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0

        14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약재 5종(상황버섯, 황금, 단삼, 뽕잎 및 작약)의 물 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한 조성물(MHE-1)과 동일한 추출 수율이 되도록 생약재를 혼합한 후 물 추출한 조성물(MHE-2)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성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HE-2에서 더 많았다. DPPH, ABTS 및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활성, Fe+2 킬레이팅 활성, 환원력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은 MHE-2가 더 우수하였다. 항염증 활성은 LPS에 의한 염증 유발군에 비해 조성물 처리 구에서 유의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100μg/mL 농도로 처리 시 PGE2와 cytokine인 TNF-α, IL-2 및 IL-6의 생성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나 두 조성물간에 차이는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여러 종류의 생약재를 혼합한 조성물의 생리활성은 원재료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추출물의 생리활 성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14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ne fractures are most often seen in racetrack horses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intensity in racing. These issues are the main cause of decreased performance in racehorse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been explored to improve intra-articular therapy in racehorses. MSCs are essential for the repair and regeneration of damaged tissu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MSCs in racehorses was investigated. Before accessing the MSC therapy, synovial fluids were obtained from the fracture site of racehorses, and adipose tissue was collected for MSC isolation. Using the MSC specific marker, adipose tissue-derived MSCs were identified. The racehorses received intra-articular injection of autologous MSCs (or allogeneic) (3 × 107 cells/3 mL). After 1 or 2 weeks, synovial fluids were collected from racehorses. To test the effect of MSC injection using ELISA, we analyzed inflammatory factors from the untreated samples compared to MSC-treated samples of racehorses. The level of pro-inflammatory factors (interleukin-1β and prostaglandin E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ynovial fluids of MSC-injected racehorses, compared to before accessing the MSC therapy, whereas, the level of anti-inflammatory factor (interleukin-10) was higher than prior to accessing the MSC therap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MSC in racehorses.
        4,000원
        14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산 식용 고사리를 열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70% 에탄올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로 분획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NO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0.0과 43.4mg GAE/g이었고,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각각 104.3과 58.7mg GAE/g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I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100.6μ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부탄올 분획물(182.6), 70% 에탄올 추출물(231.5) 순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IC50)은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102.4와 119.4μg/mL이었고, 분획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70.7μg/mL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부탄올(141.7)이었다. 활성산소 흡수능력(ORAC)은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267.8과 205.5mg TE/g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36.0mg TE/g로 가장 높았으며, 부탄올 분획물은 337.9mg TE/g이었다. NO 생성 저해활성(I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4.9μg/m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헥산과 부탄올 분획물이 34.9와 118.0μg/mL이었다. 결론적으로 제주산 고사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총페놀 함량은 물론 항산화 활성과 항염 활성이 가장 높아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4,200원
        14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PS에 의해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 식세포에서 염증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염증 억제의 지표 로서는 세포가 방출하는 NO 생성량과 iNOS 및 NF-κB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품종별 장미꽃 methanol 추출물(500 μg/mL)이 NO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O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LPS 처리에 의해 활성 화된 iNOS 단백질의 발현이 장미꽃 methanol 추출물 처리 시 유 의적으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Luciferase activity 를 실행한 결과, LPS로 자극한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염증과 관련된 NF-κB promoter activity가 장미꽃 methanol 추출물 처 리시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세포질의 IκBα의 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전사요소인 NF-κB p65, p50을 핵 속 으로 유리시키는 과정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이 전사단계에서 저해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결과,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만성 질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4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의 생성량과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고, MAPK family인 ERK, p38 및 JNK의 인산화와 Iκ-Bα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LPS로 유도한 endotoxin shock 동물실험에서 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 20 mg/kg에서 LPS로 유도한 endotoxin shock에 대한 생존율을 3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생존시간도 1.3~1.4배 증가시켰다.
        4,000원
        14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100~2500 μg/ml의 조릿대의 농도를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으로 관찰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2.27~80.71%)과 에탄올추출물(26.97~83.59%)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졌으며 에탄올추출물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12.17~90.53%, 에탄올추출물에서는 13.69~82.73%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용매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원력은 열수추출물에서 0.105~0.768, 에탄올 추출물에서 0.097~0.808의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NO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에서 46.62~68.74%, 에탄올추출물에서 27.48~65.2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조릿대 추출물의 IC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ABTS radical 및 NO radical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에서 1211.2 μg/ml, 410.5 μg/ml 및 228.1 μg/ml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에는 529.4 μg/ml, 300.2 μg/ml 및 461.3 μg/ml로 나타났다. DPPH와 ABTS는 에탄올추출물이 높게 나타났고, NO radical은 열수추출물에서 더 높은 IC50값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1.27 mg/g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41.46 mg/g의 함량을 관찰하였고, 용매간의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열수추출물(21.45 mg/g)에 비해 에탄올추출물(29.50 mg/g)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을 관찰하기 위한 SLO를 측정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45.94~176.6%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70.83~190.8%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조릿대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 모두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항산화와 항염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천연식품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진다.
        4,000원
        15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버섯을 혈관계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아위버섯 물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33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과, 94.45%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은 37.0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98.13%의 가장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냈다. 실험 결과로부터 아위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 트롬빈 저해활성 그리고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관련 치료나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51.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Cordyceps pruinosa butanol fraction (Cp-BF) were investigated by determining inflammatory responses of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and by evaluating HCl/ethanol (EtOH)-triggered gastric ulcers in mic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Cp-BF were investigated by identifying target enzymes using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Cp-BF strong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α,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hagocytic uptake of FITC-dextra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IL)-6,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 activated RAW264.7 cells. Cp-BF also strongly down regulated the NF-κB pathway by suppressing IKKβ according to luciferase reporter assays and immunoblot analysis. Furthermore, Cp-BF blocked both increased levels of NF-κB-mediated luciferase activities and phosphorylation of p65/p50 observed by IKKβ overexpression. Finally, orally administered Cp-BF was found to attenuate gastric ulcer and block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induced by HCl/EtOH.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p-BF may be mediated by suppression of IKKα and its downstream NF-κB activation. Since our group has established the mass cultivation conditions by developing culture conditions for Cordyceps pruinosa,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new anti-inflammatory agents.
        15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4-isopropyl-2,6-bis(1-phenylethyl)aniline 1 (KTH13-AD1) is a metabolite of Cordyceps bassiana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 Even though it has the magnificent pharmaceutical potential, there was not much understanding on its anti-inflammatory act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TH13-AD1. We found that KTH13-AD1 suppressed nitric oxide (NO)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 or sodium nitroprusside (SNP)-treated macrophages (RAW264.7 cells). Similarly, mRNA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tumor necrosis factor-a (TNF-a) analyzed by RT-PCR and real-time PCR was also reduced by this compound. Interestingly, KTH13-AD1 also strongly diminished the levels of NF-kB-mediated luciferase activities and nuclear translocated NF-kB family proteins. In agreement with these, KTH13-AD1 suppressed the upstream signaling pathway for NF-kB activation including IkBa, IKKa/b, AKT, p85/PI3K and Src in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s.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KTH13-AD1 has a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suppression of the NF-kB signaling pathway.
        15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RAW 264.7 세포에 산초 종자 정유 성분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초 종자로부터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에 대하여 평 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평가를 위해 MT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산초 정유가 NO생성과 PGE2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산초 종 자 정유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생존율 평가에서는 40 μg/mL-1 이하의 농도에서 98% 이상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항염 효능 평가에서는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보다 산초 정유 성분을 처리한 군에서 NO와 PGE2 생성 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초 정유가 염증매개인자를 감소시키고 산화의 활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식물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4,000원
        154.
        2014.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prinellus miaceus, belongs to Coprinaceae of Agaricales, Basidiomycota, has been used for an edible purposes in asian countries. This experiment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free radical scavenging, anti-acetylcholinesterase, anti-inflammator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 micaceus fruiting bodie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hot water.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ere lower than that of positive control, BHT. The chelating effects of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ositive control, BHT at the concentrations of 0.125-2.0 mg/mL. In the reducing power assay,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exhibited the lower activities than the positive control, BHT at the 0.125-0.2 mg/mL concentration. In the HPLC analysis of phenolic acids profile of the mushroom fruiting bodies, 4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pr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and naringin were detecte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ere 91.33% and 91.99% at 2.0 mg/mL concentration, while the inhibitory activity of kojic acid, the positive control, was 99.61%.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ahride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were inhibited by the methanol extract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the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assay,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the mushroom inhibited the AChE by 94.64% and 74.19%, respectively at the 1.0 mg/mL concentration, whereas galanthamine, the standard drug inhibited the AChE activity by 97.80%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the mushroom inhibited the α-glucosidase activity by 62.26% and 67.59%, respectively at the 2.0 mg/mL concentration, while acarbose, the positive control inhibited the α-glucosidase activity by 81.81%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fruiting bodies of C. micaceus contained natur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acetylcholinester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substances which might be used for promoting human health.
        15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느릅나무버섯의 자실체에서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해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 항염증 및 Melanoma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이용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에 비해 항산화 효과는 낮았지만 다른 종류의 버섯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 이온 제거 항산화 실험에서느릅나무버섯의 열수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BHT에 비해 철 이온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항산화 효과가 높게나타났다. 느릅나무버섯 자실체의 염증 저해 실험에서는배양 중인 RAW 264.7 대식세포에 자실체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처리 한 후 염증 유도 물질인 LPS를 투여하여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 유발의 주요 인자인NO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우수한 소염효과를 보였으며, carrageenan에 의해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을 저해하는 실험에서는 투여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흰쥐의 뒷발에 유도된 부종의 용적도 비례적으로 감소하여 항염증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elanoma 세포에 버섯추출물을 처리하고 생합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oma 세포내 멜라닌의 양이 감소하여 멜라닌 저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느릅나무버섯 자실체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멜라닌생성 저해 선분은 앞으로 항산화제, 소염제 및 미백제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thologic chronic inflammation, such as that seen with microbial infection and autoimmune diseases, creates micro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promote cancer. Therefore, if chronic inflammation can be alleviated, the risk of carcinoge- nesis may decrease. Turmeric is a dried rhizome powder from Curcuma longa. Curcumin, the major constituent of turmeric, present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chemopreventive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mmune responses to dietary turmeric in ICR mic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urmeric when used as a dietary chemoprevention agent. After dietary turmeric was given for three or six weeks to ICR male mice, the immune responses were characterized. The methods of characterization involved; the determination of the T cell subpopulation in the spleen, relative mRNA expression levels of IFN-γ and TNF-α and serum lysozyme activity. Dietary turmeric was found to decrease spleen weight, decrease the proportion of CD4-CD8+ T cells, and decrease phagocytic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urmeric might alleviate abnormal chronic inflammation by the action of immune suppression.
        4,000원
        157.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발아된 녹두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및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이다. 동일 농도인 250 ㎍/㎖ 에서 산화질소 생성 억제 비교시 발아 녹두 추출물이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수용성 용매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1,3-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고, 5일간 발아시킨 녹두를 추출한 것이 가장 높은 산화질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염증 반응이 많이 일어나는 염모제에 발아 녹두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발아 녹두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가 포함하지 않은 것 보다 높은 산화 질소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발아 녹두 추출물은 화장품에 자극 완화제와 항염증 소재로 응용이 기대된다.
        4,000원
        15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감귤류 중 온주밀감, 레몬, 한라봉의과 피추출물(PE)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감귤류 세 품종 과피추출물(PE)에 대한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세포를 배양하여 세포독성, NO생성량, 세포내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UP, CHP, CLP 처리구의 경우 2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육을 저해하지 않았다. LPS (100 ng/mL)를 처리한 세포의 NO생성량을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상당량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고,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농도가 증가할수록 NO생성량은 감소하였다. 각 처리구에서 각 1 mg/mL 농도에서는 CUP > CHP > CLP 순 으로 NO 저해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Western blot의 결과상으로는 CUP와 CHP의 iNOS 단백질 저해활성이 비슷 한 강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OX-2 효소의 저해활성은 CUP > CHP > CLP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UP, CHP, CLP 처리구는 모두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CUP 처리구가 세 개의 추출물 중에서 가장 저해활성이 강하였다.
        4,000원
        15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요약하면, 포르말린을 측두하악관절 내로 주입하여 발생한 염증성 통증 행위반응은 QX-314의 투여로 감소할 수 있었다. 저농도의 QX-314의 진통작용은 TRPV1 통로를 이용하여 세포막 내로 이동하여 작용이 나타났으며 고농도의 QX-314는 TRPV1 통로와 무관하게 진통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측두하악관절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염증성 통증에 QX-314가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며, 특히 고농도의 QX-314가 세포막을 이동하는 경로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된다면 임상에서 QX-314가 진통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와층버섯의 자실체에서 메탄올과열수를 이용해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와 항염증, 항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nti-acetylcholinesterase)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철 이온 제거능 등을 이용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나 토코페롤에 비해 낮았지만 다른 종류의 버섯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것을 확인하였다. 철 이온을 제거하는 항산화 실험에서 기와층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는 양성대조군인 BHT나 토코페롤에 비해 월등하게 높아서 기와층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지닌것으로 나타났다. 기와층버섯의 염증저해 효과 실험에서는 배양 중인 RAW 264.7 대식세포에 자실체의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전 처리 한 후 염증매개물질인 LPS를 투여하여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와층버섯의 추출물을 이용해 carrageenan에 의해 흰쥐 뒷발에 유도된부종을 저해하는 실험에서는 투여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흰쥐의 뒷발에 유도된 부종의 용적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기와층버섯자실체에 함유된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성분은 천연 항산화제, 소염제 및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