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98

        146.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children's safety devices in a school zone. The analysis targets are yellow carpet type A (installed up to the floor and wall) and yellow carpet type B (installed only on the floor). METHODS : Based on field data collected at a school zone in Seoul, statistical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ree different pairs of data: (1) none vs. yellow carpet type A, (2) none vs. yellow carpet type B, and (3) yellow carpet types A and B. The test employed two different measures: (1) the level of drivers’ eye attention and (2) the level of the vehicle deceleration rate. The study utilized software named "Visual Attention Software" to quantify the level of drivers’ eye attention at the location where children pedestrians were waiting for a green signal. It also utilized the Vegas (pro 17) image processing software to reduce the cruising speed data frame-by-frame from the video streaming data. The imag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with (1) camcorders attached to a test vehicle and (2) a drone aerial imaging technique. RESULTS :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he drivers’ eye attention level improved in the daytime when either of yellow carpet types A and B was placed; moreover, the safety enhancement effects were statistically identical. However, in nighttime, the measures only improved when the yellow carpet type A was placed. It was learned that yellow carpet type A provides significant safety effects according to both measures, i.e., the level of drivers’ eye attention and cruising speed. CONCLUSIONS : The test results suggest that the yellow carpet type A should be installed in school zones to maximize the safety effects of yellow carpets.
        4,200원
        148.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eople these days use smartphone extensively as a means of diverse social activities, but excessive use of it has also created increasing forward head posture (FHP) with neck pain. To improve this FHP, neck stabilization exercise is necessary.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biofeedback on FHP subjects with neck pain. Design: A non-randomized, controlled intervention study. Methods: This study chose 18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se neck disability index (NDI) was equal to or higher than 10 and cranio-vertebral angle indicated FHP as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selected 18 persons with no neck pain and a normal range of cranio-vertebral angle. The stabilization movement was performed by applying three phases of pressure, with low of 20 mmHg, intermediate of 25 mmHg, and high of 30 mmHg, using the Stabilizer. To check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pressure, the circumference of deep neck muscles was measured with ultrasonic waves, and the activity of surface muscle of sternocleidomastoid (SCM) was measured using electromyography (EMG). Results: When the circumference of the deep neck flexor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 at all pressures. The activity of the SCM of the surface muscle increased in both groups as the pressure increased.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tabilization exercis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n forward head posture subjects with neck pain at lower pressures.
        4,000원
        149.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linear system solvers with multi-physics analysis schemes are compared focusing on the near-field region considering thermal-hydraulic-chemical (THC) coupled multi-physics phenomena. APro, developed at KAERI for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TSPA), performs a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COMSOL, for which the various combinations of linear system solvers and multi-physics analysis schemes should to be compared. The KBS-3 type disposal system proposed by Sweden is set as the target system and the near-field region, which accounts for most of the computational burden is considered. For comparison of numerical analysis methods, the computing time and memory requirement are the main concerns and thus the simulation time is set up to one year. With a single deposition hole problem, PARDISO and GMRESSSOR a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direct and iterative solvers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representative linear system solvers is then examined through a problem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deposition holes and the GMRES-SSOR solver with a segregated scheme shows the best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computing time and memory requirement.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expected to provide a good guideline to choose better numerical analysis methods for TSPA.
        4,000원
        150.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상향비교와 SNS 이용동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구성한 후, SNS를 이용하는 초기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건부 자아존중감, SNS 상향비교, SNS 이용동기, 그리고 열등감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건부 자 아존중감이 열등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SNS 상향비교는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SNS 상향비교와 열등감의 관계에서 SNS 이용동기의 조절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건부자아존중감이 SNS 상향비교를 매개로 열등감에 미치는 간 접효과를 SNS 이용동기의 영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성인이 열등감을 경 험하는 것과 관련하여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4,600원
        15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연령별 얼굴정서 인식 비교 연구에서는 정서별로 연령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혔다. 이에 Kim(2021) 연구에서는 개별 정서가 아닌 정서공간에서 표상된 정서를 연령 간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기술적 (descriptive) 비교만 시행하였을 뿐, 통계적 유의미 검증을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상 유사성 분석(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방법을 통해 연령간 실제 데이터 및 정서 모델 유사성행렬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개인차 다차원척도법(individual differences multidimensional scaling)을 통해 연령간 정서 차원에 대한 비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제 데이터 비교에서 노년 집단은 청년 및 중년 집단과 가장 유사하지 않았으며, 쾌불쾌 차원이 포함된 정서 모델과의 유사성 비교에서도 가장 유사하지 않았다. 또한 노년 집단은 각성 차원에 대한 비중이 청년 및 중년 집단과 유사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 정서 모델, 그리고 정서 차원 비중이라는 세 가지 측정치에 대해 노년 집단과 청년 및 중년 집단과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000원
        15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국 소비자의 패션소비지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코로나19 전후 기간에 한국 가계의 패션소비지출의 변화를 살펴보고 세대와 소득수준에 따라 그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통 계청의 가계동향자료를 토대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가구의 소득, 소비지출액, 소비지출 중 패션소비지출액을 추출 하였고, 추출된 자료로 소득대비 패션소비지출 비율, 지출대비 패션소비지출 비율이 계산되었다. 세대는 Z세대, M세 대, X세대, 베이비부머 세대, 사일런트 세대로 구분되었고, 소득수준은 가계소득 5분위를 기준으로 해당하는 소득분위 로 구분되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이후 소득대비 패션소비지출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소득분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가구의 지출대비 패션소비지출 비율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기간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대에 따른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득분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가구 총지출액 중 패션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패션소비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코로나19 이후 소비영 역의 중요도가 변화하였음을 나타내며, 세대에 따른 중요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팬데믹 상황과 같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향후 소비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15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의 안전과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선박이 안전한 운항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선박은 선박검사를 통하여 안전운항 적부를 논하게 되며, 검사 규 정의 근간은 IMO 국제해사협약과 각 나라의 국내법이 된다. 우리나라 선박안 전 및 검사제도 법령은 일제 강점기를 거친 역사로 인하여 일본의 그것과 매우 흡사하나 잘 사용하지 않는 용어 수정, 제도 보완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 또한, 우리는 아직도 해외의 선진법제를 도입하고 있는 처지에 있어 해운 선진국의 위치에 있는 미국과 영국의 법제를 연구하는 것은 우리나라 관련 법제를 정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불문법 체계를 가진 미국과 영국 그리고 우리나라와 같이 성문법 체계를 가진 일본의 선박안전 및 검사 법령을 고찰하였다. 미국과 영국은 불문법 체계를 가지나, 성문법 국가인 우리나라에 비하여 뒤 지지 않을 만큼 제정법화 되어 있으며 통합적인 법 체계를 구성하면서도 세분 화된 검사대상을 규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우리 나라 선박검사 관련 법령은 여러 기술고시에 산재하여 있는 등 상대적으로 복 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 수범자로 하여금 규범 준수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박안전법 및 해양환경관리법 하위의 복잡하고 관리가 어려운 기술고시 및 기 준을 간소화하거나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 법령의 명칭과 용어 사용에 있어서 우리와 매우 유사한 체계를 가지고 있어 구조적인 보완점이나 시사점을 도출하기에는 어려운 사실이 있다. 그러나, 선박안전 및 검사제도 법령을 위반할 경우 벌칙이나 과태료 조항을 관 련 법 조문 뒤에 명기하고 있는 형식을 참조하여 선박검사 관계법령에 한해서 라도 법 조문에 대한 시인성과 직관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선박검사와 관련하여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국제해사협약을 적용하도 록 하고 국내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각 나라의 특징과 실정에 맞도록 국내법 을 제정하여 적용하는 검사규범 이원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획일화된 규정 제정보다는 특별히 안전관리가 필요한 선박별로 규정을 강화하는 검사규 정 집중화도 요구된다.
        7,800원
        15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Excessive hamstring (HS) activation due to the weakness of the gluteus maximus (GM) causes pain in the hip joint. A single-leg deadlift is a hip extensor exercise, especially GM, that includes functional movements in daily life and complex multi-joint training. In single-leg deadlift, the muscle activity depends on the forward trunk lean angle, and it's necessary to study which muscles are used dominantly depending on the angl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GM and HS during single-leg deadlift according to different forward trunk lean angles and the ratio of the GM vs HS (GM/HS). Methods: Twenty-one healthy femal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e muscles activities of the GM, HS and the GM/HS ratio were measured through electromyography during single-leg deadlift according to three condition of forward trunk lean angles (30°, 60°, and 90°). Results: The GM and HS activitie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ree conditions (p < 0.05). GM/HS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at 30°and 60° of forward trunk lean compared to 90°. Moreover, the GM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t 60°of forward trunk lean than at 30° (p < 0.05). Conclusion: The single-leg deadlift at 60°of forward trunk lean is a proper GM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4,000원
        155.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양생물주기 및 보양을 하지 않은 구조체의 압축강도와 표준 양생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비교 평가하였 다. 코어채취를 위해서 980x2090x200mm3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준비하였으며, 콘크리트 공시체 25개를 KS F 2405에 따라서 표준 양생, 20개를 구조체와 동일한 환경에서 대기중 양생을 하였다. 실험 결과, 28일 표준공시체 압축강도 대비 코어 채취 압 축강도는 약 4MPa 낮게, 대기중 양생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약 7.6MPa 낮게 측정되었다. KCS에서는 양생기간의 온도가 낮을 경 우 온도보정강도를 제시하고 있으며, 실험결과로부터 제시된 값이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7일, 14일에 측정된 대기중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코어채취 공시체의 압축강도와 유사하였지만, 28일 압축강도는 현저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초기 구조체의 초기 압축 강도 예측에 대기양생 공시체를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28일 압축강도를 추측하는데 대기중 양생 공시체를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156.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Obj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 브레이싱 운동과 복부 할로잉 운동을 결 합한 요부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20대 정상성인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흡연자와 비흡 연자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Methods/Statistical analysis: 이를 위해 20대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흡연집단(n=16)과 비 흡연집단(n=16) 두 그룹으로 모집하여 동일한 중재를 실시하였다. Findings: 흡연집단은 집단 내 기간 지남에 따라 폐기능 요인 중 FVC과 FEV1/FVC를 제 외한 FEV1과 PEF가 운동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비흡연집단에서 기간 지남에 따라 폐기능 요인 중 FVC과 PEF를 제외한 FEV1, FEV1/FVC가 운동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 였다(p<.05). Improvements/Applications: 본 연구 결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과 복부 할로잉 운동을 결 합한 요부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흡연집단과 비흡연집단 두 그룹의 폐기능 향상에 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4,900원
        157.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칡의 효율적인 제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의 사례를 비교하였다. 칡은 척박한 토지에서도 생장이 왕성한 특성을 가져 사면침식을 억제하는 식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칡은 덩굴을 형성하여 조림목을 감고 올라가 생장하므로 심할 경우에는 조림목의 고사를 유발한다. 최근에는 생활권 수목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조경수에 대한 피해가 주목을 받고 있다. 칡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거한다. 국내에서는 덩굴 및 주두부 제거 등 물리적 제거 방법과 제초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국외에서는 화학적 방법에 주로 의존한다. 물리적 방법은 환경오염이 적은 이점이 있으나 상당한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화학적 방법은 즉각적으로 제거 효과가 나타나지만 약제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과 기상조건의 제약이 있다. 생물학적 방법은 화학적 방법의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제거 효과가 느리게 나타나고 조림지에 적용 시 조림목과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 향후 고효율성을 담보하며 친환경적인 생력화 칡 제거 기술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필요하다.
        4,800원
        158.
        202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물환경조절학회지 31권 4호에 게재된 논문의 사사가 잘못 기재되어 있어 바로 잡습니다.
        16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habitat status of barn swallows within 800 m and changes in potential food resource occurrence for 63 nests (Seocheon 23, Sejong 40) where barn swallows breeding was confirmed in Seocheon and Sejong in 2019 and 2020. As a result of checking habitat compositions of barn swallows in the study area, Sejong showed more varieties of habitat types than Seocheon, showing a larger number of dominant groups. Such large number of dominant groups was found to be an advantageous habitat factor for producing flying insects as potential food resources for barn swallows. As for the production of potential food resources, Seocheon had the highest production in dwelling and stream and Sejong had the highest production in the stream. The production of potential food resources differed in production season by habitat type. This study analyzed compositions of the habitat around the breeding site of swallows. It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for protecting barn swallow habitats by comparing the production timing and production volume of potential food resources occurring in the habitat.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