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0

        121.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jurumpo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s daily outfit of Joseon Dynasty is a clothes which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creases under the armhole and it has a lot of chance to use on modern clothes design. This study wants to provide a information on traditional clothes to the public and modernize traditional clothes by designing modern women clothes by adapting Acjurumpo, one of Joseon Dynasty’s men’ daily outfit which is not very well-known to publics as a link of traditional clothes modernization. Acjurumpo’s characteristic is usually having a knife-shape collar and having two sup and one sup, but outside sup of having two sup was more common. There were tongsu, duri, as a example of shape of sleeve. For Mu the combinations were different from Acjurum starting with a shape of trapezoid, triangle to big Mu on a body of side line. For Gorum there were two pairs of long and short Gorum, two pairs of short Gorum or one pair of short or long Gorum. Slit of po was on both side or back. Acjurumpo which was adapted on modern clothes, it was usually used on Hanbok companies that used traditional shape or similar shape to design children’ clothes. This study designed three summer one-piece and two winter jacket for women clothes adapting Acjurumpo. And it was designed by using modern material adapting Acjurumpo’s characteristics, changing knife-shape collar, Acjurum, mu and Gorum. This study expects for popularization of many traditional clothes developed by modern design in future.
        4,200원
        122.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trends and to find a future direction in the area of clothing construction in Korea. The data were included articles on clothing construction published in the five major journals from 2000 through 2008 in Korea. The identified 513 articles were categorized in eight areas: design related clothing construction, study of body types, study of patterns, size of apparel, fitting of clothing, protective clothing and functional clothing, sewing and the othe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ercentage of articles on clothing construction among articles published in each journal, the percentage of articles on clothing construction was highest as 21.2%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nd next, 19.3% i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As to the percentage of research on cloth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me, research on protective clothing and functional clothing were largest as 28.2%, and next, research on body types as 18.9%, and research on garment size systems as 10.5%. Research on protective clothing has increased remarkably since 2000, and particularly in 2004 it was so active that it occupied 44.1% of research on clothing construction. Next, with regard to the subjects of research, research with female subjects was more frequent than that with male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and research with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was most frequent according to age. These results show somewhat unbalanced tendencie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4,800원
        12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MP3-playing 의류와 생체신호 센싱 의류 제품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용모델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품종류에 따른 구성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5.0 package를 사용하여 t-test를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제품종류에 따라 각 경로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AMOS 5.0을 이용한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557부의 온라인 설문에 대한 유효 표본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MP3-playing 의류를 높게 인식하였으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태도, 수용의도는 모두 생체신호 센싱 의류를 MP3-playing 의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된 제품의 판매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투입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들의 태도나 수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품의 종류에 따른 특성상 소비자들의 수용모델에 있어서 경로의 차이도 발생했다. 생체신호 센싱 의류의 경우 MP3-playing 의류에서는 지지되었던 '지각된 유용성→태도' 경로가 기각되었고 '지각된 가치→태도'의 경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P3-playing 의류보다 지각된 가치의 매개 역할이 더 높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찰해 볼 때, 스마트 의류는 이제 상용화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소비자들은 구매의사결정과정 중 필요의 인식이나 정보의 탐색단계에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필요한 효과적인 상용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000원
        12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ore attribute satisfaction on intentions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among clothing consum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9 consumers through survey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obtain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From factor analysis, seven factors were distracted: Fact 1(brand and price), Fact 2(store's facility and environment), Fact 3(product), Fact 4(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access), Fact 5(selling and advertisement), Fact 6(store's atmosphere), and Fact 7(salesman's service). 2. Four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verall satisfaction of clothing consume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Fact 2(store's facility and environment) and Fact 5(selling and advertisement), Fact 1(brand and price), and Fact 4(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access) showed their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in an hierarchical rank-order following Fact 2. 3. Four factors such as Fact 2 (store's facility and environment), Fact 1(brand and price), Fact 4(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access) and Fact 5(selling and advertisement) in an hierarchical rank-order from Fact 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s of revisit. 4. Six factors such as Fact 1(brand and price), Fact 2(store's facility and environment), Fact 3(product), Fact 5(selling and advertisement), Fact 6(store's atmosphere), and Fact 7(salesman's service) in an hierarchical rank-order from Fact 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5. The results further showed that among seven factors, Fact 1(brand and price), ‘Fact 2(store's facility and environment), and Fact 5(selling and advertisement) had impact on both the intention of revisit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4,900원
        12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TAM을 적용하여 혁신적인 의류 제품인 스마트 의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 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수용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각 구성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경로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스마트 의류 수용과정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한 공분산 구조모형을 구성하였고, AMOS 5.0 package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얻은 557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하였다. Davis(1989)가 제안한 TAM에, 스마트 의류 제품들의 판매 가격을 고려한 지각된 가치 변수를 적용하여 스마트 의류의 수용과정을 설명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입증하였으며, 8개의 경로가설 중 6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져 채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거쳐 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태도는 다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2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는 첨단공업 기술이 고도로 집적되어 있는 인간-기계 시스템(man machine system)이다. 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감성요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체와 오랜 시간 접촉해 있는 시트 표피재의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시트 표피재의 역학적 특성과 감성을 고려한 고급감을 예측하여 고감성 내장 표피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감성용어는 Softness(유연한), Elasticity(탱글탱글한), Volume(풍성한), Stickiness (끈끈한)를 설정하였으며, 이와 대응하는 표피재의 역학적 특성 치를 측정하였다. 피혁의 특성평가에 의한 결과로 resilience, bending moment, thickness와 friction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역학적 특성 치를 softness, elasticity, volume, stickiness 값으로 변화하기 위해 fuzzy logic을 사용하였다. 또한 Fuzzy logic의 결과인 Softness, Elasticity, Volume, Stickiness 값으로 피혁의 고급감을 예측하기 위한 신경망 모델(Neural network)을 구성하였다. 즉, 자동차 표피재 중 피혁의 4가지 물리량으로 인간의 감성인 표피재의 고급감을 예측하여 고감성 자동차 시트 표피재의 개발을 위한 예측 모델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4,000원
        13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creation background and social position of courtesan which is treated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its effect on fashion and research representative courtesans from ancient hetaera to the 19th century and their costume characteristics. Its another purpose is to analyze the costume of Violetta, who is a heroine of opera and its costume characteristic as a courtesan. Most Courtesan clothing were made from bright color, silk and lace which were light, or transparent materials. Using silk and cashmere which were the symbols of class, she took the cutting edge fashion and struggled to break the social barriers. The clothing which the Courtesan wore always became a gossip among people and popular to the designers who could show their creativities because the Courtesan boldly wore the cloth like movie actresses or stars. The Courtesan who led the fashion not only showed the fashion as a simple expression of the beauty but also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which reflected their social awareness with arts,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the time and people. Violetta's party dress which was shown in the first and third acts of <La Traviata> showed the shoulders and chest because of the deep and wide cut décolleté, the waist was tightened with a corset as much as possible, and the opulent hips were inflated by the crinoline so when they walked it was swaying. Also it was decorated with splendid materials such as silk and lace, and sparkling jewels, fans, and neckless and even in case of the general clothing in the second act, it was decorated with braids and lace, frills and ribbons. In the third act, the weakness of the sick woman who was closing her life as the splendid Courtesan was emphasized by using colors of white and light purple and thin transparent materials.
        4,900원
        138.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스마트 의류는 급변하는 환경과 테크놀로지 그리고 인간중심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보다 인간 중심의 요소와 감성을 중시한 디자인을 요구하며, 기술적인 측면과 함께 보다 인간 중심의 사용성 평가를 중시하는 디자인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를 위한 생체신호 측정 센서 기반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프로토 타입을 개발, 사용성 평가 및 착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정성적, 정량적 평가로 이루어졌으며, 사용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문제점의 수정, 보완을 통해 최종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4,000원
        13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의 차이를 조사하고,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의 변인이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분석과 Scheffé검증을 하였으며,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의 변인이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사이의 성인여성 436명이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미디어접촉도는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입과 직업유무는 의복가치관의 어떠한 하위변인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의복가치관은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