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12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일반 국도상의 교량을 분석한 결과 형상비가 2.5 내외로서 휨-전단 파괴 거동이 예측되는 교각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의 교각 내진 특성 연구는 주로 휨 파괴 거동을 보이는 교각에 대해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휨-전단 복합모드가 작용하여 파괴에 이를 가능성이 많은 형상비 2.5 내외인 기존 교각을 대상모델로 선정하고 실물크기 모형 및 축소모형 시험체를 제작하여 준정적 실험(quasi static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상사효과(scale effect)가 교각 내진 성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또한 비내진 상세인 실험대상 교량에 대해 역량스펙트럼법을 이용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4,000원
        122.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동적실험에 의한 섬유보강 원형 RC교각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연구로서 수원시에 위치한 내진교량인 하길교를 대상모델로 하였으며, 도로교 표준시방서의 내진설계규정이 적용되지 않은 비내진교각시험체 2본 및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섬유보강시험 4본, 즉 총 6본에 대하여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하였다. 보강공법으로는 유리 탄소섬유 보강공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변수로는 입력지진동, 섬유고방유무로 하였다. 그리고 내진성능평가 방법은 입력 및 소산에너지, 변위 연성도가 분석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유리 섬유로 보강된 비내진시험체의 변위연성도 KHC인공지진파에 대하여 7.7~9.0정도의 값으로 충분한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12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약진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는 대만에서 1999년에 발생된 예상치 못한 막대한 경제적 피해와 사상자를 기록하였다. 대만과 마찬가가지로 중약진지역으로 분류되는 우리나라에서도 지진발생시 많은 문제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기존건물의 내진성능평가의 필요성의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는 기존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3층 규모의 모멘트 골조 건물에 적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평가는 일본건축방재협회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규준을 적용하였다.
        4,000원
        12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의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해 현재 종종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초분리장치인 적층고베어링과 납-고무 베어링의 내진성능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베어링의 전단 변형률 또는 가해진 수직 하중이 클수록 베어링의 전단 강성은 감소하며 가력 속도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만하다. 베어링은 순수압축력에는 강하며 인장력에는 그 반대이다.
        4,000원
        125.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진 설계되지 않은 일경간-이층 철골조의 면진에 사용될 적층 고무베어링과 납-고무 베어링을 설계하여 철골조와 기초 사이에 이 면진장치들을 적용하여 지진파들에 대한 내진 성능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 면진장치들을 사용하면 철골조의 내진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적층 고무베어링의 중앙에 원통형 납을 삽입함으로써 초기강성을 증가시켜, 빈번한 사용하중 하에서 구조물에 발생하는 비교적 과도한 횡변위를 구속할 수 있으며, 강한 지진파에 대해서는 이 납이 항복함으로써 에너지 소산능력을 향상시킨다.
        4,900원
        126.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BC 2016 및 ACI 318-08에서 확대머리 철근의 순간격에 대한 지나치게 엄격한 요구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2/3 스케일의 외부 보- 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준정적 반복 하중을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진 실험을 통해 좁은 간격의 철근 순간격과 다열 배치 확대머리 철근 적용여부를 주요 변수로 하여 내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 실험결과를 이전 연구자들의 실험 데이터와 함께 면밀히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확대머리 철근에 대해 2db의 철근 순간격 또는 2 개층의 확대머리 철근의 사용은 내진 설계에 있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2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압축센싱 기술인 CAFB(달팽이관 원리기반의 인공필터뱅크)가 El-Centro 지진 등 지진상황에서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포함한 지진응답을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획득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최적화된 CAFB를 무선 IDAQ 시스템에 임베디드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대형 Shaking Table에 설치된 2-span 교량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획득 하였다. 연구결과 압축신호는 원시신호 대비 우수한 응답성능 및 데이터 압축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CAFB가 지진상황에서도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포함한 지진응답을 실시간으로 압축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2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중기둥을 적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예제는 KBC 2016에 따라 내진설계 하였으며, 다중기둥을 적용한 구조물의 변수는 층고, 기둥의 간격, 전단벽의 배치 및 코어의 배치로 설정 하였으며, 층수는 5층, 7층, 10층 3가지의 층수로 설정하였다. 내진성능평가는 ATC-40 및 FEMA-356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성능을 평가 하였다.
        12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경우 한정적인 대지조건으로 인해 고층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을 포함한 국내의 지진 피해를 토대로 기존의 내진설계 기준은 강도설계법에서 성능기반설계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지진하중에 대응하는 구조물의 목표 성능수준을 각 부재의 비선형특성에 기반하여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성능기반설계법 중에서도 목표성능수준을 변위에 맞추어 주어진 목표변위 이내로 응답이 제어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변위기반설계법을 다룬다. 특히 특수전단벽체 적용 연구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두께 200mm를 갖는 22층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구조에 대해 변위기반설계법을 토대로 내진성능 개선을 위한 내진성능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13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eismic performance of RC frames reinforced with steel plate concrete was conducted by applying steel plate concrete into the existing RC frame and RC frame in order to evaluate the seismic reinforcement effect of steel plate concre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inforced specimen with steel plate concrete showed higher strength than the existing RC frame specimen, and the time of yield was also measured later. Therefore, sufficient seismic reinforcement effect can be expected through steel plate concrete.
        13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3D modeling of structur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nfirm and enhance the seismic performance of modular houses through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 Based on the results, the performance of structural members and joints in the modular house was investigated.
        13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iction dampers are categorized as displacement-dependent energy dissipation devices, because their damper force is independent from frequency and velocity. They have found large practical application in seismic retrofitting of existing structures due to their low cost and simple installation. A typical friction damper consists of series of steel plates tighten together with high durability steel bolts in order to achieve more reliable friction through the interfaces. This study developed a multi-friction damper by laminating friction material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multi-friction dampers,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13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 tuned mass damper is applied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lighting tower. The light tower has a high slenderness ratio, low lateral stiffness and top mass is large structure so this has weak for vibration characteristics. The optimized damping coefficient and stiffness were applied to the four lighting tower models analyzed. As a result, the light tower with TMD showed a tendency to reduce the displacement response significantly against the earthquake.
        13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earthquakes are happen frequently and domestic road facilities are in the age of aging. These factors are the cause of increasing the damage of road facilities. The owner has to suggest a reasonable seismic retrofit on a limited budget. Advanced countries for seismic and soc-facilities have been developed a software to support risk-mitigation decision by estimating losses from earthquake; such as HAZUS in USA and RETIS-RISK in Greek. In Korea, decision support softwares have been studied to effectively manage seismic performance of road network through soc-economic restoration an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is research,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aged road facilities will be developed
        13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arget in the design of base isolated structures is the selection of isolation system properties so that optimal performance is achieved among seismic levels and performance metrics. To withstand very rare ground motions, isolation system are frequently designed with significant strength or damping, and as a result such devices provide reduced isolation effect for more frequent seismic events. To investigate improvements to the design of isolated structures, a lot of research program is performe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re presented to characterize smart base isolation capable of progressively exhibiting different hysteretic properties at different stages of response. Shear tests are conducted along the ISO standard, including harmonic characterizations tests. These tests included various input intensities, multi-component excitation. Behavior of the new smart base isolation system is compared with that of linear isolation systems with both nonlinear viscous and bilinear hysteretic energy dissipation mechanisms.
        13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ven though Korea is located rather far away from the active fault area, it was thought to have never been completely immune from the earthquake hazards. Many historic records and recent Gyeongju seismic indicated that Korea should belong to a moderate or low seismic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for each type, we have chosen 2 reinforced concrete bridge. This paper presents a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xisting 2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pier.
        13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erimentally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connection of modular system. As a result of experiment study, two specimens did not show the strength reduction and brittle fracture at connection until 2% story drift. Thus, requirements for intermediate moment frame(IMF) was satisfied in two specimens.
        138.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역V형 강재 가새로 보강된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설계방법 개발을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골조 기준 실험체와 강재 가새를 사용하여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킨 보강 실험체를 제작하고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가새 보강 실험체의 경우 강성이 약 2~3배 증가를 목표로 설계하였다. 내진성능평가 결과, 무보강 실험체는 기둥에서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박리가 되었고, 가새 보강 실험체는 초기 설계 단계에서 목표로 한 성능수준을 보여주었다. 가새를 보강한 실험체의 경우, 무보강 실험체에 비 하여 강성, 강도, 연성능력 그리고 에너지 소산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 물의 가새 보강공법에 관한 설계법 및 설계절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3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hake table tests were performed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fire protection riser pipes. The specimen was subjected to a tri-axial time history shake table test with acceleration levels corresponding to the 0.5g and 0.7g ZPA design level.
        140.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지진발생이 빈번하고 많은 인명피해와 사회기반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지진에 대한 보수, 보강기법에 대 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성보강형태로 반복적인 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면 2차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보강이 아 닌 연성보강형태의 보수, 보강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부재에 적용할 수 있는 보강 공법으로써 폴리머계의 고인성 과 고연성 효과를 나타내는 경질형 폴리우레아를 내진보강용 재료로 선택하였고 재료의 열화 및 내화학적 특성에 대한 내구 성능을 평가하였 다. 내구 성능 평가는 폴리우레아의 산 환경 및 자외선 노출 시험을 실시하였고, 폴리우레아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노출 및 동결융해 시 험을 실시하였다. 내진보강용 폴리우레아는 모든 시험을 통하여 내구성능과 저항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내진 보강 재료로써 유 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