each tree species varies with species and life span of tree is long.
        12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용 참나무 선발을 목적으로 도입된 루브라참나무는 1972 년 원산지로부터 도입하여 적응성 검정 결과 생장과 재질이 우수하고 적응력이 뛰어나, 1991년 추가로 23개 산지를 도입 하여 각 산지별 75본씩 소규모 산지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New York와 Vermont주 루브라참나무의 수고생장이 우수하 였고, Minnesota주와 Virginia의 생장이 불량하였다. 직경생장에서도 수고생장과 유사한 결과가 나왔으며, 특히 수고생장 이 불량한 Minnesota주와 Virginia주는 직경생장도 불량 하 였고, 직경생장이 우수한 지역인 Illinois주와 Vermont주의 수고 생장은 상위 그룹에 속하였다. 수종별 생장에서 루브라 참나무는 상수리나무보다 약 30% 생장이 우수하고, 알바참 나무와는 약 300% 생장이 우수하였다. 특히 재적생장에서 루 브라참나무는 상수리나무보다 약 3배가량 재적생장량이 좋았 다. 수간의 형태적 특징에 따른, 통직성 조사시 가장 우수한 산지는 캐나다의 Qubec주의 Beloeill 산지였고, 가장 불량한 산지는 Wisconsin주의 Sauk Country 산지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우수한 Qubec주의 Beloeill 산지는 우리나라 향토 수종 인 상수리나무(Control) 보다 생장에서 약 3.5배 우량한 특징 을 보였다. Beloeill 산지는 다른 산지들에 비해 수간이 통직 하고 우량하여 우리나라의 기후 풍토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장과 통직성 조사시 우수한 산지는 북위 43~46°에 분포하는 미국의 New York주와 캐나다 Qubec주 의 루브라참나무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루브라참 나무는 국내 수종인 상수리나무보다 생장이 우수하고, 로버참 나무와 알바참나무보다 적응력이 뛰어나 유망해 보여 도입수 종으로서 산지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29.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af characteristics of two representative deciduous-tree species in Korean peninsula were compared to assess directional ridge effect on leaf traits of both species. Leaf mass per unit area (LMA) of Rhododendron schilippenbachii in south-facing ridge slo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rth-facing ridge slope, while Quercus mongolica did not change LMA. Leaf mass of Q. mongolica was increased depending on leaf size irrespective of slope. However, leaf mass of R. schilippenbachii changed differently in responding to expansion of leaf area between both slopes resulting from retardation of leaf expansion in south-facing slope. R. schilippenbachii showed higher leaf nitrogen concentration per unit area (LNCA) in south-facing slope than that in north-facing slope, while Q. mongolica indicated no difference in LNCA between southand north-facing slopes. However, both speci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f nitrogen concentration per unit mass (LNCM) between south- and north-facing slopes. LNCA of Q. mongolica wa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R. schilippenbachi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leaf characteristics including leaf thickness and nitrogen allocation between Q. mongolica and R. schilippenbachii, suggesting the difference of plasticity.
        130.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졸참나무의 건전한 1-1 조림용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 초기 묘고가 다른 묘목에서 적절한 단근의 강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0 노지묘의 크기를 구분하여 단근(5, 10, 15 cm)을 실시하였다. 1년의 생육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묘고를 비롯한 지상부 생장량과 주근 및 측근의 발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상부의 생장은 초기 묘목 크기와 단근에 의해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측근의 발달은 묘목 크기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묘고가 큰 묘목군에서는 15 cm로 단근된 묘목이 가장 우수한 지상부 생장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묘고가 작은 묘목군에서는 15 cm와 10 cm로 단근된 묘목이 우수한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묘목 크기에 따른 생장은 초기 묘고가 큰 묘목이 작은 묘목보다 우수한 지상부 생장을 나타내었으며, 주근의 재생산량과 새롭게 발달된 측근의 수도 많았다. 하지만 측근의 길이 및 무게 생장은 작은 묘목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품질의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묘고가 큰 1-0묘를 생산하는 것이 다양한 장점을 가지며, 초기 묘고가 26 cm 이상의 큰 묘목은 15 cm로 단근하고, 초기 묘고가 24 cm 이하의 묘목은 10 cm로 단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단근길이라고 판단된다.
        13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가시나무 열수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제로 xanthine oxidase반응을 억제하며 uric acid생성에 영향을 주어 alfacalcidol과 ethylene glycol로 결석이 유도된 흰쥐에 따르는 혈중 및 뇨의 위험요소 감소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강력한 이뇨제인 furosemide군과 비슷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참가시나무 잎 열수 추출물은 신장결석 예방과 치료를 위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13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pper mild mosaic virus (PMMo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are important pathogens in various vegetable crops worldwide. We have found that methanol extracts of Quercus dentate (Daimyo Oak) gallnut strongly inhibit PMMoV and CMV infection. Based on this result, the inhibitor named as "KN0912" formulated from the extract of Q. dentate gallnut was tested for its inhibitory effects on PMMoV or CMV infection to each local lesion host plant (Nicotiana glutinosa; PMMoV, Chenopodium amaranticolor; CMV). Pre-treatment effect of KN0912 against infections of each virus to local host plant was measured to be 75. 1:±0. 5-97. 5±1. 5% to PMMoV and 70.6±2.2-99.0±1.0% to CMV in 1-10mg/ml conc. and the absorption effect of the antiviral composition of KN0912 to the inside of tobacco leaves tissue, was inhibited by 55.7% to PMMoV and 63.8% to CMV. The persistence of KN0912 treatment was maintained until after the 3 days high inhibitory effect by 98% to PMMoV and by 95.1% to CMV. Inhibitory effects on systemic host plants of KN0912 were measured to be 80-90% to PMMoV and 60-75% to CMV. From the change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MMoV particles under EM, we are tentatively suggested that one mode of action of KN0912 is inactivation due to the destruction of virus particles.
        13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 그리고 추출물들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참가시나무는 50 % ethanol을 이용해 추출하였으며, 이 추출물을 이용해 ethyl acetate 분획, aglycone 분획을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50)은 aglycone 분획(8.25 μ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aglycone 분획의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50)은 0.039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aglycone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259.9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중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IC50)과 elastase 저해활성(IC50)은 각각 21.82 μg/mL 및 41.18 μg/mL 큰 활성을 보여주었다. TLC와 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 결과 quercetin, keampferol, catechin,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oside 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참가시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aglycone 분획의 현저한 항산화 작용 및 큰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로부터 이들 분획 또한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13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가시나무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활성을 관찰하였으며, 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성분은 catechin(1), epi-catechin(2), tyrosol(3) 및 tiliroside(4)이다. 분리 성분의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및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소거활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화합물 1, 2, 3, 4는 100 µL/mL 농도에서 각각 94.2 %, 93.4 %, 33.6 %, 11.2 %의 DPPH 라디칼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1, 2, 3, 4는 200 µL/mL 농도에서 각각 60.2 %, 35.1 %, 20.6%, 4.5 %의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화합물 1 ∼ 4는 개가시나무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이다.
        13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리나무 실생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 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변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채종원 임령 12년생 때의 평균 수고는 9.96 m, 평균 흉고 직경 14.50 cm, 평균 지하고 1.04 m, 평균 수관폭 6.80 m, 평균 가지각도는 18.82^º이었고 평균 통직성 등급은 2.58로 조사되었다. 수고생장에 있어서 075 및 052 가계가 우수하였던 반면에 0511 및 0517 가계는 불량한 것을 나타났다. 또한
        13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were investigated in 6-year-old artificial hybrids of Q. aliena ×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 Q. mongolica var. crispula. Leaf shapes of Q. aliena × Q. mongolica var. crispula F1 were obovate and resembled to that of Q. aliena. But several characters including the size of leaf and petiole and the shape of leaf bas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In F1 hybrid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on the abaxial surface and their lay length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characters of nuts and cupules between both parents and F1 hybrids. Leaf shapes of Q. serrata × Q. mongolica var. crispula F1 were obovate-elliptic, and the leaf shape and leaf base and the length of petiol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but leaf size and serration resembled to those of Q. serrata. The number of serration in a leaf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and large single hairs were mixed on the reverse side of leave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the number and size of stellate hairs between F1 hybrid and Q. serrata. It is able to distinguish F1 hybrids from both parents by the size leaf size and shapes, leaf base and serration, petiole length and trichome type in the leaf.
        13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 P. ovale, E. coli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13 %, 0.25 %, 0.13 %, 0.25 %로 나타났으며, S. aureus, P. acnes, P. ovale에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50 % ethanol 추출물(12.13 μg/mL) < ethyl acetate 분획(7.07)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6.20)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ethanol 추출물(OSC50, 1.81 μg/mL) < ethyl acetate 분획(1.70) < aglycone 분획(0.70)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25 μg/mL 농도에서 τ50 이 220.0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3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4개의 띠(QA 1 ~ QA 4)로 분리되었으며, 그 중 QA 1은 kaempferol, QA 2는 quercetin, 그리고 QA 3는 gallic acid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IC50)은 65.67 μg/mL이었고, elastase 저해활성(IC50)은 24.50 μ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상수리나무 잎 성분 분석,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 그리고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3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50 % 에탄올 추출물(12.45 µg/mL) < ethyl acetate 분획(10.47)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8.57)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³+-EDTA/H₂O₂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에탄올 추출물(OSC50, 4.2 µg/mL) < aglycone 분획(1.58) < ethyl acetate 분획(0.66) 순으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50 µ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50 µg/mL 농도에서 τ50이 398.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6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및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55.77 %, 44.23 %로 quercetin의 함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6개의 띠(QG 1 ~ QG 6)로 분리되었고, QG 3는 isoquercitrin, QG 4는 hyperin, QG 6는 rutin으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 저해활성(IC50)이 73.5 µg/mL이고, elastase 저해활성(IC50)은 16.2 µg/mL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이 ¹O₂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종가시나무 잎 성분 분석과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13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andard emission rate(ERs) of isoprene was quantitatively measured in situ from Quercus mongolica Fischer that dominates more than about 85% of domestic oak trees. The ERs values in spring and summer were similar to 64.4 and 58.1 (㎍C/gdw/hr), respectively. The ERs in autumn, 7.06(㎍C/gdw/hr), was about 8~9 times lower than those in spring and summ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between ERs and CL․CT ranged from 0.593 to 0.836.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Rs and PAR, the ER and temperature suggested that ERs have strong correlation with PAR(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temperature. In addition, the high values of PAR, temperature, and ERs were found in the time zone of 15:00 ~17:00(spring), 15:00 ~ 16:00(summer), and 14:00 ~ 15:00(autum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