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144.
        2008.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measurements at Seoul Metro subway, the sound level at the time of subway arrival ranged from 77.0 to 92.5 dB(A). The highest level was 92.5 dB(A) at Line-1, and the lowest level was 77.0 dB(A) at Line-5. The sound level of departure ranged from the lowest level of 82.9 dB(A) at Line-5 and the highest level of 95 dB(A) at Line-1. The indoor sound level at subway ranged from the lowest level of 87.2 dB(A) (Line-6) to the highest value of 92.1 dB(A) (Line-1).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sound level at subway platform with Platform Screen Door(PSD) showed 81.8 dB(A) but 89.1 dB(A) without PSD. The sound reduction effect of PSD showed 7.3 dB(A) at platform. Consequently, the sound level in Korean subway was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set for the American Public Transportation Association (85dB(A)).
        4,000원
        14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된 이후 2008년 까지 8개 구간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시행에 따른 직 간접적 영향권 내의 도로교통량 변화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4년 7월에 동시 개통된 3개 구간에 대한 사전 사후 도로교통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의 교통량은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후(2004년 11월) 24.7%로 급격히 감소한 후, 개통 후 1년(2005년 11월) 1.4%로 안정화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접 우회도로 교통량은 개통 후(2004년 11월) 2.9% 감소한 후, 개통 후 1년(2005년 11월) 0.3%로 미비하게 증가하였다. 측정오차(±5%)를 고려하면 중앙버스전용차로 교통수요는 안정화 단계에 들어섰으며, 자동차 수요가 인접지역으로 우회하기 보다는 타 수단으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se cluster analysi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eating-out behavior among grouped clusters of female consumers after each cluster was divided based on lifestyle pattern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survey from a biased sample of 1,300 females, ranging from ages 20 to 59, and living in residential districts of Seoul.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applied to the data. Four lifestyle factors were extracted by lower-division and classified as follows: health condition, consuming, food, and housing lifestyles. Based on these four factors, the female consumers were grouped as three clusters: the consuming-individuality type, rational-pursuit type, and conservative-stability type. The eating-out behavior of each clust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frequency of eating-out, eating-out expenditures, restaurant selection criteria, food preferences, and the purpose for eating-out. Since this study surveyed females from ages 20 to 59, age and demographics were the differ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various lifestyle types. Thus, to target the consumers who form a target market, the food industry should consider market segmentation that combine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income, and marital status.
        4,200원
        14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내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도시하천의 식생회복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통해 횡단구조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하천 횡단구조는 제방형태(수직형, 사면형)와 둔치 유무, 호안구조의 3가지 항목을 조합하여 사면형 56개 유형, 수직형 3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내에서는 SB1(저수호안-자연형 식생호안, 고수호안-자연하안), SG5(저수호안-콘크리트, 고수호안-사석공) 유형을 비롯한 사면형 9개 유형, VH4(제방호안-찰쌓기), VH7(제방호안-콘크리트) 유형 등 수직형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저수호안과 고수호안이 모두 콘크리트로 정비된 SG7 유형과, VG7 유형이 가장 긴 구간에서 분포하였다. 주요 8개 유형에 대한 미지형구조 및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결과 유형화 항목별 특성에 따라 횡단구조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횡단구조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은 뚜렷치 않았다.
        4,300원
        15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ause of offensive odor incident that took place at Shin-Gil district in Seoul on 17. Nov. 2007.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ccidental sewage site both at the right after and long after the accident and analyzed by GC/MS method. The results of our initi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39 compounds with sufficiently detectable quantities (e. g., above ~ 1 ppb). These compounds can be classified into 3 classes of chemical groups which include: Benzene, Indene, and Miscellaneous. It further indicated that compounds with benzene(C₆H₆) ring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followed by several compounds with indene(C₉H₈) structure. Based on our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release of industrial solvents with indene resin contributed most significantly to the observed malodor incident.
        4,000원
        15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odorants in ambient air was investigated at three measurement points in a University campus in Seoul city during a 15 day study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12 target analytes designated as malodor compounds by KMOE were measured through time.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in ppb unit) was found from NH₃(25.3) followed by styrene (0.51) > acetaldehyde (0.13) > H₂S, propionaldehyde (0.07) > butyraldehyde, isovaleraldehyde, and valeraldehyde (0.06) > DMDS (0.04) > TMA (0.03) > CH₃SH and DMS (0.01). Comparison of odorant data showed fairly strong distinctions across diurnal period, whil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levels were not clear enough between different sampling location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DMS and NH₃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relative humidity. In addition, most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exhibited strong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When the odorant concentrations were converted into odor intensity, the values were typically found below the odor degree of 1. The odor intensity, if assessed by the maximum values of each compound, were generally in between 1~2 odor degree level (e.g., H₂S, CH₃SH, DMDS, acetaldehyde, and TMA).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show that most odorant species occurred below the threshold value at clean space like a University campus. Hence, more efforts are desirable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technique at various concentration levels.
        4,800원
        15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벡터-기반 보조 정보를 사용하는 대시메트릭 매핑의 방법론을 정련화하고, 그것의 GIS-기반 실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0년 서울시 인구밀도 분포도 제작에 적용하는 것이다. 대시메트릭 매핑은 해당 변수와 공간적 연관성을 가지는 보조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변수의 분포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하는 지도화 방식을 의미한다. 즉, 대시메트릭 매핑은 임의적인공간단위의 데이터를 보조 자료를 이용하여 변환함으로써 기저에 있는 통계적 밀도면(statistical density surface)를 복원하여 제시하는 주제도 제작 기법이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 정보가 가진 범주의 수와 범주 별 가중치 산출 방식을 모두 포괄하는 다중-클래스 대시메트릭 매핑의 일반식이 도출되었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가중치 부여 방식을 정리하여‘인구 비중법’,‘ 표준 밀도법’,‘ 회귀분석법’으로 체계화하였다. 셋째, GIS 환경 하에서 대시메트릭 기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제작되었다. 넷째, 서울의 2000년 522개 동 별 인구 수를 기본 데이터로 하고 벡터-기반의 토지이용현황도를 보조 정보로 하여 세 종류의 대시메트릭 매핑을 실시한 결과 코로플레스 매핑 보다는 기저의 통계적 밀도면을 보다 잘 반영하는 인구밀도 분포도가 제작되었다.
        4,800원
        15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서울시에 설치된 측량기준점은 국가기준점, 지적측량기준점 및 도시기준점으로 구분된다. 국가기준점의 현황조사는 서울시 토지관리과 및 자치구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성과의 유지관리 및 발급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 중에 있다. 지적측량기준점은 서울시 토지관리과와 자치구에서 현황조사·성과유지 및 성과발급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도시기준점은 서울시 지리정보담당관에 서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량기준점은 2010년 이후 GRS80 타원체를 이용하는 세계측지계 측량성과로 전환하여 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도시기준점을 제외한 국가기준점과 지적측량기준점은 현재 Bessel 타원체 기준의 성과를 활용하고 있으며 세계측지계로의 성과전환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측량기준점 관리주체가 서울시 토지관리과와 지리정보담당관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각 부서의 측량성과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지 않아 공동활용 및 성과관리 업무의 효율화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분포된 각종 측량기준점 현황과 관리체계, 세계측지계 전환과 관련한 기술적인 방안과 이에 대한문제점을 살펴본 후 세계측지계 전환으로 인한 지적측량기준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1급 도시기준점 성과의 활용과 더불어 23개점의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측량성과의 공동활용은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SDW)를 활용하고 현황조사 등의 업무는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것을 제안한다.
        4,000원
        15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최근 11년간(1994~2005년) 식생구조 변화상태를 분석하여 생태적 복원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4개 군락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1,200m2)내 식생구조 조사결과, 교목층에서는 기존 우점수종들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 확대하고 있었으며 아교목층은 도시환경에 적응성 이 높은 때죽나무, 관목층 국수나무의 세력을 증가하였다. 샤논의 종다양도 분석결과 신갈나무군락(1.0921→1.0381→1.0633), 소나무군락(0.7071→0.8553→1.0164), 아까시나무군락(0.9255→0.8392→0.8721)은 1998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이었고 리기다소나무군락은 1998년 0.9008에서 2005년 0.8850로 감소하였다. 종수 및 개체수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양산도는 4.34~5.31로 20년에 비해 다소 양호해졌다.
        4,900원
        156.
        2006.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CO2 and the associated parameters in the subway from lines 1 to 8 in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1 to 30 Sept. 2005. CO2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the entrance and center in subway passenger cabin by non-dispersive infrared analyser. The associated parameters for CO2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passenger, open and closed doors etc. The mean CO2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be 1,646±712 ppm in subway passenger cabins. The CO2 concentrations showed the highest values between 7 and 9 AM in rush hour(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2 and the number of passenger was highly significant(r=0.824). The general linear model indicated that subway line, subway location (ground and underground tract), and measurement point (enterance and center of cabins) and running time (morning and afterno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ncentrations of CO2. An extended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sources of CO2 in subway cabins and to compare pollutants concentration among subway lines.
        4,000원
        15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 모델 구역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가상 시나리오 지진에 의한 피해를 추정하였다. 다양한 주거 및 구조 특성을 대표할 수 있고 지반 증폭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지역을 모델 구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델 구역 내 건축물은 구조 형식에 따라 11 종류로 분류하였으며 HAZUS에서 제시한 값을 사용하여 역량 곡선(capacity curve)과 취약도 곡선(fragility curve)을 생성하였다. 가상 시나리오 지진의 지반 운동은 인공 지진 운동 생성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 구역을 표토층 두께에 따라 3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축물의 피해 확률은 역량 스펙트럼 방법과 취약도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GI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모델 구역 내 건축물의 전반적 피해 정도를 추정하였다.
        4,300원
        158.
        2005.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mary source of radon in Seoul subway stations, and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geology and radon. Especially, we expected that the granite areas would have substantially high levels of radon in subway stations.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were lognormally distributed. The geometric mean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were 48.11 Bq/㎥ and 2.15, respectively. Indoor radon concentrations of eight measuring sites exceeded U.S. EPA criteria (148 Bq/㎥).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ubway station regions under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biotite granite, alluvium, banded biotite gneiss and diluvium. Results indicate that bedrock geology can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indoor radon in subway station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of one subway st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ations. The bed rock in this particular subway station was that of alluvium. We assumed that the unusual increase in measured radon concentration should be related mainly to the existence of the near inferred fault zone (p<0.0001). We selected ten subway stations with homogeneous bedrock type in order to compare radon concentrations of each basement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basement levels in subway stations (p<0.05).
        4,200원
        16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산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기존 소나무림에 대한 15년간 식생구조 변화 실태를분석하여 소나무림 보전 및 생태적 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소나무림 현존식생 조사결과총6개 유형과 15개 세부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기존 소나무림내에 44개 조사지(단위면적: 400m2)를 설정하여 TWINSPAN분석결과 5개 군락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소나무,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 진달래 등이 우점종이었다. 샤논의 종다양도는 0.5980~1.1485이었으며 출현종수는 17~22종이었다. 15년간 식생구조 변화분석결과 소나무(I.P.: 77.9%→50.6%)의 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때죽나무(I.P.: 5.3%→22.6%), 산벚나무(I.P.: 1.5%→9.2%),국수나무(I.P.: 3.5%→7.7%)의 세력은증가하고 있었다. 단위면적 2,000m2를 기준으로 샤논의 종 다양도는 1.1719에서 0.8829, 종수는 34종에서 21종으로 변화하였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