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1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et noodles as well as their cooking properties following the addi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PSE) and powder (PSP), which are known to contain a significant level of resveratrol. Wet noodles were prepared with 0, 2.5, 5, 7.5 and 10% PSE and PSP.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increasing volume of noodle, water ratio, turbidity of cooking water and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hen assessed. Additionally, the total resveratrol content in the cooked noodles was analyzed by HPLC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s the amount of PSE and PSP increased, the L value of wet and cooked noodles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p<0.001). The L value of cooked noodle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wet noodles (p<0.001) whereas the a and b values were higher. For the cutting intensity properties of the cooked noodles, hardness was reduc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SE (p<0.001), 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PSP (p<0.05). Meanwhile, spring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Total resveratrol cont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s of PSE and PSP (p<0.001), especially in noodles containing 5%, 7.5% and 10% PSE and PSP. Finally, sensory evaluation of PSE noodle revealed that color, flavour, tast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acceptance among cooked noodles with 2.5% to 5% PSE comparison to the control.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PSP noodle showed similar result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anut sprout extract and powder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In addition, up to 5% PSE and PSP can be substituted for wheat flour.
        4,000원
        12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adding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n the quality of pound cakes. Freeze dried maquiberry was added to the flour at a ratio of 0.5, 1, 1.5 and 2.5%.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in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s cakes. Antioxidative activ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 cakes (r=0.9126, p<0.001, r=0.8366, p<0.001, respectivel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cakes were estimated. The specific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substitution level of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p<0.01). The l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freeze-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 cake crust and crumb (p<0.01, p<0.01). The hard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d, while gumminess tended to reduce with increased maquiberry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of 0.5~2.5%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of pound cakes ranked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overall prefer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freeze dried maquiberry powder is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consumer acceptability and health.
        4,200원
        1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에서 15일 동안 저장기간별 사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의 중량과 수분은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사과의 저장 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저장 4일차까지 최고치로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과의 저장 중 유기산 산도는 저장 5일차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사과 껍질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L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a값은 저장 3일까지 감소하였고, 저장 5일에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b값은 저장 6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과의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사과의 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저장 3일차에서 저장 4일차에 큰 폭 감소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변화 결과, 1일차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고, 실험 7일차에서 8일차 사이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DPPH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DPPH 전자공여능은 감소하였으며, Vit. C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저장 4일차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다. 사과의 관능평가 수행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관의 좋은 정도는 0일차에 6.75에서 15일차 2.83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신맛의 좋은 정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단맛의 좋은 정도와 아삭함의 좋은 정도에서는 0일차에 각 6.25, 5.33으로 가장 높았으며, 15일차에 각 3.92, 2.83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7일차와 8일차 사이에 5.00에서 3.50으로 비교적 큰 폭 감소하였으며, 15일차에 2.00으로 저장 기간에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사과 저장 시 3~4일차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저장 8일 이후에는 모든 항목에 있어 측정감이 크게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0∼1℃에서 장기 저장한 사과를 20℃ 전후에서 저장 및 판매할 경우, 최고의 품질을 위해서는 3일 내에 판매할 것을 권장하며, 8일 이내에 재고를 소진할 수 있도록 유통 기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Yangha Buds (Zingiber Mioga 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rice cake, Sulgidduk, prepared with Yangha Buds juic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Yangha Buds (water extract and juice). Sulgidduk was prepared by adding Yangha buds at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of juice. To analyze quality characteristics, proximate composition, color,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As content of Yangha buds juice increased,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p<0.05). For texture profiles, control group scored higher score for hardness as compared to groups added with Yangha buds juice. Springi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samples containing 3% Yangha buds juice showed better results for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Yangha buds are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ulgidduk.
        4,000원
        127.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색감자 자영을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자영 분말을 전체 분말 기준으로 0, 30, 50,100%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쿠키의 총 페놀 함량,색도, 경도를 측정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쿠키의 총페놀 함량은 쿠키를 굽는 시간과 자영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색도차와 Browningindex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인 밀가루 쿠키와의 색도차는자영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컸으며, 쿠키를 굽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Browning index의 경우 쿠키를굽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logistic 모델이 유색감자 자영의 함량이 증가하였을 때 굽는 시간에 따른 갈변 현상을 나타내는 데 가장 적합함을알 수 있었다. 쿠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6분 동안 구웠을 때 자영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쿠키를 굽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자영분말 첨가군 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쿠키를15분 이상 구웠을 때에는 대조군과 자영 분말 첨가 쿠키의 경도에 차이가 없었다. 관능 검사 결과는 자영 분말을30%와 50% 첨가한 쿠키를 11분간 구웠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며 밀가루 쿠키와 유사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따라서 쿠키에 자영 분말을 첨가하여 11분에서 13분간 구웠을 때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높은 기호도의 밀가루 쿠키와 유사한 식감과 색도를 가지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쿠키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2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28.4~29.5%)은 유사하였고, 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의 수분 함량(31.6~32.3%)은 높게 나타났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당의 종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고당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아로니아잼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한 당류의 종류와 관계없이 아로니아잼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미 및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이 비교적 높은 관능적인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리스리톨은 색, 맛, 질감, 향미,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잼을 제조할 때 자일리톨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당류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12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콩고기 제조를 위해 국산콩 활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제조된 콩고기의 수분 함량은 각각 47.42 (R1), 44.82 (R2), 46.72 (R3) 및 46.20 (R4) g%, 회분 함량은 1.81, 2.18, 2.24 및 2.28g%, 조단백질 함량은 28.65, 26.24, 20.77 및 21.91 g%, 조지방 함량은 9.12, 9.74, 9.51 및 10.95g% 및 탄수화물 함량은 13.0, 16.0, 20.76, and 18.66 g% 있었다. 제조된 콩고기에서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과 지방산은 각각 glutamic acid(20,702.17, 18,869.75, 11,640.85, 및 15,983.47 mg%) 및 palmitoleic acid(719.54, 749.38, 708.65, 및 818.56 mg%) 있었다. 기호성은 다른 조건들보다 R2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조직감은 견고성과 검성이 다른 조건들보다 R2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색도(L, a 및 b 값)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isoflavone의 구성(daidzein, glycitein 및 genistein)은 다른 조건의 콩고기들보다 높았다. 그러나, total phenolics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은 다른 조건들보다 R4의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가장 높았으며,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 역시 R4의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200원
        13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단백질을 이용한 콩고기 제조시 콩의 전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생콩, 증자콩 및 볶은콩 분말을 각각 동일 비율로 첨가한 콩고기의 품질관련 인자를 분석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콩 분말로 제조한 콩고기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으나 견고성, 씹힘성 및 검성은 생콩으로 제조한 시료가 가장 높았다. L 값은 증자콩 분말로 제조한 콩고기에서 63.71±3.81로 가장 높았고, a값은 볶은콩분말로 제조한 콩고기에서 10.0±0.61, b값은 유사한 범위였다. 수분함량은 증자콩과 볶은콩 분말로 제조한 콩고기에서 유사한 범위이며 조지방은 증자콩 분말, 탄수화물은 생콩 분말로 각각 제조한 콩고기에서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의 총량은 생콩 분말로 제조한 콩고기가 89,863.79 mg/kg으로 가장 높았고, 지방산의 총량은 3916.9 mg/100g으로 증자콩 분말로 제조한 콩고기에서 가장 높았다. 총 flavonoids, isoflavone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은 생콩 분말로 제조한 콩고기에서 가장 높았고, 항산화 활성은 증자콩으로 제조한 콩고기에서 더 높았다.
        4,500원
        13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기간 숙성시킨 된장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5년 및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을 150일(대조구)과 2년간 숙성시킨 된장을 비교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150일간 숙성시킨 된장을 대조구로 하여 분석한 결과 수분 함량은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회분 함량은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된장의 명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으며 황색도와 적색도는 25년 및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된장 중 무기물의 총 함량은 대조구가 3125.10 mg/100 g으로 가장 낮았으며,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이 6451.95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848.34~4382.06 mg/100 g의 범위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30년, 25년 및 2년간 숙성시킨 된장의 순이었다.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인 γ-amino-butyric acid (GABA)의 함량은 장기간 숙성시킬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여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에서는 무려 30.57 mg/100 g으로 검출되어 대조구(0.41 mg/100 g)보다 약 74.6배나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분석 결과 oxalic acid의 함량이 약 82.59~217.06 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함량은 숙성 기간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maleic acid와 succin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소플라본의 함량은 daidzein과 genistein이 숙성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glycitin 및 malonyldaidzin의 함량은 숙성시킬수록 증가하였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에 의한 환원력에 의한 된장의 항산화 활성은 숙성 기간에 따라 대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150일간 숙성시킨 된장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25년 및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을 150일, 2년간 숙성시킨 된장과 비교할 때 품질면에서 손색이 없었으며 식품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장기간 숙성시킨 된장의 연구와 개발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면 한 단계 더 높은 기능성 전통 발효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5,400원
        13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Taraxacumofficinale on the qualitycharacteristics of Yugwa during storag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than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tive index of Taraxacum officinal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Vit.C, whereas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of BHA. The L, a, and b levels of Yugw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araxacum officinale powder;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the lowest L and b levels. Hardness was unaffected by Taraxacum officinale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Brittleness of Yugwa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control, 1.5%,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whereas 3%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storage. Peroxide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in 3%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nd 1.5% Taraxacum officinale powder after 4 weeks of storage. Taste, flavor, and crispness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ccording to Taraxacum officinal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addition of 3~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provides beneficial effects in terms of storage life of Yugwa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4,000원
        134.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 의하면 보리와 모싯잎을 첨가하여 찐빵을 제조하여 관능검사와 기계적 측정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개발과 보리 이용의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였다. 기능성 식품인 찰보리와 모싯잎 가루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싯잎 가루를 첨가한 보리찐빵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찐빵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는 모시 찰보리 찐빵은 찰보리 찐빵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보리와 찰보리의 시너지 효과로 보인다. 색도 측정을 한 결과, L값은 밀찐빵이 가장 높았고, 찰보리 찐빵이 가장 낮았다. a값은 모시 찰보리 찐빵이 유의적으로 그룹간에서 가장 낮았고(p<0.05), 찰보리 찐빵이 가장 높았다. b값은 모시 찰보리 찐빵이 16.18로 가장 높았고, 찰보리 찐빵이 가장 낮았다.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밀찐빵에 비해 찰보리 찐빵과 모시 찰보리 찐빵 간에는 경도가 높고, 찰보리 찐빵과 모시 찰보리 찐빵 간에는 경도 차이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탄성력이 모시 찰보리 진빵이 높았고, 부착성이 월등이 낮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모싯잎을 첨가한 찰보리 찐빵의 관능검사 결과, 색, 향미, 맛, 촉촉함,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를 알아보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모시 찰보리 찐빵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찰보리 찐빵과 대조군(밀찐빵)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모싯잎을 첨가한 밀가루와 보리가루의 비율이 7:3인 찰보리 찐빵이 가장 높은 관능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모싯잎을 첨가한 찰보리 찐빵은 높은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품질 특성을 향상시켰고, 기호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찰보리와 모싯잎을 함께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식품의 품질 특성 및 기능성을 높이는데 공헌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3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flour sponge cakes containing 0, 20, 30, 40, and 50% Helianthus tuberosus powder (HTP). As HTP content of sponge cake increased, the pH of sponge cake batter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specific grav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Meanwhile, volume and symmetry indices of sponge cake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HTP amount. Further, with higher HTP content in sponge cake, L and b values of crumb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hereas a valu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L, a, and b values of crus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HTP content. For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sponge cak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whereas cohesivenes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the sensory evaluation test, rice sponge cake prepared with 10% HTP showed the highest sensory scores in terms of color, flavor, taste, softness properties, and overall preference.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 compoun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ice sponge cak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HTP contents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ice sponge cake containing 10% HTP is the most appropriate fo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a way to increase the quality, texture characteristics,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sponge cake while reducing HTP content to less than 10% in order to satisfy consumer tastes.
        4,000원
        13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nese artichoke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Tofus are bei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hinese artichoke powder in ratios of 0, 0.2, 0.4, 0.6 and 0.8% according to the soy milk quantity. According to the increasing contents of Chinese artichoke powder, the yield and turbidity of tofu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whereas the pH levels of tofu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terms of color, the L, a and b value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hinese artichoke powder concentrations (p<0.001). From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of the tofus, the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of tofu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according to the levels of added Chinese artichoke powder content. The contents of isoflavones such as daidzin and genistin a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hinese artichoke powder (p<0.001). The microstructure of tofus is being examined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e sensory test, the sample which contains 0.4% of Chinese artichoke powder is ranked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e other groups according to several sensory parameters such as appearanc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the overall preferences.
        4,300원
        13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drela sinensis is a Korean traditional wild herb found especially in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edrela sinensis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Bread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edrela sinensis powder (at ratios of 0, 1, 2, and 3% of total flour quant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gh pH, moisture, and fermentation tension levels decreased as Cedrela sinensis powder content increased. Bread volume and specific volume decreased (p<0.01)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Cedrela sinensis powder (Bread weight increased (p<0.001)). As Cedrela sinensis powder content increased, color ‘a’ value decreased, and ‘b’ value increased. Sensory parameters such as color (p<0.01), flavor (p<0.01), appearance (p<0.001), taste, softness (p<0.05), and overall quality (p<0.01) of bread containing 2% Cedrela sinensis powder were measured.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rea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edrela sinensis powder content (p<0.001).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edrela sinensis can be used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bread.
        4,000원
        13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inkgo nut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Mung bean starch gel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inkgo nut powder (0, 1, 3, 5, and 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inkgo nut powder and mung bean starch gel was estimated through measur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acid content. For analyzing quality characteristics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syneresis, pH,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In the results, syneresis in the treated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pH, b values, total phenolic acid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ng bean starch gel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inkgo nut powder. In contrast, the L values and a values of mung bean starch gel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ginkgo nut powder.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mung bean starch gels with 5% and 7% ginkgo nut powd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grees of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n the other hand, cohesiveness was highest in the mung bean starch gels with 5% and 7% ginkgo nut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the mung bean starch gel prepared with 5% and 7% ginkgo nut powder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flavor and taste.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kgo nut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mung bean starch gel.
        4,000원
        13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한 식품으로 주식 대용할 수 있는 빵 제품의 자료를 개발하고자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을 각각 0.5%, 1.5%, 2.5%, 3.5% 혼합하 여 파운드 케이크를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파운드 케이크 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료들과 파운드 케이크의 총 페놀 함량은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이 냉동 블루베 리 분말에 비해 높았고,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을 혼합한 파운드 케이크 시료들은 첨가량 대비 유의적으로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p<0.01). 플라보 노이드 함량에서도 첨가량 대비 유의적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p<0.01).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에서 원료인 냉동 블루베리 분 말에 비해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이 DPPH 유리기 소 거능이 높았으며, 두 종류 원료를 혼합한 파운드 케이크에서 는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DPPH 유리기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 량 등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0.8423, p<0.001, r=0.9449, p<0.001).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 혼합 파운드 케이크의 품질 특성 중 부피는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 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1), 비용적도 첨가량 증가 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파운드 케이크 crust 색도 중 L값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p<0.01), a값과 b값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또한 파운드 케 이크 crumb의 L값은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 으며(p<0.01), a값은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 고(p<0.01), b값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1). 파운드 케이 크의 hardness는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 닌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1). 관능 특성 평가에서 appearance와 조직감은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 혼합에 따라 크게 영향 을 받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맛, flavor, 항목에서는 대조 군에 비해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p<0.05). 종합적인 기호도도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 시아닌 분말을 혼합한 시료들이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 아(p<0.01), 쇼트닝 첨가량이 밀가루 대비 약 80~100%, 설탕 첨가량이 50~100% 되는 빵류인 파운드 케이크 제조에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추출 안토시아닌 분말을 5% 정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은 항산화 활성으로 인한 건강에 유익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품질 특성에서도 명도가 낮았 다. 전체적으로는 갈색이 아닌 연한 보라색에 가까운 색상을 보여서 기호도가 높았고, 비용적은 첨가량에 따라 대조군에 아주 근소하게 낮았으며, 조직감의 대표적인 물성인 hardness 도 대조군에 비해 낮아 부드러운 물성을 가진 것으로 향후 제품 개발의 자료로 소개할 수 있을 것 같다.
        4,200원
        14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로 인하여 가공성이 낮은 C. lanceolata의 응용성을 높이기 위해 발효차를 제조하고, 열처 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화학 특성 및 항산화력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갈색도, 탁도, 환원당, 총 폴 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0℃ 15분 열처리한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3.71 ㎎/100 ㎖로 대조구에 비해 약 4.5배 증가 하였다. 항산화력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FRAP 및 환원력에서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력 이 뚜렷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 능에서 200℃ 15분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 85.40%로 대조구 45.17%에 비해 약 2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FRAP 및 환원력 또한 200℃ 15분 열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약 2~3배 이 상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선호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