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conomical safety driving speed index which those are geometric road status; examine the levels of which those cost-benefit of driving fuel expenditure; are search road safety design and operational technology for driving simulators. For the objective,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riving fuel expenditure and driving scenarios by the road alignments, and reviewed driving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by the geometric types of roa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and extended completion. Throughout the result of this study, diverse related driving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efficiently driving system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national highway design 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how applications for driving simulator of national highway safety designs when those are appeared; (2)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ose geometric design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ofile; and (3) search positive safety and passive highway safety design of the point at which highway alignment factors initiate driving safety to facility or highway design.
Many people transfer from the automobile to the subway because of increasing in oil price and improvement of mass transit system of Seoul Metropolitan City. But Seoul Metropolitan Subway have brought out passengers discomfort because it is more crowded over the appropriateness because of very high utilization though it is highly technically facilitated. This study deals with the development and simulation study of subway train simulator. We analyzed the simulation results considering crowdedness after we defined the concept of crowdedness.
It's declining the number of deaths in total traffic accidents, but the death of elder drivers has increasing than younger drivers. So this paper wish to prevent the traffic accident of the elder drivers using driving simulator. It can help to make better policies and planning for elder drivers.
일반적으로 도로정책평가 시, 이상적인 도로 교통조건에서 수집한 교통류 자료에 근거하여 BPR식 형태로 개발한 통행비용함수식을 일반화하여 적용한다. 하지만, BPR 형태로 개발된 모형은 장래교통량예측이나 통행행태분석에 있어서 적용이 도로 교통환경을 묘사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piess, 1989 ; Singh, 1999)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대상지의 도로 교통조건에 적합하도록 미시적 교통류시뮬레이터기반(Micro traffic Simulator Based : MSB)으로 생성된 자료로 통행비용함수를 개발, 검증하는 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상적인 도로교통조건 이외의 상황에 대한 도로교통정책 평가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단시간에 다량의 교통류 자료생성이 가능한 미시적 교통류시뮬레이터(VISSIM)를 이용하여 분석대상지에 적합한 통행비용함수를 개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둘째, VISSIM을 이용하여 생성한 분석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BPR 함수식과 MSB 함수식을 각각 개발하고, 통계값 및 산포도를 이용한 모형들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MSB 함수식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최근 들어 타이어/노면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포장공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저소음 포장공법들을 개발하고자 하는 이유는 도로소음이 고속주행일 경우 도로노면과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저소음 포장공법의 핵심연구는 타이어/노면 소음이 노면의 미세조직 및 거시조직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표층 골재의 입도, 혹은 인위적인 노면조직에 대한 소음을 작게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에서 어려운 점은 특정한 노면조직 혹은 포장공법에서의 타이어/노면 소음을 평가하기 위해 도로를 건설하고 차량을 주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의 제약을 받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노면조직에서의 소음을 저비용, 단시간에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타이어/노면 소음재현장비를 개발하였고, 무타이닝 및 횡방향타이닝 포장에 대하여 타이어/노면 소음을 재현 및 측정을 통하여 개발한 장비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Aerial working platform is recently used broadly in heavy industry and construction field and also the utilization of it is growing. However, the raise of critical incident caused by unskilled operator is increased gradually. To reduce and prevent such incident, the training for operating is essential. It's not easy to cover the requirements for the training with real platform because of the high price of it, safety and weather condition. This paper proposes a simulator for the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to give the training safely regardless to the weather condition and the simulator is deliverable in lower price than real one. The simulator proposed in this paper is available to be set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inee's skill managing and be also applied for the design of general heavy equipment training simulator.
Aerial working platform is recently used broadly in heavy industry and construction field and also the utilization of it is growing. However, the raise of critical incident caused by unskilled operator is increasing gradually. To reduce and prevent such incident, the training for operating is essential. It's not easy to cover the requirements for the training with real platform because of the high price of it, safety and weather condition. This paper proposes a simulator for the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to give the training safely regardless to the weather condition and the simulator is deliverable in lower price than real one. The simulator proposed in this paper is available to be set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inee managing the assessment level and be also applied for the design of general heavy equipment training simulator based.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development of a simulator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a hierarchical cellular system. The proposed hierarchical cellular simulator, consisting of macro, micro, and pico cells, applies the wrap-around technique to reduce
Critical incident can be happened at any time, any places without any pre-notification. For minimizing the loss of the life safety, financial and so on caused by the risk, most of company needs a system what can activate the critical incident management plan to prevent, plan for and respond to events that become critical incident. But a lot of company still don't have such a detailed system in our country and almost company has no effective training way for to boot. This paper shows the way to activate the risk management system to work efficiently the plan. The training way, proposed by this paper, is a incident command simulator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scenario generation software.
In the country, already a 400 species and some Interchanges of different Section of Industry have been organized and a number of related industry come to a 4000 species. In this study, we will be helpful to activity of Interchanges of different Section of Industry by concretely suggestion of the utility operation method of Interchanges of different Section of Industry in the many-sided point. But in the present, Interchanges of different Section of Industry stay at a form of a friendly society as yet.
항공기와 자동차의 운전을 중심으로 알코올이 인간의 행동과 수행도에 미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통해 선박의 당직 전 및 당직 중의 음주는 이어지는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선 중 음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택형 앙케트를 교육중인 사관들에게 배포하여 118명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조사하였다. 알코올 의존도에 관한 자가진단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27% 이상이 알코올 남용 증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승선 중 음주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사항을 정리하여,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음주 운항 시나리오를 마련하였으며, 알코올이 선박운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알코올의 섭취가 선박운항능력을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앞으로 선박운항자의 피로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험 조성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3차원 가상현실(virtual reality)로 설계중인 도로를 모델링한 후, 피실험자가 Eye camera가 장착된 차량 시뮬레이터 (driving simulator)에 탑승하고 주행하면서 운전자가 행하는 선형변화에 대한 동적 반응 및 운전자의 시각행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차량시뮬레이터의 그래픽 모듈은 동역학 해석 모듈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운동재현기와 가상환경의 일치감들 최대로 함으로써 피실험자로 하여금 차량시뮬레이터의 비현실성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Eye camera는 기존의 여타 장비와는 달리 운전자가 헬멧이나 렌즈 등 어떠한 부착장치도 착용하지 않고 실험할 수 있는 FaceLAB을 사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자연스러운 시각행태를 아무런 데이터 손실없이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차량 시뮬레이터, Eye camera방법을 통해 설계시 도로 기하구조 변화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안전성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도로 기하구조 조건과 안전성의 상관성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가 도로 주행시 편안하고 쾌적한 주행을 보장받을 수 있는 도로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