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5

        12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present a class model of SQ3R instruction, which consists of 5 stages of reading strategy, 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learners’ self-efficacy and their reading comprehension. Five reading steps of reading strategy were instructed associated with skill practices, annotating, note-taking and summary outlining. A total of 23 students in a college academic reading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ents’ self-selected academic reading materials were used for the course. Reading self-efficacy survey and the academic reading part of IELTS practic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Student products such as annotated texts and reaction writing as well as portfolio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urvey and academic re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rners’ reading self-efficacy and their reading ability were improved and that the students seemed to have gained more confidence in academic reading.
        6,000원
        122.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ich facets of perceived self-efficacy (PSE) in L2 read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L2 reading proficiency (L2RP), which type of linguistic knowledge feeds into PS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L2RP when considered together. Participants (n = 95) were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Four subcomponents of PSE were identified for investigation: text-based PSE, general PSE, PSE in linguistic knowledge, and PSE in authentic reading.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general PSE whose items reflect dimensions of social comparative influences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over environments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L2RP (R2 = 17.7%).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linguistic knowledge and PSE, vocabulary knowledge (VK) was shown to be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PSE when considered together with grammar knowledge (GK) and L2RP (R2 = 22.9%), while VK and GK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2RP (R2 = 69.4%). PSE was not found to make an independent contribution to L2RP when considered with linguistic knowledge.
        6,600원
        12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peer-to-peer interaction during collaborative, computer-mediated reading tasks. Fourteen university EFL students in Korea worked in pairs to complete three gapfill tasks. The transcript data from these tasks were analyzed to determine: (1) how often collaboration occurs during collaborative reading tasks, (2) the ways in which peers help each other, and (3) how successful peers are in resolving the problems they collaboratively pursue.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of these aspects of interaction varied among sets of pairs. On average, however, the participants collaborated to jointly solve 75% of the problems they encountered. They also used a range of helping behaviors during collaboration. While the participants correctly resolved nearly half of the problems they attempted, half were incorrectly answered or unresolved.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offered, in addition to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to collaborative reading tasks.
        6,400원
        125.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은 중국으로의 귀환 이후 시행된 兩文三語정책 아래 소수 민족의 중국어 교육은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다. 비중국어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욱 효과적인 중국어 학습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게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홍콩대학은 홍콩교육국의 연구 과제를 수주한 이후, 학교에서의 방과 후 중국어 학습을 지원하게 되었다. 중학교에서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최근 일년 동안은 소학교까지 확대하였다. 본 연구는 「閱讀促進學習」(R2L)이라는 교수법 이 비중국어권 소학교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연구대상들의 작문 문제가 어디에 근거하였는지를 측정하였고, 「閱讀促進 學習」(R2L)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설계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20개의 소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 년간에 걸친 교육에서의 예측과 한자, 어휘, 구절과 전체 문장을 점층적으로 확대 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신장시킨 후,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이 학습법 시행 이전과 이후를 검토하여, 「閱讀促進學習(R2L)이 어떻게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연구 이후, 홍콩에 거주하는 비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그들 이 홍콩 사회에 더욱 융화되어, 구직을 하는데 조금 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4,600원
        126.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nomia movement that emerged in Italy in the 1960s from workerist (operaismo) communism gives historical and discursive context to Manfredo Tafuri’s famous criticism of ideology. His thesis on the death of architecture was a radical criticism of Keynesian intervention which w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Great Depression. For him, this capitalist development had taken away ideological prefiguration from architecture. At least Tafuri’s this early intellectual phase was formed in the wake of magazine Contrapiano and Antonio Negri’s influence. Tafuri almost entirely adapted Negri’s thought on the importance of capitalist innovation that was uncovered by Keynes, Schumpeter, and Manheim and the periodization in modern history. When we read Tafuri’s text with this concrete context, we can avoid being plunged into his abstruseness. On the other hand, 1980’s Korea cannot understand Tafuri comprehensibly. 1980’s situation to struggle to acquire democracy prescribed only one mode of reception of Tafuri’s historiography in Korea. Tafuri’s so-called pessimist view point could not satisfy student activists. They want to take intellectual means to sustain student movement and to secure political dynamics of protest.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anxiety to understand tafuri’s thesis that they consider ad a critical theory for Korean Architecture. Double contexts of Tafuri’s criticism of ideology bring to light to historicize both Tafuri’s historiography itself and reception of his text in Korea.
        4,000원
        127.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overall English proficiency influences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reading fluenc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explain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EFL learners with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framework, when the age factor is controlled for. One hundred sixteen eleventh-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two highly distinct groups in general English proficiency―55 Most Highly Capable Students (MHCS) and 61 Capable Students (CS)―were tested on measures of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reading fluenc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both MHCS and CS groups. However, the results from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hile listening comprehension was a stronger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MHCS group, it was reading fluency that explained more variance in comprehension of the CS group.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s are discussed.
        5,800원
        12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유기』는 불교적 구도의 과정에서 각 층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며 승화해 가는지를 그려낸 소설이다. 본고에서는 豬八戒의 이름과 거처, 그의 데릴사위 살림, 그리고 손오공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 각 측면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인물형상에 담긴 불교적 상징과 비유,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떠한 불교적 주제의식을 구현하고자 하는가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저팔계는 天蓬元帥, 豬剛鬣, 豬悟能, 豬八戒의 이름을 갖는다. 그 이름은 각기 번뇌의 대표 (천봉원수), 자아의 집착(저강렵), 주체와 대상의 불이성을 깨달으라는 과제(저오능), 자아의 승화를 위한 실천방안(저팔계) 등을 상징한다. 저팔계의 거처 또한 풍부한 상징적 함의를 갖 고 있는데 烏斯藏國은 달의 나라로서 진리를 대상화하여 집착하고 있는 팔계의 현주소를 드 러내는 이름이다. 福陵山은 팔계가 복을 쌓아 산을 이루는 방식으로 구도에 임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하고, 雲棧洞은 팔계가 걷고 있는 것이 허구의 길이므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음을 말해준다. 저팔계는 달을 상징하는 姮娥, 卯二姐, 翠蘭에게 집착한다. 그것 은 진리에 눈뜨는 길과는 정반대의 길을 걷는 일로서 팔계가 줄곧 데릴사위의 살림을 산다는 사실을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저팔계는 손오공과의 관계를 통해 그 자아의식 으로서의 본질이 잘 밝혀진다. 손오공은 팔계를 감시관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은 서천여 행의 핵심내용이 된다. 불교적 진리는 마음의 작용(팔계)을 밝게 관찰하는(손오공) 일을 통해 서 밝혀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팔계는 서천여행이 끝나고 여래에게 정단사자라는 이름을 받게 된다. 그것은 출발시의 팔계가 갖고 있던 8만 4천 번뇌가 있는 그대로 8만 4천의 지혜와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었음을 밝히는 이름이기도 하다.
        5,200원
        12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y of reading text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Fou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series published by three publishers were evaluated by Word Critical Factor (WCF). WCF considers cognitive demands for word recognition; it assesses the match of linguistic content in the text with the phonetically regular and high-frequency words that are associated with particular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For the analysis, all of the words that appear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from fou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by two criteria, that is, the ratio of high frequency words and phonetically regular words among 100 running words, and the number of unique words in each textbook.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textbooks’ difficulty levels were very high considering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This was due to the textbooks having a low repetition of words and also the complicated vowel patterns that were above the reading abilities of students. All of these factors combined are what have caused the difficulties presented in English textbooks.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ading text introduces a variety of genres and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skills, most reading text could not assist the reader’s cognitive processing.
        5,800원
        13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컴퓨터 모니터의 다른 바탕색이 시각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특정 패턴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 정도와 읽기 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눈에 안과적 질환이 없고 시력이 1.0 이상인 20명(평균 연령 26±4.68세)을 대상으로 하였 다. 바탕색이 흰색인 컴퓨터 모니터, 대상자가 가장 편하게 느껴진다고 선택한 바탕색의 컴퓨터 모니터, 흰 색 조명의 스탠드, 12가지 색상 중 대상자가 선택한 조명색의 스탠드 등 4가지 경우의 조건에서 패턴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5점평가척도(더 높은 점수는 더 높은 불편함 정도를 나타냄)로 불 편함 정도를 측정하였다. 읽기 속도는 분 당 정확하게 읽은 단어수(wpm)를 세고 생략된 줄, 잘못된 단어 및 순서 등을 제외하고 측정하였다. 읽기 속도는 컴퓨터 모니터 배경이 흰색인 경우와 선택한 컬러의 경우에서 두 차례 측정하였다. 결 과: 컴퓨터 모니터 바탕이 흰색인 경우 불편함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3.6점), 선택한 색상이 비치는 스탠드에서 불편함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2.47 포인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바탕 색이 흰색인 경우 1분간 읽은 단어수가 123.7±26.2 wpm이었던 반면 참가자가 선택한 색이 배경인 경우 1 분간 읽은 단어수는 132.4±26.4 wpm으로 읽기 속도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05). 결 론: 본 연구는 편안하다고 느껴지는 색상을 배경으로 사용할 경우 시각적 불편을 줄이고 읽기 능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에서 선택한 편안한 색상이 비치는 스탠드 사용 역시 장시간 컴퓨터를 이용 한 작업시 시각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의적인 색상보다 신중하 게 선택한 바탕색이나 스탠드의 빛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
        13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캐슬린 백작은 극히 상징적인 극이다. 캐슬린은 부분적으로 앵글로-아 일리쉬 엘리트에 대한 예이츠의 이상을 나타내지만, 그녀에게 부여된 이미지와 역할은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상징적 면을 나타낸다. 그녀는 국가, 아일랜드인의 정신성, 및 눈 에 보이지 않는 영혼을 나타낸다. 이 극의 중심이 되는 것은 예이츠가 수집한 민간신앙 과 이야기들에 뿌리를 둔 저 세상과 현세와의 교감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저 세상과의 접촉이 악마의 황금과 영혼을 바꾸는 일로 나타나는데 이는 극적인 정신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캐슬린이 사람들을 위해서 모든 것을 희생하게 만드는데, 이때 악마들의 역할이 필요하다. 캐슬린은 사람들의 생명에 필수적인 그래서 꼭 지켜져야 하는 것을 상징한다. 동시에 그녀는 동정심이 강하면서 저세상과 근본적으로 맞닿아 있는 영혼을 상징한다.
        5,500원
        13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문화적 사이성”이라는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예이츠 문학과 포크너 문학의 비교문학적 읽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식민주의의 유산과 상 호대립적인 종교적 전통 속에서 그 문화적 정체성의 불명확함을 보여주는 것이 예이 츠 문학의 특징이라면, 포크너의 문학은 미국/남부라는 대립 속에서 타자화되고 혼종 화된 남부의 역사적 유산을 숙명적으로 대면해야 하는 비극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작가의 균열된 의식이 어떻게 “아일랜드성”과 “남부성”을 재정의하 며 아일랜드문학과 미국문학의 경계를 교란하는지 논의한다.
        4,900원
        13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블레이크, 셀리, 오노레 발자크같은 작가들의 작품을 읽음으로써 그의 시적 창작에 영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의 세계령 사상 형성의 이론적 배 경으로 삼고 있다. 예이츠는 블레이크의 예언시를 편집하면서 자신의 신비종교에 관한 관심을 강화시켰고, 셸리에게서는 세계령을 문학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 했으며, 발자크로부터는 인간의 의지가 세계령의 기본이 된다는 것을 인식했다.
        5,200원
        134.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123 English reading-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Teaching from 1965 to 2014 in order to consider what has been studied in English reading and how, and to gain insight into what has to be studied and how from now on. To fulfill this purpose, th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basic data,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hemes across four time periods.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it has to be admitted that English reading-related research has made notable, impressive advances in quantity and quality. In particular, it is notable that research methods and themes have been diversified and expanded across the periods. For further development, it is required for researchers' ceaseless endeavor to explore ongoing issues and troublesome gaps in English reading research and to establish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reading research in Korean EFL context.
        6,700원
        135.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eading motivation varies in its predic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L1) and English (L2) (with parental involvement being controlled for), and how reading motivation in each language is associated with language proficiency. Participants consisted of 289 EFL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ree questionnaires and four language tests were employed to measure learners' reading motivation, parental involvement, language profici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their L1 and L2. Results indicated that L2 reading performance was positively predicted by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grades/utility, whereas the only positive predictor of L1 reading comprehension was intrinsic motivation. Moreover, in both L1 and L2, the high-proficiency group was found to exhibit significantly stronger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an the low group; the high group's in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e middle group; and the middle and low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extrinsic motivation.
        6,400원
        13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loss locations in extensive reading readers on English reading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It examined four groups of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n extensive reading class was conducted over sixteen weeks. The four groups were given graded readers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glosses, such as non-gloss, marginal gloss, footnote gloss, and endnote gloss.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pre- and post-reading ability test for the cognitive domain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see if there were any achievement i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our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the reading ability tes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extensive read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2) The footnote gloss group showed the greatest chan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footnote glosses influenced the most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3) All the group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affective domain including attitude, self-confidence, interest, expectation, and value. In conclusion, extensive reading made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groups and footnote glosse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6,000원
        13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Korean university EFL learner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two reading tasks (i.e., literal vs. inferential reading). To this end, five latent factors (linguistic,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English reading) were target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five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for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task, linguistic,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made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reading performances, whereas the effect of affective factor was not significant. Regarding the inferential reading task, only linguistic and cognitive factor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Implications for pedagogy as well a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provided.
        5,800원
        138.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L2 reading achievemen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 total of 327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L2 read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The students’ L2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measured by scores on the practice test for Scholastic Aptitude Test (PSAT) and self-assessed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L2 reading efficacy, L2 reading strategy use, and L2 listening skil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L2 reading achievement, while L2 reading motivation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reading achievement. The nonsignificant path loading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chievement implies that reading motivation alone is not sufficient to promote students’ L2 reading proficiency. The final SEM model indicated a relatively strongest contribution of L2 listening ability over L2 reading efficacy and strategy use to L2 reading achievement.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discussed.
        5,400원
        13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는 정통 신학적 바울 이해와 차별화된다. 바울의 새관점 학파 등장 이후에 바울을 유대인의 배경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타우베스는 이런 전통에서 철학적 바울 이해를 추구한다. 슈미트의 영향 아래 바울을 정치신학으로 해석한 타우베스는 바울을 유대인으로서 메시아적 소명에 따라 이방인의 사도가 된 인물로 해석한다. 이런 정체성을 가진 바울이 유대인과 로마제국의 노모스 신학에 대항해 새로운 정치신학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로마서 독해를 통해서 타우베스는 바울이 프네우마의 원리에 따른 종말론적 정적주의를 지향한다고 강조한다. 이런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는 세 가지 근대적 해석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첫째, 로마서에 나타난 저자의 의도와 텍스트의 심층구조를 분석하는 해석학적 방법론이 근대적이다. 둘째, 유대인 대 반유대인의 대립 구도를 드러내는 인종주의적 인식 프레임이 근대적이다. 셋째, 정치신학적 테제가 근대군주론적 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근대적이다. 이런 해석학적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는 탈근대적 바울 담론의 주요 텍스트 중의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
        5,700원
        14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독해’영역의 내용을 토대로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 문항을 검토하여 새로운 ‘독해’영역의 평가문항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평가문항 개발 방향의 모색을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요소에 따라 국가수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과 학교수준의 평가문항을 검토하였다. 문항의 검토를 통해 장단점을 확인하고 새로운 평가유형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평가의 유형이 지필평가 문항에 제한되어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다양한 평가요소들이 문항으로 실현되지 못하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평가문항의 유형과 평가의 내용이 다양하지 못했으며, 다양한 글감을 통해 ‘독해’영역을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외적인 문제의 해결점은 교육과정 내용 및 평가 요소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통한 이론의 정립과 다양한 한문교육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평가문항의 개발과 같은 실천적인 접근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