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3

        122.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51 kinds of textbooks (15 kind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29 kind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7 kind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categories: application method and subject matter. Application method included texts, cases, visual aids (pictures, photos, illustrations, chart, etc.) and activities, whereas subject matter consisted of seven types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cooking principles, cooking lessons,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othe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method in primary school textbooks show that visual aids were the most common in all six grades. For the subject matter,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was most abundant in primary school textbooks while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ac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owever, the contents regarding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were insufficien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contents on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should be added to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covered in various subjects. Furthermor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ntents need to emphasize comprehensive food and dietary education and adjust to 'science & technology for life'.
        4,000원
        124.
        201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CSs) integrated in the seventh grad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A selection of three student books for the seventh grade and their corresponding activity 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axonomy of achievement strategies (ASs) by Nakatani (2005). A total of 1,523 examples of ASs were found in the textbooks and 66 percent of them were maintenance strategies whereas other strategies took a relatively small portion. Some textbooks showed various ways of integrating CSs into contexts and practical spoken expressions while others showed lack of variety and authenticity in expres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xtbooks proposed a substantial amount of diverse ASs but lacked in balanced reflection of the strategies and their authenticity.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reflection of CSs in seventh grade textbooks still seems to require a further development, yet has certainly improved in frequency and variety.
        6,100원
        12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제 7차 과학 교육과정과 국내 총 48종의 모든 초·중·고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관련 개념을 안경광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의 문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7학년의 `빛`단원과 8학년의 `자극과 반응`단원에서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에 의한 시력교정 내용이 중복 설명되었다. 또한 7학년 `빛`단원에서 교육과정상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실제로 교과서에서 안경렌즈를 이용한 시력 교정원리가 다루어지는 것은 개념적 비약이었다. 8학년, 10학년 및 11학년 생물Ⅰ 단원의 홍채의 명암조절과 모양체의 원근조절 기전이 너무 단순화 되어서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게 서술되었다. 5학년의 `거울과 렌즈`단원에서 빛의 퍼짐과 모임만을 관찰한 후 7학년에서 시력교정 원리를 설명하는 것은 개념 수준의 적정성을 유지하지 못했고, 7학년과 8학년의 굴절이상 및 시력교정 원리에 대한 분석도 굴절이상의 원인에 일관성이 없었고 개념 수준이 역전된 교과서도 발견되었다. 5학년의 교과서에 설명한 초점거리에 대한 표현과 7학년 8학년의 망막 상 형성 과정에서 상의 표현이 모호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상이 맺히는 과정의 설명은 너무 지나치게 단순화 되어서 마치 바늘구멍 사진기와 같았다. 7학년, 8학년, 10학년, 11학년 물리Ⅰ, 생물Ⅰ 교과서에서 근시와 원시의 원인과 안경렌즈를 이용한 시력교정원리는 일관성이 없었다. 눈의 명암조절과 원근조절 작용은 지나치게 단순화 되어 서술되었다. 각막의 굴절력을 무시하고 빛이 지나가는 경로로써 투명한 각막의 역할만을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 과학 교과서의 안경광학 관련 개념은 물리단원과 생물단원이 연계적 구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교과서 개발과정에서부터 충분한 협의와 검토를 통해 학습개념 수준의 적절성과 연계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300원
        126.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글의 구조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학 교과서 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로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의 글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구성적 의미', '상호 관계적 의미', '내용과 논리 관계 의미'의 측면에서 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서의 글은 학교급에 따라 글의 구조를 비롯한 언어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며,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이러한 글의 구조적 특징 차이에 의해서도 과학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생소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의 언어가 지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4,800원
        12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각자료는 과학교과서의 주된 구성 요소이며, 학습자에게 과학적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분야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과 기능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시각자료 유형에서는 사진과 삽화의 비율이 그래프와 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기능에서는 예시적 기능과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장식적 기능, 설명적 기능, 탐구적 기능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구조에서는 단독의 비율이 다중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다중 구조에서 짝은 주로 대비에, 연속은 주로 순서를 표상하는데 사용되고 있었다.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구조 모두 교과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과학에서 시각자료의 교육학적 의의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지구과학 분야에서 시각자료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4,300원
        128.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初等學校에서 사용하고 있는 漢字敎科書는 각 市․道敎育監의 承認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認定制敎科書로 전국적으로 50여 종 이상이 된다. 이 중 필 자가 취득한 38종의 교과서를 分析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정교과서의 漢字學習量을 조사해본 결과 31종의 교과서가 600자 이내의 한 자를 학습량으로 설정하였으며, 900자를 설정한 경우도 2종 있었다. 漢字語學習量을 조사하여본 결과 200어휘 이하에서부터 2000어휘 이상에 이르기까지 교과 서마다 제각각으로 싣고 있었다. 漢字成語의 학습은 대부분의 교과서에 이야기나 만화 형식으로 실려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漢文을 싣고 있는 교과서는 10종에 * 서울교육대학교 지나지 않아 초등학생의 한문 학습에 대해 否定的으로 認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자 敎科書의 構成은 소단원 구성과 대단원 구성의 두 가지 방식으로 되어 있 는데 대단원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文字敎育의 原理를 반영하여 구성하는 것이 敎授․學習의 效果면에서 信賴를 받을 수 있다. 교과서의 문장 표기는 國漢混用文, 한글 倂記文, 漢字倂記文, 한글 專用文 등 9가지 유형으로 표현되어 있고, 單元의 展開類型은 6가지 유형으로 되어 있 는데 이 또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고려하여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지 實驗硏究 를 통하여 檢證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교과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漢字․語彙의 表記方法, 筆順의 제시 방 법, 한자 읽기 학습 방법, 漢字字源의 誤謬문제 등을 제기하였다. 교과서의 편찬 과 관련한 이러한 문제들은 교과서 심사 단계에서 바로잡을 수 있는 것이므로 각 교육청에서 심사를 할 때 면밀하게 분석하고 검토하여 심의를 해야 한다. 이를 위 해서는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의 執筆․編纂指針을 제정하여야 하며, 이의 바탕 이 되는 國家水準敎育課程의 마련이 시급하다.
        9,800원
        12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구활동의 내용에서, 한국 교과서는 단원 당 5.8개로 미국 교과서의 단원 당 4개보다 더 많은 탐구활동 개수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대부분 도표나 그래프 등 자료해석에 관련된 탐구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미국 교과서는 스스로 조작하는 실험이나 자료변형 그리고 직접설계 할 수 있는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탐구활동 1개당 사용된 탐구과정 개수는 한국 교과서가 평균 1.8개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3개로 미국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보다 더욱 다양한 탐구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탐구과정 요소는 추리와 자료해석으로 이 두 요소의 비율은 한국 교과서는 평균 73.3%이고 미국 교과서는 46.2%였다. 즉 한국 교과서는 특정 탐구과정 요소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고르지 못한 탐구과정 요소의 분포는 학생의 통합능력 신장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통합적 탐구과정에서 미국교과서는 7개의 모든 요소가 다 제시되었지만 한국 교과서는 단지 2개 내지 4개의 요소만이 제시되어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탐구활동을 제공하는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탐구상황 분석에서 한국교과서는 다소 단편적 인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은 탐구 상황이 제공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좀 더 실생활과 관련되어 적용된 탐구 상황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4,600원
        130.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me concrete problems concerning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from the standpoint of the 7th national physical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lementary physical
        4,900원
        13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ARCS의 학습동기모델 전략(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중학교 환경교과서의 [환경보존]단원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른 수업 방식과 비교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135명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을 수업전략에 따라서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은 전통주의 방식에 의한 수업을 받는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두 번째는 구성주의 수업방식을 받는 학생, 세 번째는 ARCS전략을 사용한 구성주의 수업
        4,000원
        13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33.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용어들을 SWA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 중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용어들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먼저 11종의 10학년 과학교과서에서 지구과학 용어들을 추출한 다음,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한 SWA 프로그램으로 과학 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된 과학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에 대해 560명의 10학년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어휘의 수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등급 외의 과학 전문어 빈도가 모든 교과서에서 다른 등급에 비해 가장 높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설문한 결과, 어렵다고 하는 용어들의 대부분이 등급 외에 속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어려운 용어는 과학적 의미의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쉬운 용어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4,000원
        13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xtbook is very important in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he goals of this paper are (i) to analyze the distributions of modal auxiliarie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ii)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with those of the general- purpose English corpora. Our study is based on Corpus Linguistics, and we are using corpus-analysis methods and tools in our research. In our study, we consider English textbooks as corpus texts and we will analyze them with NLPTools, which is a corpus- analyzing program. After we survey the distributions of modal auxiliaries, we will focus on a modal auxiliary can. We will examine not only syntactical distributions of a modal can but also semantic/functional distributions of this modal in English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the semantical distributions of can, we will use semantic tags and divide its semantic/functional category into three groups: ability, permission, and possibility. We will also divide the syntactic distributions into the nine verb phrase structures. After we closely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functional distributions of a modal can, we will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with those of the LLC Corpus, the LOB Corpus, and the British National Corpus. Through the study, we want to show that the actual distributions and usages of a modal can in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 little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general-purpose English corpora.
        5,500원
        13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7차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교과서의 내용 중 화성암의 조직 개념에 대한 본문 진술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과학 교과서의 개념 진술이 정확하지 않아 학습자들에게 오개념을 유발하거나 재강화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진술문이 발견되었다. 화산암에 대하여 세립질, 유리질 또는 반상 조직을 기술하고 있으며, 심성암에 대하여 완정질, 입상, 조립질 및 등립질 조직 등 다양한 조직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은 화성암 조직 분류체계 기준의 혼란에 관련된 것들이었다. 화성암의 조직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화성암 분류 기준의 개선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화성암을 구성광물의 입도, 상대적인 크기와 결정도에 따라 화산암에는 비현정질 또는 반상 조직을, 심성암에는 현정질 또는 완정질, 등립상 조직을 사용하여야 한다.
        4,000원
        13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suggest more effective writing activities in comparison to Chinese textbooks. For the analysis, two Korean and two Chines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selected. Writing activities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ree research procedures. The study begins by typifying writing activities as controlled, guided, and free writing, guided by Raimes’ controlled -to-free approach (1983) and Rivers’ five writing instruction stages (1981). Next, it examines writ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writing criterion prescribed by the Korean and Chinese national curricula, respectively. Finally, it investigates writ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other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Korean textbooks include more writing activities than Chinese textbooks, there remain substantial imbalances in both. Both textbooks contain the most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and lack free writing. Second, Korean textbooks provide more writing questions than do Chinese textbooks in order to satisfy the national-level writing criteria. However, in comparison to Chinese textbooks, they lack writing activities designed to satisfy paragraph- level writing standards which enhance logical organization competence. Third, Korean textbooks offer more writing activities integrated with other language skills. Both textbooks most frequently contain writing activities integrated with reading skills.
        8,300원
        138.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천문영역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NRC(2000)에서 제시하는 탐구기본요소 5가지와 SAPA에서 제시하는 기초 및 통합적인 탐구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이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실현하기에 제한점이 있음을 제시하고, 보완적인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천문영역을 분석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대부분의 교과서가 NRC(2000)의 탐구요소 5가지 중 탐구요소 2에 해당하는 증거 수집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에 탐구요소 1의 문제제기와 탐구요소 5의 발표 및 정당화 부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탐구과정인 SAPA로 분석해 본 결과, 천문영역의 교과서 탐구 활동은 기초탐구과정에는 관찰, 의사사통, 조작, 시공간관계사용 과정 빈도수가 학년에 따라 증가하며, 통합과정에서는 조사, 모델설정, 데이터 해석, 그래프 작성, 실험과정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에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서에서는 제한적인 탐구활동을 확장하여, 천문영역에서도 전반적이고 다양한 탐구요소 및 탐구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탐구활동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수업모듈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교사들의 탐구에 대한 이해도 및 교수전략에 있어서도 전문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4,600원
        139.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4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진과 삽화는 현행 과학 교과서에서 핵심적인 시각적 표상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 분석 결과, 6차와 7차 모두 예시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7차의 경우 사진과 삽화의 기능들이 6차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이것은 지구과학 II 보다는 I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6차에서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던 보충적 기능과 설명적 기능이 7차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장식적 기능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 분석 결과, 6차에 비해 7차에서 참조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본문과의 연계성 면에서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독 사진이나 삽화에 비해 다중 구성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짝이나 연속 구성에서는 발전된 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서 사진과 삽화의 기능에서 탐구적 기능을, 구조에서 보완적 구성을 추가할 것과 사진과 삽화를 포함한 시각적 표상의 기능과 구조 측면을 과학 교과서 검정 준거로 활용할 것을 논의하였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