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121.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대두성력재배의 일환으로 만파밀식재배에 있어서 알맞은 질소의 시용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그 결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기는 질소시용량의 차이에 따라 아무런 변이도 나타내지 않으나 개화기 및 성숙기는 질소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2) 간장 및 절간장은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길어졌으며 경경은 반대로 질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늘어 짐으로써 이들이 도복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3) 주당협수는 질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1,000입중도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4) 10a당 수량은 품종간에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조생종인 품종(충북백)은 극만파재배(7월5일 파종)인 경우도 10a당 질소의 시용량을 6kg 수준으로 증시함으로써 수량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었다.
        122.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담수직파재배에 알맞은 파종립수를 구명함과 파종립수에 EK른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알고져 1972년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수는 밀파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수치를 보였고 그 이후는 점차 감소되었으며 분얼에 대한 경합은 m2 당 280립이상 파종구에서 뚜렸했다. 2. 유효경비율은 m2 당 120립부터 280립 파종구까지는 파종밀도가 증가될수록 감소되다가 그 이후는 점차 증가되었다. 3. 최고분얼수가 m2 당 1,000개 이하에서는 얼자간 경합이 적었다. 4. 수수와 파종립수는 현저한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수수와 일수영화수, 수수와 동숙비율은 (-)의 상관 경향이었다. 5. 수량과 m2 당 영화수는 r=0.929이며 수량과 수수는 r=0.695, 수수와 m2 당 영화수는 r=0.796이었다. 또한 수량과 수량구성요소간의 순위상관을 보면 수량과 수수가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r=0.954 담수직파에서 수량을 지배하는 요인은 수수이었다. 6. 수량은 m2 당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를 나타냈다.
        123.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시험은 비옥도가 중위로 보이는 유기공함량 5.0%, 전질소함량 2.8%, 인산 166ppm, 가리 1.13me/100g 및 규산함량 3.9ppm이 되는 논에서 고수준의 인산시용의 효과와 아울러 완숙 ?퇴비에 중과인산석회의 혼적에 의한 인산질강화퇴비의 시용이 수도의 생육과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의 효과는 10a당 5kg, 7.5kg 및 10kg의 시용구간에 수량과 그밖에 수량 구성각요소들은 유의차가 없으며 인산증시의 효과가 없었다. 2. 완숙한 볏짚퇴비 1000kg/10a 시용과 인산 5kg, 7.5kg 및 10kg/0a 시용구간에 현미수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나 수치적으로는 퇴비 1000kg/10a 시용구 220kg 인산 5kg/10a시용구 232kg, 7.5kg/10a 시용구 266kg 및 10kg/.0a시용구 243kg을 냈다. 3. 인산비료 즉 중과인산석회와 비료를 수도에 시용하는 경우에는 시용전에 그들을 미리 혼적하여 두었다가 시용한 것이 수량구성각요소가 증수의 방향으로 발현되며 현미량이 증대하였다. 4. 인산과 퇴비시용에 있어서의 교호작용은 각수량구성요소에 따라 구구하였는데 수량에 있어서는 인산과 비료를 병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인정하였다. 5. 이 시험의 10개처리구중에서 현미수량이 가장많았던 것은 10a당 인산 7.5kg과 퇴비 1,000kg을 3개월간 혼적해두었다가 시용한 구와 인산 5kg과 퇴비 1.000kg을 마찬가지로 3개월간 혼적해 두었다가 시용한 구가 가장 많았다. 6. 이 시험에서 퇴비의 시용은 등열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컸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