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

        141.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gar, starch and lignocellulosic biomass has been mainly used as raw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the bioethanol. However, the sharp fluctuation of grain prices, a threat of world famine, and hardly biodegradable substance like lignin contained in lignocellulosic materials make the pre-processing of the biomass complicated in several aspects. As a result, the focus of attention has now shifted to the ‘third biomass’ such as algae, which has a high value of energy recovery. In this study, a kind of macroalgae and its characteristic were surveyed and then, the physical, biological, chemical, combined, and hydrothermal pretreatments for its hydrolysis were deeply considered. Consequently, the macroalgae could be more effectively hydrolyzed at the combined process such as the hydrothermal-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chemical-biological treatment and so on than the single process like the biological pretreatment.
        142.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prepare calcium-binding peptides as calcium supplement, barley proteins were hydrolyzed using Flavourzyme for 18 h and the hydrolysates were ultra-filtered under 3 kDa as a molecular weight. The resultant filtered peptides were fractionated using ion exchange and normal-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n each fraction that was obtained was determined for its calcium-binding activity to isolate the calcium-binding peptides. As a result, the highest calcium-binding peptide fraction was obtained,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barley protein hydrolysates can be used as a calcium supplement.
        143.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irutin-added alcohol fermentation of citrus hydrolysates were investigated to produce functionally improved citrus wine. The pH of narirutin-added citrus wine ranged from 3.38 to 3.51, and the titratable acidity was about 0.55% which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the narirutin quantity. With regard to the color and brown color, with the addition of more narirutin, the a value was decreased while the b value and brown color increased. The sugar content decreased from 24 to 8.0-8.5 ˚Brix after alcohol fermentation, and the alcohol content appeared to be between 14.5 and 14.6% in all the sections. For the free sugar contents, the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in every section. F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t was shown to increase when more narirutin was added. and the 2%-narirutin-added section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46.44 m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were that the color, flavor and bitterness increased while the swee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reduced by the additional narirutin. Functionally improved citrus wine can be produced by using narirutin, but more researches regarding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overcome the bitterness.
        144.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아미노산의 혐기성 분해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아미노산 별로 혐기성 분해를 평가하였다. 아미노산의 개별 평가를 위해, 두 종류 아미노산간의 공동대사 반응인 stickland reaction은 제한시켰고, 혐기성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COD, T-N, NH4+-N, Biogas, CH4 등의 변화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에 의해 생성되는 암모니아성질소를 통해 아미노산 분해율을 판단하였고, 이를 위해 각 아미노산의 질소농도를 1,000mg/L로 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알라닌, 시스테인, 리신, 류신, 메티오닌, 아르기닌, 글리신, 히스티딘의 항목 중 시스테인, 류신, 메티오닌은 탈아미노화가 61.55%, 54.59%, 46.61% 밖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의 경우, 탈아미노화에 기인된 유기물질의 혐기성분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3종류 아미노산이 폐수에 높게 함유되어 stickland reaction이 완벽하게 충족되지 않는 조건이라면, 이 아미노산들은 혐기성 소화 공정의 처리효율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145.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감귤 가수분해물에 각각의 당(설탕,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으로 보당하여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함량은 모든 보당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특히 설탕 보당구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감귤와인의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및 malic acid로 총 3종이 검
        150.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eaction model and reactions rate accelerated by o-iodosobenzoate ion(IB⊖) on hydrolysis reaction of p-nitrophenyl valate(NPV) using ethyl tri-octyl ammonium mesylate(ETAMs) for quaternary ammonium salts, the phase transfer catalysis(PTC) reagent,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IB⊖ on hydrolysis reaction rate constant of NPV was weak without ETAMs solutions. Otherwise, in ETAMs solutions, the hydrolysis reactions exhibit higher first 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nucleophile, IB⊖, and ETAMs, suggesting that reactions are occurring in small aggregates of the three species including the substrate(NPV), whereas the reaction of NPV with OH⊖ is not catalyzed by ETAM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PV were tested to measure the change of rate consta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PV as substrat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was weak. This means the reaction would be the first 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nucleophile. This behavior for the drastic rate-enhancement of the hydrolysis is referred as 'Aggregation complex model' for reaction of hydrophobic organic ester with o-iodosobenzoate ion(IB⊖) in hydrophobic quarternary ammonium salt(ETAMs) solutions.
        15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체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 분석에 필요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은행잎을 이용하여 중심합성법으로 설계한 산 가수분해 시간과 HCl 농도에 따라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SAS의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산 가수분해 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HCl 0.5~2.5 M, 0.5~2.5시간 범위 내에서 10개의 구간을 잡아서 최적화한 결과 1.5~1.9 M의 HCl 농도와 1
        155.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태 효소 가수분해물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된 신선한 고등어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이 부여된 고품질 간고등어를 제조할 목적으로 감태 효소 가수분해물의 적정 처리 조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감태 효소 가수분해물 처리유무 및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간고등어의 일반성분, 염도, 대장균, pH, 휘발성염기질소, histamine 및 과산화물값은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DPPH free radical, hydroxyl radic
        15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열수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한 세리신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2종의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여러 산업용효소 중 세리신에 대한 분해효과가 우수한 alcalase, flavourzyme 및 protamex를 이용하여 분해한 결과 세리신의 분자량은 20 ~ 30 kDa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사용한 효소별로 특이적 가수분해물이 나타났다.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항산화능을 살펴본 결과 원래 세리신에 비하여 DPPH 소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flavourzyme과 protamex를 같이 사용한 경우 약 85 %의 소거율을 나타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경우에는 세리신 가수분해물이 오히려 더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분획을 실시하고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F2와 P3의 분획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159.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두유와 전두유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두유(SM)과 전두유(WSM)에 비해서 저분자 두유(LSM)와 저분자 전두유(LWSM)에서 높게 나타났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SM과 LSM에서 비슷하였으나 LWSM은 WSM보다 높게 나타났다. SDS-PAGE 전기영동 패턴 분석결과 SM과 WSM에서는 의 고분자가 존재하였으나 LSM와 LWSM에서는 17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