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4

        14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矯導所내에 치료공동체적 접근법(Therapeutic Community Approach)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에 대해 평가해 보고, 보다 적합한 치료적 介入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영등포와 전남장흥교도소의 마약관련 재소자들 중 일년 미만 육개월 이상의 재소기간을 남긴 자로 제한하였으며, 실험통제집단 전후비교설계를 사용하였다. 즉 본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 80명 중 무작위로 40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4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하여 6개월에 걸쳐 치료공동체적 접근법을 적용한 집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개별상담을 원한다면 별도의 시간을 배정하여 개별 상담의 시간을 가졌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려한 요인으로는 단약관련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인식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치료공동체적 접근이 藥物中毒者의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인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즉,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프로그램 참가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비교하여 藥物사용과 관련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약물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과 문제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能力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하여 치료공동체적 접근법의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치료모델을 개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7,700원
        14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복성 염기서열을 응용한 PCR법인 REP-PCR을 사용하여 식중독 미생물의 분리와 동정을 위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주요 식중독 유발세균 5속(genus),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CR 구성성분인 MgCl2, dNTPs, REP sequence primer, 주형 DNA의 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 결과, MgCl2의 농도가 2.0 mM과 2.5 mM일 때, 균주들의 fingerprinting pattern의 변화가 없거나 적은 것으로 관찰되어, 모든 속의 균주를 단일조건으로 분리?동정하기 위해서 MgCl2의 농도는 2.5 mM이 최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dNTPs는 50 μM의 농도를 적용하였을 때부터 전체 fingerprinting pattern범위의 주 단편들을 나타내는 균주들도 있었으나 총 단편의 수가 완벽하게 나타나지는 않았고, 200 μM의 적용시점에서 6종의 균주 모두 단편의 수나 강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fingerprinting pattern의 파악을 위한 목적에는 200 μM의 dNTPs 농도만으로도 충분하였다. REP primer는 적용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편의 수와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Vibrio를 제외한 5종의 균주가 2.0 μM의 primer를 적용했을 때 고유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냈다. 주형 DNA의 양을 변화시켜 적용하였을 때 DNA 양의 비율이 2배에서 5배까지 증가하여도 초기 미량 적용 시 생성되었던 fingerprinting pattern은 많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적용되는 DNA 양에 따라 단편들의 강도와 수가 약간씩 점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4,000원
        14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증(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 3은 식중독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000원
        14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1991년 2002년 사이의 복어독 중독 발생상황에 대하여 신문에 보도된 내용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우리나라에서는 총 32건의 복어독 중독사고가 발생하여, 111명이 중독되었고 그 중 30명이 사망하여 27.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라 중독건수, 환자수 및 사망자수의 변동이 심하였다. 사망자는 29세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중독 발생건별 환자수를 보면 4인 이하의 소규모 중독사건이 전체 발생건수의 75.0%인 24건을 차지하였고, 식중독 통계 집계기준인 5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은 8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복어독 중독 발생건수의 59.4%(19/32)가 11월부터 익년 1월사이에 발생하였고, 이시기의 환자수 및 사망자수 또한 각각 65.8%(73/111), 66.7%(20/30)로 나타나 복어중독은 겨울철에 집중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발생 건수의 75.0%(24/32)가 부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섭취장소별로는 총 32건 중 18건(56.3%)이 선박에서 발생하였고, 가정에서 8건(25.0%)의 발생하였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것은 5건(15.6%)이었다. 복어독 중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음식물은 국(탕 포함)으로 발생건수의 68.8%(22/32), 환자수의 64.0%(71/111), 사망자의 66.7%(20/30)를 차지하였고, 그 외 찜, 회, 내장탕, 알 등도 원인이 된 경우가 있었다.
        4,000원
        147.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현상을 일으키는 세균 5종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매실 착즙액의 항균성을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으로 생육 저해환의 생성유무로 관찰한 결과 매실 착즙액은 시험 균주 모두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가장 뚜렷한 생육 저해환을 형성한 매실 착즙액의 농도는 Sal. enteritidis (15.0mm)는 1% Lis. monocytogenes (14.7mm)는 3%, Bac; cereus (14.75 mm), Esc. coli (13.45 mm)와 Sta aureus (11.9 mm)는 5%였다.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유발균의 생육 억제 효과는 매실 착즙액 3%와 4% 첨가에 의해 Sal. enteritidis는 각각 24시간 6시간에서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매실 착즙액에 의한 가장 강력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Bac. cereus 경우에는 3%와 4% 첨가에 의해 모두 12시간, 그리고 2% 첨가구에서는 24시간에 완전히 생육을 정지시는 뚜렷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와 4% 를 함유한 배지 상에서 Sta. aureus의 성장은 배양 후 24시간에 모두 저해되었고, Lis. monocytogenes 의 경우는 각각 48시간과 24시간에 , Esc. coli의 경우는 모두 36시간에 균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매실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는 Sal. enteritidis. Bac. cereus, Sta. aureus, Lis. monocytogenes. Esc. coli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매실 과육에 함유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α-ketogluta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 ~ 9, 23, 24) 매실의 유기산 함량은 다른 과실보다 다소 높게 함유되어 있고, 가장 많이 들어있는 유기산은 citric acid로 이는 레몬이나 감귤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 들어있었다^23).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매실 착즙액 3%와 4% 첨기구에서의 pH는 각각 3.47과 3.34를 나타내었다. 다라서 본 실험의 매실 착즙액이 각종 실험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가지는 것은 낮은 pH와 더불어 citrid acid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매실 착즙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공 합성 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보존료로서 식품에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었다.
        4,000원
        14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o the reality that the outbreaks from food poisoning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last two decades, it was very much neglected even in the public health field in Korea. Food poisoning outbreaks resulted in many cases not only in the damage of health but also in the death of many lives. However, this problem can be effectively solved by efforts through health education activities, but not solely by the legal measur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proposing new rules to prevent any possible outbreaks from food poisoning. The main problems contributing to food poisoning outbreaks in an institutional setting or school catering and at home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rough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nd articles related to food poisoning in the last a decade (1991-2000). Accordingly, th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fficient to show and prove the significant trends in food poisoning accidents in Korea. The major finding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requency of food poisoning accidents as well as the number of victims have continuously increased in Korea. The number of victims per food poisoning accident is also increased from 20 persons in 1990 to 69.8 persons in 2000. Therefore, we should realize that the group poisoning outbreaks occur more frequently and the size of group poisoning accidents is getting larger. Among four seasons, the food poisoning accident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summer (May-September) until 1997. However, after 1997, the food poisoning accidents occurred evenly in three seasons except the winter. The most important bacteria that cause food poisoning in Korea were Salmonella spp., Vibrio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y occupied 85-90% of the rates of accidents and the number of victims. And, the major category of food causing outbreaks in Korea are meats, raw and undercooked sea foods and compound food as Kimbab and lunch box. Among meats, the most food poisoning accidents were caused by pork. The frequency of food poisoning accidents at individual households tends to decrease continuously. Whereas, the rates of accidents at the public restaurants and food service establishments are comparatively increasing. Therefore, we must improve the quality of the sanitation management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hrough HACCP and post- administration of HACCP.
        4,800원
        150.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for food safety, especially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living in Taegu and P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the consumers' concerns about food safety were high, (2) many respondents worried about eating vegetables, fruits and grains in turn because of pesticide residues, and did not trust the results from food-safety tests, (3) the major factor for foodborne illness was regarded as unfreshed or contaminated food stuffs, (4) many consumers concerned highly about preservatives among food additives, and tried to consume food containing less food additives, and (5) many respondents wanted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harmfulness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 method to choose fresh food, and safety of food additives.
        4,600원
        151.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phylococcus aureus is gram positive, facultatively anaerobic, non-sporulative coccus, and positive for coagulase and DNase. The food oisoning outbrealc of Staphylococcus aureus increases in the world, and third occurnn happened in our country. Of 105 isolates (25.4%) obtained 413 fecal samples of food-poisoning suspicious patients. In those cases, the enterotoxins were detected firom a total of 45 isolates (42.9%), 9 isolates(20.0%) were A type, 33 isolates (73.3%) we H types, 2 isolates (4.4%) were G type and 1 isolate was a I type enterotoxin. Among the isolates possessing staphylococcal enterotoxins, 29 isolates had H type only(64.4%), 5 isolates had A type only and 4 isolates had both A and H type. 'Iieo isolates had G type only and 1 isolate had I type only.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48 isolates (46%) had at least one antibiotic resistance among 105 isolates, 34 isolates (70.8%)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1 isolate (2.1%) to ampicillin, 3 isolates (6.3%) to erythromycin and kanamycin. Seven were resistant to more than two antibiotics and especially 1 isolate was resistant to penicillin-ampicillin-nitrofurantoin.
        4,000원
        152.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amination levels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investigated from 350 samples of beef, 338 samples of pork, and 350 samples of chicken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6 to October 1998. The contamination levels of pathogenic organisms were higher in refrigerated meat than packed frozen meat and were relatively higher in chicken and packed meat than in beef. The highest level detected for each of the various pathogens was : less than 10,000 cfu/g for Staphylococcus aureus : less than 0.9 MPN/g for Salmonella and Literia monocytogenes: 7MPN/g for Campylobacter jejuni /coli. In the comparisions of cross- contamination ratio of tested meat for four species food poisoning bacteria 14.3% of beef, 23.5% of pork and 55.0% of chicken were contained only one species of pathogen, whereas 2.7 of beef, 5.6% of pork and 14.7% of chicken contained two species and 2.3% of pork contained a total of three species. Generally, pathogens was encounted higher isolation freguency in packed frozen chicken meat than in chilled chickens.
        4,000원
        15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valence and serotype of food-borne pathogens was investigated from 888 samples of chilled meat, 222 samples of packed frozen meat and 117 samples of imported frozen meat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6 to October 1998. Isolation rates of pathogens associated with food poisoning were revealed in order of Staphyl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coli,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but Escherichia coli O157:H7 was not isolated in all of the meat samples. Amusingly, Cczmpylobacter jejuni/coli were isolated highly in refrigerated meat, but was not isolated in packed frozen meat. L. monocytogenes was encounted higher isolation frequency in packed frozen chicken meat than in refrigerated chicken meat. In the distribution of serotypes of isolates, most isolates of Sta. aureus classified as enterotoxin type C and D. All of the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ork were diagnosed group A and most of isolates from chicken meat were grouped B and D. Most of L. monocytogenes isolated from chicken meat were grouped type 1 and a few number of isolates classified as type 4.
        4,000원
        157.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체 급식소에서 생산직 근로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음식의 적정 분량을 제시하기 위해 목포지역 생산직 근로자 240명을 대상으로 섭취량 측정과 설문지를 이용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근로자의 연령은 30∼39세가 57.1%, 학력은 대부분 고졸이었으며, 건강상태는 52.1%가 건강하다고 하였다. 근로자의 좋아하는 식사의 형태는 한식이었고, 식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맛으로 나타났으며, 식사의 가치관은 조사대상 근로자의 37.1%가 공복을 채우는 것이라고 대답해서 생리적 욕구충족에 가치를 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산업체 급식소에서 제공된 음식의 섭취량과 섭취율은 밥류 238g(98.4%), 국류 212g(82.7%), 찌개류 230g(77.2%), 볶음류 40g(80.7%), 조림류 60g(83.5%), 무침류 42g(72.3%), 김치류 51g(75.9%), 일품요리류 406g(77.7%), 구이류 51g(72.6), 부침류 48g(48.7%)였다. 섭취량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 섭취량에 대해서 두 비교군 거의 모두가 `적은 양`이라고 대답하였다. 섭취량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기초로 음식의 적정량에 대해 밥류 240∼270g, 국류 270g, 찌개류 310g, 볶음류 60g, 조림류 75g, 무침류 76g, 김치류 67g, 일품요리류 470g, 구이류 80g, 부침류 50g으로 제시할 수 있다.
        4,000원
        158.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1년부터 1993년까지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각각 3년 동안 광주시 근교지역 각 농가에서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에 병성감정을 의뢰한 원유를 대상으로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과 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의 경시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 체세포수검사 양성율은 11.1%로부터 8.0%로 감소되었으며 원인균의 발생율은 Staph. sp.가 49.7%이었고 다음은 E. coli가 23.2%, Strep. sp.가 10.4%, Bac. sp.가 7.2%의 순이었는데, 이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크게 저하되었다.
        4,000원
        159.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mount of S. typhimurium during cooking processes using pork and japchae (a Korean food which is made from meat, vegetables and noodles), and to support a practical application to develop a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odel. The pork was purchased in a retail shop, cut (0.5 cm × 10 cm × 10 cm, 25 g), tested for Salmonella contamination (results : negative), inoculated with S. typhimurium (10^7 CFU/g), then treated in various conditions related to cooking. After thawing for 24 hours in various conditions, the number of S. typhimurium was increased to 10^(10) CFU/g at a refrigerated temperature (4-10℃), and to 10^(21) CFU/g at room temperature (22-29℃). After thawing in a microwave oven for 40 seconds, the number of S. typhimurium increased to l0^8 CFU/g. During the thawing period, the number of S. typhimurium increased over time. At the refrigerated temperature, the number of the bacteria was 10^(10) CFU/g after 24 hours, 10^(13) CFU/g after 48 hours, and 10^(20) CFU/g after 72 hours. At room temperature the number of bacteria reached 10^(11) CFU/g in 2 hours, 10^(15) CFU/g in 4 hours, 10^(16) CFU/g in 8 hours, 10^(18) CFU/ g in 12 hours, and 10^(21) CFU/g in 24 hours. After cooking in a frying pan (150±7℃) for 3 minutes, the bacterial count was 10^6 CFU/g. After cooking in hot water for 20 minutes, the bacterial count was 10^7 CFU/g at 60℃, 10^6 CFU/g at 63℃, and 10⁴ CFU/g at 65℃. The fried pork was mi×ed with cooked vegetables, noodles, sesame oil, sesame seeds, and seasonings to make Korean japchae. This process took 10±2 minutes. The bacterial count in the japchae increased to 10^7 CFU/g from the count of 10^6 CFU/g of the fried pork before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S. typhimurium is effected by various different cooking processes. This study can suggest that pork should be cooked in water at over 65℃ for 20 minutes in order to prevent food poisoning, if the pork is contaminated with S. typhimurium. The presence of S. typhimurium in the raw pork is identified in an HA for japchae, and the primary CCP for japchae is inadequate cooking (cooking method and time/temperature). We need to standardize time-temperature-size and amount of pork in cooking japchae, because pork is usually cooked in ordinary frying pans when we make this food.
        4,000원
        160.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om 1993 to 1996, 1,500 cases of foodborne disease was reported annually in Korea. Salmonellosis were 55.1% of the reported bacterial fordborne disease cases. However, in general, it is estimated that the reported incidence of salmonellosis represents less than the real incidence. This study showed that salmonellosis estimates 177,000 cases (about 150 times of reported cases) costing 5.9 billion won in Korea. Only medical costs and productivity losses were included in the estimate of costs of the 177,000 cases estimated to occur in 1996. This estimates were considerably difference to U.S.A. in cases and cost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ases/population (%), expense/GDP (%). Understanding the social 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will be endorsed risk assessment as a necessary method for evaluation and improving food safety regulatory programs in Kore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