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2

        141.
        2022.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이 지향하던 미래교육에로의 변화를 앞당겨 경험하게 만들었다. 이론 교 과목 수업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운영되었고 실험·실습·실기 교과목은 수강인원을 최소화하여 대면수업을 실시했으며 이론과 실습이 혼재된 교과목 수업은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변혁 의 과정에서 대학교육 정책 수립 및 교육과정 운영자들의 관심이 혼합수업 만족도 제고 방안 모색에 집중 되고 있다. 수도권 S대학에서 교육 정책 및 운영 등 대학교육의 수업 질 관리 차원에서 교육혁신을 주도했던 관련 자들의 포괄적 업무수행이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코로나19 이후 확대된 대학 자율권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의 입안과 실행 그리고 평가 과정을 통해서 유의미한 성과가 확인되었고, 그 성과는 통계적으로 검증 되었다. 수도권 S대학에서는 학생 디지털학습역량과 학생-교수 간 상호작용이 수업만족도와 관련이 있다 는 것을 확인한 후 이러한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S대학의 각 교과목 유형별로 학생들의 디지털 학습역량과 학생-교수 간 상호작용을 통제한 상황에서 대학의 두 가지 운영방안이 혼합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방안은 각 학생이 수강하지 않는 교과목에 관한 강의동영상을 활용하여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방안은 기 실시된 대면수업을 정리·요약한 수업요약 동영상을 제작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이론, 이론+실습, 실험·실습·실기 등 모든 범주의 교과목 유형에서 두 방안 은 수업만족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세 가지 수업형태별 범주에 따라서 새로운 수업 운영방안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일치하진 않았다. 고등교육에서 혼합교육 시대의 수업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또 다른 변인을 찾는 후속 연구가 지속되 어야 한다.
        6,000원
        142.
        2022.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4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Seonjeong-jeon and Heejeong-dang respectively served as Pyeonjeon of Chang-deok Palace in the earlier and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such belief is based on the concept of Pyeonjeon that emerged after the time of King Soonjo’s reign(1800~1834).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Pyeonjeon varied among times ranging from Koryo to late Joseon dynasty. In the earlier Koryo dynasty, the word Pyeonjeon signified both “Pyeonjeon in relation to Jeong-jeon” or “Pyeonjeon as a casual office for the king”. The ambiguity of the word was resolved when Bopyung-cheong and Jogye-cheong were established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These buildings in Chang-deok Palace (and only Bopyung-cheong in Gyeong-bok Palace) held rituals related to events in Jeong-jeon, as well as their exclusive political rituals. Thus, the meaning of the term “Pyeon-jeon” became restricted to its second meaning, namely a casual building for the king’s everyday office work and small banquets. However, the ambiguity reemerged from around the time of King Seong-jong’s reign(1469~1494). In this period, Pyeonjeon as in relation to Jeong-jeon was often referred to as “Jeong-jeon”, or “Beop-jeon” from the mid-16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Pyeonjeon as king’s casual office took over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Beop-jeon. Thus, the popular notion of “Pyeon-jeon” was newly established and passed onto nowadays.
        4,300원
        14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 시대이후로 가속화된 뷰티분야의 4차 산업들과 융합으로 산업에서 요구되는 실무능력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여러 문헌의 탐색적 조사와 전문가의견 을 수렴한 결과 뷰티산업은 앞으로 단일 아이템 또는 서비스 제공이 아닌 의료, 바이오, ICT, 인공지능 기 술 등이 결합된 개인맞춤형 서비스 제공 산업으로 분야가 확장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 로 전통적인 뷰티산업에서 요구하는 기본 직무 능력 외에 갖추어야 할 디지털 활용능력을 추가하여 교육과 정을 구성하고 과목을 도출하였다. 코로나 이후의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뷰티산업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인재 개발을 위해 대학에서 는 산업의 변화에 항상 주목해야 할 것이다.
        4,300원
        14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식언어(图式语言)는 화면의 형식 및 예술사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자 개개인이 중점적으로 관심을 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개별화를 추구하는 도식언어는 창작자 개개인이 평생 추구해야 할 일이 된다. 고대 그리스 (古希腊)에서 르네상스(文艺复兴)까지, 그림 도식은 높은 수준의 합리화에 기반을 두었으며, 균형감각, 색상의 진정성, 모형 비율의 정확성, 빛과 그림자의 과학적 관점이 요구되었다. 르네상스 이후 현대 회화의 역사는 인류 본성의 부활이고, 르네상스 이래 근대 회화사가 인간적 소생의 역사이고, 휴머니즘 이 부흥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 때문이지 만, 이런 감정 표현이 예술 속 감정의 초월에 담긴 도식(图 式)을 계속 대변할 수는 없다. 현대예술의 사조(现代艺术思潮) 의 도식언어는 시각적 전달과 비슷한 표현이기 때문에 작품 속 도식언어의 개성화 기준에 대한 요구가 높다. 현대 공업 사회 아래에서, 사회의 발전 추세가 같다. 전통과 민족은 거의 생활 에서 벗어나 생활 공간이 갈수록 적막해지는 현상이다. 전통과 동시대의 관계는 둘 중 하나가 없어서는 안되며, 현대의 배경 아래서 전통적인 요소를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예술가들도 시대적 양식을 융합하여 자아를 유지해야 한다. 전통적인 미적 감정에 그 위에 동시대의 문화를 융합해야 심미적 창조에서 자아를 유지할 수 있다. 혁신이 전통을 완전히 부정 하는 것도 아니고, 발전도 과거를 완전히 버릴 수 없으며, 동시대 판화예술은 그 바탕 위에서만 개성 있는 발전을 이룰 수 있 다. 본문은 도식(图式)에서 먼저 도식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 서빙(徐冰)의 예를 들어 그의 작품 천서<天书> 지서<地书>를 통해 현대 도식이 무엇인지를 알아냈다. 어떤 전통 도식입니까? 그리고 도식에 맞추어 빗어보면, 우리는 도식이 민족의 특색뿐만 아니라 예술가가 받아들이는 환경과도 중대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왜 판화가 전 통 판화 도식을 흡수해야 하는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전통 도식이 중화민족의 문화 축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내면의 도식 구조(图式构造)에서 사람들의 공감을 쉽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자신의 특색을 뚜렷하게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도식이 일층 불변의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사람들은 내면세계의 도식구조(图式构造)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판화예술의 창작에는 반드시 시대 도식(时代图式)의 가치와 내실이 반영되어야 한다. 다른 예술가들이 전통 도식을 흡수하는 방법을 배우고, 그 들의 예술작품을 변증법적 시선으로 바라보며, 전통과 당대의 도식을 포용하는 사상적 이념으로 판화 언어를 추진한다. 예술은 정신의 영역에 속하며 생활과 달리 뚜렷한 공리적(功 利性) 특성을 가지고 없다. 현재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발전, 정보기술(IT)·디지털상 등 뉴미디어의 폭넓은 활용에 따 라 새로운 것들과 심미 예술 표현형식의 다양화가 이 사회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자리 잡았고, 우리 생활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의 발전은 국제간의 왕래를 날로 빈번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세계 일체화의 발전은 각 민족의 문화 및 예술에 지대한 편의를 제공했다. 그러다 보니 여러 민족적 특색을 가지고 있던 예술 도식(艺术图式)이 오늘날 사람들의 끊임없는 구조와 중창 속에서 당대의 특색을 지닌 도식으로 해석 되고 있다. 판화도식(版画图式) 언어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당대 판화창작과 전통문화 및 동시대의 사회가 연관되어 있으며, 한 판화창작자에게 판화창작에서 혁신을 이루려면 판화 도식 언어를 알아야 한다.
        6,100원
        147.
        2021.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49.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50.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의 목적은 선교적 실행을 위하여 장소의 개념과 종류, 그 변화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시대의 상황은 탈장소화라 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초기술 사회의 소통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로 인하여 비장소, 다장소, 가장소, 그리고 무장소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전의 공간 중심의 세계관에서 최근 장소 중심의 세계관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이 탈장소화 시대에서의 장소의 의미와 그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장소는 공간과 구별되어 이해되어야 하는데 장소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특정 공간이다. 특히 기독교적 혹은 선교적 공동체를 위하여 탈장소화 시대에서의 선교와 장소와의 관계, 장소의 변화와 선교적 장소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교적으로 모든 공간을 담보하기 위하여 우리는 특정 장소를 기반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역설을 발견한다. 그리고 ‘특정 장소를 기반으로 한 탈장소화’ 는 시대적 거대 상황에 대한 전략적인 상황화와 함께, 이를 통하여 선교적 장소들을 오히려 창의적으로 재생산하여 미래 기독교 공동체의 구체성과 현실성을 상실하지 않아야 한다.
        6,900원
        151.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미래 교육 시스템에 실용음악 교육 분야가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을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한국의 실용음악관련 대학교와 전공생들이 이 분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기술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외국의 실용음악관련 학교들과 서울 소재 대학들의 커리큘럼 분석을 통해 4차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미래 교육에 대해 인지하고 교육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고 실용음악 관련 대학의 전공생들에게 설문를 통해 미래교육 시스템과 중요성 대한 인식과 각자의 세부전공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실용음악 대학들은 미래교육과 학제융합에 대응하는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식 또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각종 미디어와 게임 등으로 기성세대보다 먼저 메타버스를 경험한 엠지세대이기 때문에 이 기술들에 대해 인지하거나 이해하는 속도가 빨랐고 세부전공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실용음악 관련 교육현장과 학생들이 전공분야의 미래 시장에 대해 인지하는 능력을 높이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 된다면 다가올 4차산업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4,600원
        152.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53.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4.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6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지능 연구개발과정에 많은 인적자원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현 개발방식 고려할 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 개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소수의 관리자와 많은 일반작업자들의 분업화가 이루어져야 가능하며, 이는 마치 일종의 경공업의 형태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컴퓨터라는 기계장치로 데이터라는 디지털 자원을 다루어 생산의 효율성 을 높이는 인공지능 개발과정을 4차산업시대의 디지털 경공업이라고 명명한다. 이전 산업혁명시대에서 경험한 것과 마찬가지로 인 적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화하고 활용한다면 디지털 경공업은 2차산업혁명 못 지 않는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한 인 력양성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