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8

        12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상제작 인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문영역 및 다양한 직급의 영상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만족도와 관련요인들의 직간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이들의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의사소통 능력이나 대인갈등 요소에 의하여 증가 혹은 감소되는 지에 대한 이중매개효과를 입증하고, 셋째, 최근 영상제작분야에서의 성차별 문제에 대한 증대된 관심과 함께, 전술한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의 이중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규명해 볼 수 있도록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업무자율성을 많이 가질수록 직업만족도도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업무자율성이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긍정적 직접효과는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두배 이상 월등히 강하게 나타난 점이 주목된다. 셋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남성의 경우 의사소통능력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의 경우에서만 대인갈등을 매개로 약화되었는데, 이러한 대인갈등의 부분매개효과는 여성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 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영상제작 인력의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6,300원
        122.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287명의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는 모두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에 만족하거나 빈번하게 노출되는 외국인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원산지 효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민족중심주의는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한류콘텐츠 노출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민족중심적 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의 경우 자국산 제품을 애용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더라도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은 경우, 이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한류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외국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있어 한류콘텐츠의 만족도 및 노출도와 자민족중심주의 간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국제마케팅 분야에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류콘텐츠를 활용하여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 역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300원
        12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서비스분야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표현을 하며 일해야 하는 감정노동자들의 고충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감정노동자들은 고객들에게 심한 모욕과 비인격적인 대우를 받아도 조직이 정한 감정규칙을 준수하여 항상 친절한 응대 와 태도를 유지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로 인해 감정노동자들은 심한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각종 질환에 노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자들의 직무불만족으로 인해 이직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종사원의 감정노동전략을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으로 구분하여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부조화가 직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 불만족이 파괴적인 반응행동인 태만행동과 이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감정표현규칙 몰입이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감정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8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7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내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불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셋째, 직무불만족은 태만행동과 이탈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직무불만족을 이중매개로 태만행동과 이탈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감정표현규칙 몰입이 높을수록 내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표면행동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 감정표현규칙 몰입의 조절효과가 일부만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5,800원
        12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제광고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의 현지화 혹은 표준화 논의의 중심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광고 수용에 대한 영향력을 정교화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주효과로써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감정소구라는 다른 주효과를 설정하여 두 변인 사이의 중재(moderating)효과 살펴보았다. 측정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하게 불확실성 요소는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문화차원과 감정소구 변인을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 중국 소비자의 경우 감정적 소구와 불확실성 요소를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장 높은 광고효과를 보인 반면, 한국의 소비자들은 감정적 소구 요소와 불확실성 수준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대의 광고효과를 보였다. 즉, 두 주효과 변인은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한 이론적 논의와 현업에 대한 시사 점은 본문에서 다루고 있다.
        5,500원
        12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innovative behavior and intention to leav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Korea Politechnics’ teachers and professors.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206 employees of Korea Politechnics campus.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Second, courtesy,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ppeare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intention to leave. Third, self-efficacy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m and intention to leave. Fourth, self-efficacy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manship and intention to leave.
        4,200원
        12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일과 가정의 명확한 경계가 무너지고, 가족이라는 사회구성 기본 단위가 가지 는 의미가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가정 균형(work-family balance)을 통해 직장에서의 요구와 가족 내의 책임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업 내 인적자원 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지난 30여년 가까이 수행되어 온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사회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일-가정 균형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종업원의 일-가정 양립 지각이 고몰 입 작업시스템->조직몰입->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지는 고몰입 작업시스템의 작동원리를 강화하는 효 과에 대해 측정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3개의 조직에 근무하는 368명의 종업원으로부터 2차에 걸쳐 수집한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일-가정 양립 지각이 1)고몰입 작업시스템과 조직몰입의 관계, 그리고 2)조직몰입 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동시에 조절하는 이중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고몰입 작 업시스템은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대한 일-가정 균형 지각의 이중조절효과는 지지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6,400원
        12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에서 구성원의 도전적 목표달성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중요해지면서 높은 수준의 성취가 요구되 는 상황에서 개인이 어떠한 목표를 선호하는가를 의미하는 목표지향성의 개념은 많은 학문적 관심을 받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목표지향성 중에서 학습을 통한 업무 능력의 향상 및 성장 관련 목표를 추구하고 자 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학습목표지향성과 탁월한 업적을 창출하거나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타인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자 하는 목표를 추구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은 직무에 대한 태도 및 성과와 관련 있는 목표지향성의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두 유형은 도전적 상황을 해석하고 대응 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직무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와 상이한 관계성을 맺을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조직구성원이 보유하는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경력 성공으로써 구성원의 경력에 대한 몰입 수준에 따라서 두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을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증명목표지향성으로 구분 하고, 이 두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진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차별 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국내 직장인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습목표지향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적 고갈에 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예상과는 달리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이 높을 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졌으며,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몰입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경력몰입이 낮을수록 학습목표지향성과 직무만족간의 정(+)의 관계 는 강해지는 반면, 학습목표지향성과 정서적 고갈의 부(-)의 관계는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을 보유한 구성원의 경우,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은 증가하는 반면, 경력몰입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경력몰입이 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목표지향성과 직무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보면, 본 연구는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에게 학습을 동반 한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업무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을 보유한 구성원의 경우에 는 승진 등 경력목표를 과도하게 추구함으로써 정서적 고갈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논문의 말미에 제시하였다.
        7,000원
        128.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 여성근로자가 활발히 진입하는 상황에서 객관적으로 보이는 조직문화와 조직특 성이 과연 남녀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조직스트레스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 한다. 지금까지 조직의 여성친화성은 대체로 일-가정 양립 지원 정도에 국한되어 다루어져 왔으며, 이는 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특성 자체가 근로자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과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조직문화를 경쟁가치모형에 기반한 1)집단지향문화, 2)혁신지향문화, 3) 시장지향문화, 4)위계지향문화로 구분하였다. 조직특성은 개인의 조직신뢰 정도와 인재관리로 구분하였 다. 이 후 조직문화와 조직특성이 성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조직스트레스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6차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자료를 활용하 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남녀 근로자는 조직문화를 집단지향/시장지향/위계지향/혁신지향 순으로 동일하게 인지하고 있으나, 여성보다 남성의 하위문화 인식 정도가 일관되게 높았다. 그럼에도 위 계지향문화의 경우, 남녀 간 인식차가 거의 없어 동일조건에서 여성이 위계지향을 남성보다 더 강하게 느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의 조직몰입이 남성보다 약한 것은 실제 성별의 차이가 아닌 조직문화와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지향/시장지향문화가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듯 보였 으나, 성별과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남성근로자의 조직몰입은 강화하나, 여성근로자의 경우 약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 볼 때, 객관적으로 보이는 조직문화 지향은 남녀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조직스트레스 에 상이한 영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여성근로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조직문화 하위요소의 차별적 강화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5,800원
        12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ductivity improv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goals which firms’ technology developments aim at. Firms’ improved productivity from technology development means that their inputs can produce more outputs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makes firms’ productivity improvement from technology development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age of technology advance and convergence like today.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technology collaboration network diversity on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rom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hief technology officer (CTO)-driven technology development on this influence. This study constructs the research model reflecting the moderating impact of the CTO-driven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sts it with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through the IBM SPSS version 23 by using the 2,000 data about South Korean SMEs. This research empirically reveals two points. One is that SMEs’ external technology collaboration network divers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oductivity improvement from technology development. The other i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MEs’ external technology collaboration network diversity on their productivity improvement from technology development is moderated by the CTO-driven technology development. The two points revealed in this study present two meaningful implications in not only the practical but also academic point of view.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it is effective for SMEs to use CTOs in increasing their productivity improvement from technology development.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making technology collaboration with more diverse external partners can increase SMEs’ productivity improvement from technology development.
        4,000원
        130.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술협력의 중요한 동기인 ‘학습’ 관점에서 기업이 다양한 파트너 유형과 협력하는 것이 혁신성과에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이 관계에서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과 전유성(appropriability)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협력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은 다양한 파트너가 가진 지식, 정보를 습득한다는 점에서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학습을 촉진하는 흡수역량은 파트너 다양성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고, 보유한 기술을 보호하려는 수단인 전유성은 파트너로부터의 학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는 제휴 포트폴리오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흡수역량과 전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2010년 기술혁신조사 제조업 부문 데이터 중에서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기계⋅자동차 업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한 결과, 다양한 유형의 기술협력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은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전유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700원
        13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혁신성, 위험추구, 사회목적 실현의 하위요소가 사회적기업 구 성원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기업 구성원의 신뢰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구성원의 직무태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인천, 대전, 제주 지역의 사 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총 115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사회목적 실현은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직무만 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직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신뢰 인식은 구성원의 직무태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신뢰가 사 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소와 구성원의 직무태도를 강화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뢰는 사회 적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 및 사회적 목적 실현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직무태도와의 관계에서 학문 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5,700원
        132.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LIS) on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OC) and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im, this research s pulled out the definitions of the variables from prior research and looked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population is the Korean shipping and logistics firm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by members of liners and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The questionnaires responded to by members of the sample firms were used as data fo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were tested by a factor analysis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 addition,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haves been verifi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LIS is confirmed as a factor in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OC and performance. The firms perform IOC by LIS in supply chains and as a result, they can achieve high performance. This is explained by fit as moderation by Venkatraman (1989).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OC and performance is explained by a resource-based view as 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S and performance is also explained by a resource-based view. . Managers grasp customer needs and disseminate the needs to organizations using superior LIS, followed by high performance. Managers structure efficient supply chain processes through IOC between organizations and improve performance in the whole proces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partners as well as departments. If managers want to achieve high performance through IOC, they should grasp their current level of LIS. This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 what strategic decision making could improve their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e the moderating effect of LIS on IOC and performance and if managers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they can improve performance.
        4,300원
        13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절차적 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검증하는 한편, 개인의 문화적 성향인 권력거리 성향과 개인주의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 의 관계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6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32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절차적 공정성은 조직몰입과 조직 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둘째, 권력거리성향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개인주의는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조 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부(-)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권력거리성향이 낮은 구성원들이 높은 구성원들보다 조직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 해 더욱 민감하게 증가된 조직몰입으로 보답하였다. 한편, 개인주의성향이 낮은 구성원들은 높은 구성원 들보다 조직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해서 더욱 민감하게 증가된 조직시민행동으로 보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조직이 절차적으로 공정하다면 채용, 승진과 같은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운용에 있어서 권력거 리성향이 낮고 개인주의가 낮은 구성원들을 우선시하는 것이 조직에 더욱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5,700원
        13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truction sites have gradually become bigger and bigger according to Korea economic growth. Also use of tower crane and other heavy equipment has been increased. The increased use of heavy equipment like tower crane is leading to fatality incident. This study will verify hazards to influence tower crane incident through structural and positive verification and find which hazard influence incident risk.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fety managers and tower crane operators for working environment, safety management, personal manage among risk factors, we can not find any evidence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ower crane incident risk between them. Second, task manage risk and personal manage risk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of tower crane incident risk. Third, while site environment risk has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task type between risk factors and perception of tower crane incident risk, personal environment risk has a significant nega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m.
        4,500원
        135.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d two aims. First,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product benefits and product identifica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wanted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o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paradigm and the product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purchase intention model, this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the benefits-product identification-purchase intention model. To test the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9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timulus used was a popular model of Nike running footwear: the Luna Eclipse+2.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indicate : (1) The aesthetic benefit influenced product identification positively. The aesthetic benefit, functional benefit and product identification were all positive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2) The aesthetic seeking tendency mediated the influences of product benefi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consumers in the ‘high’ level group of aesthetic seeking tendency, aesthetic benefit and social benefit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for consumers in the ‘low’ level group of aesthetic seeking tendency, the functional benefit on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is study, we find evidence that product benefits and aesthetic seeking tendency play important roles in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in product purchase.
        4,600원
        136.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there has been much conceptual evidence of the positive link between customer equity and firm’s performance, comparison of relationships between two firms based on customer equity and firm profitability is limited.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in the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ole of customer equity on firm profitability by comparing two firms, in a customer equity sett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newly acquired CE of the second top company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top company while the effect of retained CE of the top company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top company. Overall, the results offer strategic implications for firms to implement a different customer equity strategy in this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137.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the global cosmetics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cosmetics firms need to be more market-oriented. Consumers purchase cosmetics products not only based on product-related attributes (e.g., function) but also for non-product-related reasons such as novelty and a pursuit of variety. They are exposed and have access to a variety of choices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which further complicates decision-making. Globalization offers great opportunities for marketers as it may help expand the horizon of the market beyond the domestic boundary. Given that the market is becoming more competitive,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what influences purchase decisions of global consumers. This study considers and examines extended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Extended SGCC) and its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which in turn influences behavioral commitment and loyalty. We consider four elements of extended SGCC: conformity to consumer trend, social prestige, quality percep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 test whether country of origin (COO) moderates the proposed relationships. In order to test the model, we collected data from the purchasers of botanical cosmetics products that came from several different countries. A total of 798 us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425 users of domestic brands and 373 users of foreign brands). We performed several analyses related to the measurement model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alph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s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we estimated the structural model. The overall model fit indices include: χ2=1118.934 with df=239, p=0.000; GFI=0.884; AGFI=0.855; NFI=0.924; CFI=0.934; RMSEA=0.068; RMR=0.069. The study finds that all elements of SGCC,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prestig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Specifically, conformity to consumer trend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is means that consumers who conform to the global trend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commitment. One implication is that cosmetics firms may want to communicate to the consumers that their products fit the lifestyle corresponding to the global tren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social prestige is not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It seems that social prestige is not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botanical cosmetics products. This is understandable because, unlike some prestige products that consumers wear or use to be associated with their image or perceived quality (e.g., car, handbag), consumers may not purchase botanical cosmetics products to upgrade their social status. As expected, quality percep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e study shows that quality perception h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affective commit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ffective commitment. The finding suggests that companies should be or remain active in taking initiatives that advance social welfare. Our study shows that both affec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loyalty. Behavioral commitment, which consists of items representing purchase tendency, has a greater influence on loyalty than affective commitment. We anticipated that country of origin (COO) would moderate the proposed relationships. We fin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O.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re upheld regardless of COO. It seems that global consumers evaluate foreign brands in the same manner as they do domestic brands. This suggests that cosmetics firms may want to be careful in differentiating their strategies based on countries as the return on investment may not be as handsome as they thought and global consumers may hav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with respect to how they evaluate and purchase cosmetics products.
        138.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cept of retail therapy which refers to “the phenomenon in which consumers buy things to make themselves feel better” (Kacen, 1998) has been used by the U.S. retail firms in marketing (Kang & Johnson, 2010). Previous studies found that retail therapy concept was associated to consumption behaviors including compulsive buying (Faber & O’Guinn, 1992; O’Guinn & Faber, 1989). Frost et al. (1998) found that compulsive hoarders show compulsive buying tendencies. O’Guinn and Faber (1989) found that compulsive buyers are more likely to confirm compulsivity as a personality trait with a low self-esteem. Lack of research into association of retail therapy to compulsive consumer behaviors motivated us to pursue this study which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retail therapy, compulsive buying and compulsive hoarding,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therapy and compulsive hoarding. Our research questions are: (1) How retail therapy is related to compulsive buying and compulsive hoarding? and (2) Which personality trait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therapy and compulsive hoarding?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proposed. H1: Retail therapy is positively related to compulsive buying; H2: Compulsive buying is positively related to compulsive hoarding; H3: Retail therapy is positively related to compulsive hoarding & H4: Personality trai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therapy and compulsive hoarding. The researchers used 12 items to measure retail therapy (Kang, 2009), 6 items to measure compulsive buying (Faber & O’Guinn, 1992), 9 items to measure compulsive hoarding (Frost, Sketekee, & Grisham, 2004) 8 items of Big Five Inventory (Rammstedt & John, 2007) and 15 item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 (Ames, Rose & Anderson, 2006) to measure personality trait based on 7‑point Likert scales (1 = strongly disagree, 7 = strongly agre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a major Midwestern University. A total of 354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data. A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of each construct. The factor loadings were above of 0.60, indicating acceptable convergent validity. Reliabilities with Cronbach’s alphas for retail therapy,compulsive buying, compulsive hoarding and personality trait construct were 0.96, 0.81, 0.90 and 0.81 respectively, exceeding the suggested level of 0.70. Simple linear regression was performed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 statistic (F(1, 352)=126.53, p =.000) was significant and regression coeffici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H1 was supported and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Faber & O’Guinn, 1992).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path from compulsive buying to compulsive hoar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 352)=77.15, p=.000). Therefore, H2 was supported and consistent with Frost et al. (1998)’s study. The retail therap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of compulsive hoarding wit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ression results (F(1, 352)=20.28, p=.000), supporting H3. From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rom 23 personality trait measurement items which are labeled as “authority-leadership narcissism”, “self-esteem narcissism”, “positive disposition”, and “negative disposition”. All factor loadings were above 0.60 for their respective factors. Then, the researchers divided one single group into four personality trait groups, using these four factors. 4%, 27.1%, 53.7% & 15.3% participants represented “authority-leadership narcissism”, “self-esteem narcissism”, “positive disposition” & “negative disposition” group respectively.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H4.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positive disposition group (F(1, 188)=13.19, p=.000) and negative disposition group (F(1, 52)=5.01,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4 was partially suppor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from two groups characterized by positive/negative personality tend to engage in compulsive hoarding to alleviate their negative feelings or mood. Anyone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with a high self-efficacy may not be engaged in compulsive hoarding even when a therapeutic treatment is made through shopping. They tend to purchase products for changing their moods, but their therapeutic behavior doesn’t lead to compulsive hoarding, which causes sufferings in the end. The low self-esteem has been presented with people being engaged in compulsive behaviors (Marlatt et al., 1988). These findings can help apparel marketers develop the strategies to upgrade their sellingenvironment entertaining so that their customers’ moods are repaired and customers feel satisfied through therapeutic shopping behavio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prevents us from generalizing the results to the young consumer population due to sample size to college students.
        3,000원
        13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Korean companie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SMEs, and the role of the CEO and management ownership is important for enhancing the firm’s competence and developing strategie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management ownership on company financial growth.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ny age and size on Korean fashion SMEs’ financial outcomes. Financial data based on company financial statements from 2012 to 2014 was collected by the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of Korea’s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 total of 295 companies’ (domestic fashion businesses) data was analyzed by the bootstrap method. The median sales value in the financial year 2014 was 47,492,403,958 KRW, and the company size was divided by it. The companies were in business for an average of 20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nagement ownership had a negative effect on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for the three-yea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moderated by company age.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management ownership and company age on 3-CAGR was also moderated by company size. When the companies had spent only a few years in business, a negative effect of management ownership for small firms and a positive effect of management ownership on financial growth for medium firms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ll companies starting business need to manage their company governance structure to make flexible decisions, and after retaining financial growth, the companies can expand their businesses based on strong ownership.
        4,800원
        140.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몰입을 정 서적몰입, 규범적몰입, 유지적몰입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몰 입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리더-부하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규명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조직몰입의 정서적, 규범적, 유지적몰입, 직무만족도, 리더-부하교환관계 등을 포함하여 총 5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누적설명력은 71.270%로 나타났다. 탐색적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개념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모든 항목에서 비교적 적합한 수준을 보였고, 신뢰도 분석 결과 모든 측정항목의 내적일관성도 매우 우수한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β= .428), 유지적몰입(β= .342), 규범적몰입(β= .293)의 순으로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식음료 종사원이 조 직에 몰입하게 되는 감정적인 애착의 정도로써 정서적몰입 이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며, 조직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상황적인 측면에서의 유지적몰입과, 조직에 대 한 신념의 정도로써 규범적몰입도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유 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조직 에 대한 몰입이 높아질수록 개인적인 측면에서의 직무만족 도 높아지기 때문이며, 조직은 구성원 간 강한 결속력을 만 들고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직 내외적으로 구축할 필요 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정서적몰입, 규범 적몰입, 유지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리더-부하교환관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나 가설 2는 기각되었다. 분석 결과 리더-부하 간 밀 접한 교환관계를 가질수록 조직몰입 하위 3개 요인 모두 직 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컸지만, 유의미한 수 준은 아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력이 리더-부하교환관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음을 시사해준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문적인 시사점으로써, 본 연구는 특급 호텔 식음 료 부서 종사원이 지각하는 조직몰입을 정서적몰입, 규범적 몰입, 유지적몰입으로 구분하고 직무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해 실증함으로써 이론적인 토대를 구축하였다. 현재까지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를 고찰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지만, 조직몰입을 세부적으로 구 분하여 어떠한 측면의 몰입이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만족도 를 유발하는지 검증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었다. 특 히 특급 호텔의 경우 인적서비스로 이뤄지는 기업의 특성 상 종사원의 몰입과 만족이 조직의 성과에 매우 중요하며, 이러 한 시점에서 이뤄진 본 연구는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 원의 조직몰입을 거시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직무만족도와 연계하여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몰입과 만족도 증진을 위한 조직차원의 중요한 실 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본 연구를 통해 특급 호텔 식 음료 부서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 는 변수가 정서적몰입이라는 사실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자 신이 속한 조직에 진심어린 노력과 내재적인 충성을 다하려 는 정서적몰입이 다른 몰입 변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 무만족도에도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으로 추측된 다. 특히 정서적몰입이 높은 경우 자신이 속한 조직을 다른 사람에게 매우 호의적으로 표현하고 평가하기 때문에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증가 뿐 만 아니라, 특급 호텔의 외적인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특급 호텔 차원에서 구성원의 자발적 행동으로써의 정서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조직의 내외적인 의사결정에 종사원을 참여시키고, 내부마케팅 의 일환으로써 조직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도 필요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종사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과 만 족이 리더와 부하간의 상호관계에서도 비롯되므로, 조직 내 멘토나 멘티를 활용하여 리더와 부하직원이 밀접한 교환관 계를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며, 조직 내 동아리 지원이나 여 가 프로그램을 확대함으로써 조직과 구성원이 정서적인 유 대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모형은 독립변수로써 조직몰입과 종속변수로써 직무만족도 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직무와 조직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태 도를 포괄적으로 함축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하겠다. 더 불어 조직몰입이라는 개념은 개인과 조직 사이의 상호작용 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각 개인과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 르게 나타날 수 있고, 개인의 직무에 대한 태도보다는 조직 에의 잔류나 이직을 결정하는데 더욱 중요한 요인이므로, 추 후 연구에서는 조직몰입과, 개인조직적합도와의 관련성을 고 찰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서울 지역의 특 1급 호텔에 근무하는 식음료 종 사원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확대하 여 해석하기에는 제한적인 결과라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연 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몰입을 증진시키는 것이 조직의 성 과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현 시점에 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변수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