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8

        14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레스토랑의 실내 색채와 배경 음악 및 레스토랑 분위기의 일치성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인 지역 20~30대 400명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색채와 음악의 앙상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D studio MAX를 활용하여 high-stimulus(exciting) 자극물과 low-stimulus(calm) 자극물을 제작하여 3D 가상현실 레스토랑 시뮬레이션 자극물로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8.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감정적 반응은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의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와 충성도는 1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색채와 음악이 레스토랑 분위기와 어울리는 정도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배경음악의 어울림이 실내 색채의 어울림보다 긍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실내 색채의 어울림이 배경음악의 어울림보다 부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레스토랑 분위기와 색채, 음악의 조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143.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perception of service encounter elements,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 family restaurant. Based on a total of 408 samples,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4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f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χ2=821.151 (df=333), CMIN/df 2.466, GFI .878, NFI .927, IFI .955, TLI .949, CFI .955, RMSEA .060. The results showed that human factor (β=.426) and physical factor (β=.266) as service encounter elements in family restaurants were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customers' positive emotion. For influence of customers' negative emotion, human factor (β=-.157) was surveyed to have a negative (-) influence. Also, customers' positive emotion (β=.716) and negative emotion (β=-.081)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4,000원
        146.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scapes in Korean restaurants on customers' experiential value, pleasure feeling and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a total of 550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research model using the Amos program. The relationships hypothesized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χ2=406.097 (df 130), p〈.001, GFI .915, AGFI .889, RMR .042, NFI .955, CFI .969, RMSEA .062. SEM results showed that the servicescape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experiential value (β=.808, t=15.171, p〈.001), and customers' experiential value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pleasure feeling (β=.756, t=10.616, p〈.001). Also, customer's experiential value (β=.391, t=8.579, p〈.001) and pleasure feeling (β=.573, t=13.091, p〈.001)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of mediating roles showed that, the effect of servicescapes in Korean restaurants on customers' pleasure feeling was perfectly mediated by the customers' experiential valu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4,200원
        14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on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delivery level,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ustomer orienta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obtained from 199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in Changwon Cit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and AMOS 5.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customer orientation. Secondly, there wa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delivery level. Thirdly, there was also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service delivery level. Finally, the customer orientation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service delivery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4,200원
        14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는 과거의 아버지 상과는 구별되는 자녀 돌봄에 적극적인 아버지들이 사회적으로 탄생하게 된 사회 구조적 원인과 그것으로 인한 아버지 돌봄의 특징을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해 신자유주의 이후의 경제 상황의 변화와 더불어 가족 구조 및 가족 문화 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새로운 역할을 습득한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의 특징은 무엇인지 살피고 앞의 논의를 토대로 하여 아버지들의 부모역할을 지지하기 위한 부모 프로그램을 위한 시론적인 제언들을 모색해 보려 한다. 우선, 경제적 측면에서 가족의 경제적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맞벌이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여성의 2중 부담과 돌봄의 공백이 발생했다. 이것은 가족 불안정성을 가중시키고 아버지들이 돌봄 노동에 참여하는 사회적 조건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가족의 측면에서 가족이 친밀성의 혁명을 경험하는 가운데 결혼의 영속성은 소멸되고 이혼과 재혼이 증가하게 됐다. 이에 아버지들은 가족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가족관련성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여성의 정체성이 과거와 같은 돌봄자가 아니라 경제적 능력자로서 스스로를 인식하는 만큼 여성들은 파트너인 아버지들에게 돌봄자 역할을 동등히 수행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 외부적인 압력 외에도 남성 스스로도 불안정한 관계의 마지막 보루로서 부모-자녀 관계를 생각하면서 돌봄 영역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남성들은 이제 부양자 역할에서 벗어나 자녀들과 감정적 친밀함을 만들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면서 인간적 성숙을 추구했다. 이와 같은 남성정체성의 변화도 가족의 소자녀화와 더불어 아버지 돌봄 영역 참여를 위한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 구조 및 가족 문화/구조의 변화는 아버지 돌봄 형태에도 영향을 주어 아버지들은 자녀의 놀이와 교육에 더 개입적이고 자녀와 과거보다 더 감정적으로 연루된다. 따라서 아버지들을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는 자녀들과 함께 놀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놀이방법과 대화방법에 대한 코칭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의 유교문화와 조직문화가 감정을 배제한 결과 한국의 아버지들을 감정을 다루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아버지감정코칭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한국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6,300원
        149.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5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in apparel shopping contexts. Two competing models are utilized. The first model is developed from the emotion-cognition theory which explains that environmental cues(i.e., VMD image appropriateness) generate consumers' emotion, and in turn, consumers' behaviors. The second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and posits that environmental cues stimulates consumers' cognitive perceptions of retail environments, subsequently influencing consum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 A 2(VMD image appropriateness: high vs. low)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Female college students(n=592)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the emotion-cognition model better explains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4,500원
        15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tempt of various form are made for game. An on-line game is application processes event, which reacts according to condition. Animation of character is expressed according to event. An emotion is decided by message queue's iteration achievement. This treatise does not plan event of game to simple processing system and propose autonomous emotion expression system of FuSM's game character. Interaction increase of game with the actuality the world resembling that to do express, and it can augment sociality. Game space is action space by simple iteration, which convert to space that can express users. This treatise may offer various elements to game take part in users.
        4,000원
        15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preference and attitude according to six emotion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it was studied whether the desire to food consumption was changed by each moo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285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emotions. Pizza & pasta, ice cream and cake were preferred during happiness and amusement. In sadness and anger, alcohol was the most preferred food item. There was the preference of beverage, Jjigae & Baikban, ice cream and snack during relaxation. Chocolat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during depression. The taste and flavor was the main preference attributes during all emotions. The self-assessed food intake during happiness, amusement, anger and relaxation was increased but it was decreased during sadness and depression (p<0.001).
        4,000원
        15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정은 수량, 크기, 종류를 측정하기 어려워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주인공 햄릿의 경우 여러 가지 극적인 상황으로 인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감정 상태를 말 대신 위치와 색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인공감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햄릿'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시각화했다. 제안된 인공감정은 네 단계에 걸쳐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선 감정을 인과관계에 따라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감정자극이 얼마만큼 들어왔는지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선, 감정의 생성과 소멸을 표현하는 단위감정그래프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들어온 감정 자극의 생성, 유지, 소멸을 성격에 따라 표현한다. 세 번째 단계에선 단위감정그래프를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연속된 감정자극을 표현하는 감정그래프를 제안한다. 그리고 감정별로 감정그래프를 하나씩 둬서 각 감정들의 생성과 소멸을 개별적으로 관리한다. 네 번째 단계에선 서로 다른 감정 간의 상호관계에 따라 감정별 감정그래프의 현재 감정을 복합하는 감정장을 제안하고, 감정장상의 위치와 위치에 따른 색으로 현재의 감정 상태를 표현한다. 제안된 인공감정으로 감정상태의 변화를 시각화해보기 위해 '햄릿'에서 등장인물인 햄릿과 거트루드의 감정변화를 인공감정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4,300원
        157.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subjective norm, attitude and meat consumption behavior. A total of 318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also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and subjective norm on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and subjective norm on meat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belief and meat consumption, environmental belief and meat consumption, subjective norm and meat consumption. Consump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conclusion,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interrelations among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subjective norm, attitude, meat consumption and int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in future research. Other variables may be incorporated to form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15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의 일상생활을 편안하고 즐겁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반자 로봇의 기능 중 부정적인 감정/정서상태 개선을 위한 Infotainment Service를 소개한다. 노인의 일상생활 중에서 부정적인 감정/정서상태를 정의하고, 이들의 정서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한다. 인지행동치료에서의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노인의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클립들을 제작, 편집하여 검증해 보기로 한다. 또한, 검증된 애니메이션 클립들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감정상태로의 전이를 위한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일련의 실험적 접근방법을 토대로 제작, 편집한 애니메이션 클립을 이용하여 영화의 감정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설계하고, 기존의 선호도를 고려한 영화추천 시스템을 확장한 감정요소를 고려한 영화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4,200원
        15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에서 기존의 인지적인 측면 이외에 감정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좁은 화면을 통해 의사 결정을 위한 정보검색을 수행 할 때 감정 상태에 따라 정보 검색 패턴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실험참가자들의 감정 상태를 긍정적 혹은 부정적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음악을 듣게 하였고 동시에 자신의 과거 기억으로부터 긍정적인 감정 혹은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자서전적 회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감정 유발 과정이 끝난 뒤 각 실험 참가자들은 작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세 나라들에 대한 여행 정보를 검색하여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를 선택하였고, 실험참가자들이 탐색한 링크들의 경로 및 각 링크에 머무른 시간 등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었다 실험결과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서는 중립 상태와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비해 보다 신속한 정보탐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립 상태와 부정 감정 상태에서는 긍정 감정 상태에 비해 세부 항목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인지적 자원을 할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0.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cognitive responses, emotional responses,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about service encounter quality by types of restaurants and to analyse emotional responses,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in accordance with level of service encounter quality.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customers (N=812) who had used restaurants in Seoul, aiming at 15 or more-year-old customers from October 24, 2005 to November 6, 20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interaction quality,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performance of outcome quality depending on types of restaurant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indicated in importance of outcome quality by types of restaurants.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 by types of restaurants in order of fine-dining restaurants, family restaurants, and fast-food restaurants, while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ast-food restaurants than in the other two types. As far as Customer satisfaction are concerned, fine-dining restaurants showed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 two types. Attitudinal service loyalty was high in fine-dining restaurants, family restaurants and fast-food restaurants in order and behavioral loyal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type of restaurant. In accordance with level of service encounter quality,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clusters were divided into 'high-valuation' and 'low-valuation'. 'High-valuation cluster' and 'low-valuation clus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ypes of restaurants that customers used(p<.001). The customers who used fine-dining restaurants and family restaurants valued the performance of service encounter highly. However, in fast-food restaurants, a lot of low-valuation customers existed. Therefore, fast-food restaurants have to improve performance of interaction quality, outcom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in service encounter. In addition, in 'high-valuation cluster' who valued service encounter quality highly showed higher scores in positive responses,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loyalty than in 'low-valuation cluster', and showed low negative responses.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