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9

        14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llasan is an elliptical volcano on Jeju Island and is the highest mountain in South Korea. A survey was carriedout to investigate soil Gamasina mite composition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during 2016-17. Soil samples were collectedvarious microhabitats from Baekrokdam and Muljangori. We found these eight species; Euparholaspulus primori, Gamasholaspisbrowningi, G. communis, Parholaspulus bregetovae, P. hiasmaticus, P. maturovae, P. orientalis and P. paradichaetes fromsoil. Among these species, Parholaspulus bregetovae, P. hiasmaticus, P. maturovae, P. orientalis and P. paradichaeteswere first records from Baekrokdam and Muljangori, Halla National Park, South Korea.
        14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upelmidae Walker, 1833, belongs to the superfamily Chalcidoidea, with more than 1,000 described species within48 genera worldwide. They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families as following characters: females and some males withlarge and undivided mesopleuron; gaster subsessile; male antenna with seven funiculars and only single anellus.Most species of this family are idiobiont ectoparasitoids or predators of the immature stage of Coleoptera, Homoptera,Lepidoptera, Neuroptera, Orthoptera and even other Hymenoptera, or some species are endoparasitoids of eggs of Araneae,Dictyoptera, Hemiptera, Lepidoptera, Orthoptera and Phasmida.In this study, history, descriptions, photos of habitus and a key to genera and species of South Korean Eupelmidaeare provided.
        14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forestation such as illegal logging and forest fires has caused a big disadvantage for surrounding people. In general, the losses were disasters such as floods, landslides and droughts. Disaster is something that causes damage, loss or misery (The Big Dictionary of Indonesian Language, 1996). Gendol hill is a forest area that has experienced disasters caused by forest destruction. Among the disasters occurred in Gendol hill area was drought or difficulty in fulfilment of the need of fresh water. A number of springs have been drying up after the destruction of Gendol forest in 1963. Efforts to restore the forest by reforestation or replanting have been conducted since a long time by the government (Perhutani) with planting of pine trees (Pinus merkusii). Since 1996, trees of Moraceae family were also planted gradually by local person. Three species from the Moraceae family that have been planted are Ficus benyamina, Ficus annulata, Ficus retusa, Ficus recemosa, Ficus microcara etc. By 2016, at least 4000 trees species from Moraceae family have been planted together thousands other species. Based steps of planting, there are three groups of Moraceae family trees in Gendol hill. They are tree groups aged 15-20 years, 10-15 years and 1-10 years (Anonimous, 2016) The case study aimed to get information of Moraceae family trees plantation benefits in emergence of springs.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documentation and study literature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in April 2016. Observation of the field conditions (vegetation and springs conditions) was conducted to obtain description of the location and springs condition. In depth Interview has conducted by interviewing of key persons to obtain historical information (forest destruction, loss of springs, replanting efforts, and re-emergence of springs). In-depth interview also aimed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received by local people from the emergence of springs. While documentation in the form of photos of vegetation conditions and springs was taken to get more descriptions. To complete this research, we has also taken secondary data from related parties and some literatures. Furthermore,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descriptive-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anting of Moraceae family trees such as Ficus benyamina, Ficus annulata Blume, and Ficus retusa L. had a real benefit in emergence of springs on study site including re-emergence of died springs. There are many springs appearing in both large and small sizes. Five springs in quite large size appearing around the Moraceae family trees stand on the slopes of Gendol hill after 17 years of planting. The water yield of each springs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and size of Moraceae family trees around the springs. The water discharge (outflow) of springs under 5 trees with height average 14 m and diameter 25 cm is bigger than the springs under 3 trees with height average 12 m and diameter 20 cm. The emergence of springs in Gendol hills has brought many benefits to the lives of the surrounding people. Based on descriptive analysis, the benefits for local community are; 1) Fulfilment of fresh water needs for at least 800 families of local communities (at least 240,000 litters / day), 2) Increasing of water availability for irrigating rice fields (from 1 harvest / year to become 3 harvest / year) so that people income around Gendol hill increased, 3) Increasing of public awareness in planting / greening including local government, 4) Appearing of tourism service potential that may be developed by local government together local people . Therefore, advanced research or applied research is suggested to be conducted for assessing the effect of Moraceae family trees on all aspects (vegetation, soil, hydrology and socio-economic). The research suggested are; a)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on the springs area and their relation with springs, b) The effect of Moraceae family trees on water yield, c)Affecting factors in the springs sustainability (physical, socio-economic and institutional, d) Environmental services analysis of Springs management.
        14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tailed morphological studies and molecular analyses based on plastid-encoded rbcL gene sequences were undertaken on Peyssonnelia species, a poorly known genus from Korea. We report new records for the Korean coast, Peyssonnelia harveyana and P. rumoiana. Peyssonnelia harveyana is chiefly characterized by P. rubra-type anatomy, closely packed perithallial filaments in firm matrix, hypothallial filaments arranged in parallel rows, thalli with appressed margins, hypobasal calcification, and unicellular rhizoids. Peyssonnelia rumoiana is principally characterized by two vegetative features, hypothallial filaments arranged in a polyflabellate layer, and perithallial filaments arising from the whole upper surface of each hypothallial cell (Peyssonnelia rubra-type anatomy). Our rbcL analyses revealed that P. harveynana and P. rumoiana were placed within a clade of Peyssonnelia. We also propose the new combination, Sonderophycus cauliferus comb. nov., for previous Peyssonnelia caulifera. Phylogenetic analyses revealed that our S. cauliferus was placed within a clade of Sonderophycus.
        4,000원
        14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vestigation focusing on the unrecorded and taxonomically undescribed indigenous has been done since 200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ites in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of Korea as well as around Jeju Island. Since 2008, 16 unrecorded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Gymnodiniaceae have been found. The species were as follows: Amphidinium thermaeum (2015), Cochlodinium convolutum (2015), C. strangulatum (2015), Gymnodinium abbreviatum (valid name: G. gracile), G. arenicola (2015), G. gracile (2015), G. dorsalisulcum (2015), G. microreticulatum (2014), G. micrum (2016) (valid name: Karlodinium micrum), G. pyrenoidosum (2016), G. simplex (2015), G. veneficum (2016) (valid name: Karlodinium veneficum), Gyrodinium aureum (2015), G. fusiforme (2015), G. dominans (2014), and Nusuttodinium latum (2016) (valid name: Amphidinium latum). (The numbers in parentheses refer to the year that the species was found). These species were newly recorded in Korean waters in this study.
        4,900원
        14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서직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와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일-가정 갈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요구와 결과변인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에 대한 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현직 비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비서직 여성노동자 13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여성노동자가 지각하는 높은 직무요구는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고,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은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생활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 효과는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5,800원
        147.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왕시 발달장애안 가족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왕시 발달장애인 가족 문제를 확인하고, 의왕시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과 의왕시 발달장애인 가족에 대한 질 높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의왕시 발달장애인 가족 157명을 대상으로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인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정도를 살펴보면, 부담이 되는 편이다가 53.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매우 부담이 된다 28.3%, 부담되지 않는 편이다 17.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으로 인한 가족 간 갈등 경험 정도를 살펴보면, 다소 있는 편이다가 53.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없는 편이다 22.7%, 자주 있는 편이다 16.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출현으로 가족관계 변화를 살펴보면, 부부간, 가족 간 시간을 포기가 2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갈등은 사라지고 돌봄, 양육, 보호에 더욱 협조적 17.4%, 가사와 양육문제 등 가족 모두 공동 해결 1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출현으로 사회생활 변화를 살펴보면, 장애인 가족이라는 이유로 소외감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음이 4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동정어린 눈빛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음 22.2%, 실제 도와주지는 못해도 마음으로 관심을 가져줌 16.0%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발달장애인 가족 지원 서비스 필요도를 살펴보면, 부모 사후 장애자녀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8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장애인 성인 이후 제도적 보호 지원 81.0%, 장애인 지역사회 편의시설 지원 79.9%, 재활치료비 지원 79.3%, 장애인 취업 관련 상담 지원 75.9%, 의료비 및 교통비 지원 71.2%, 위탁시설 이용료 지원 7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700원
        14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ur species of the family Lycosidae are reported. Alopecosa gachangensis n. sp. is described from Daegu, Korea. A. aculeata (Clerck, 1757), Lycosa boninensis Tanaka, 1989 and Pardosa hokkaido Tanaka and Suwa, 1986 are newly recorded to the Korean spider fauna.
        4,000원
        14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공격성에 가족, 인지, 심리 요인이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청소년비행예방센터에 의뢰된 572명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만 투입하였을 때 학업성적과 유예중퇴경험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요인들을 추가한 회귀모형에서는 가족화목도와 가족의사소통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는 모형1과 동일하게 유의미하였다. 셋째, 인지적 요인들을 추가한 모형에서는 공격신념이 낮을수록, 자기통제력과 가족화목도가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는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요인들을 추가한 최종모형에서는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우울/불안수준과 공격신념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 우울/불안, 공격신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행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된 논의와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6,600원
        150.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a main caregiver, in charge of a family member with a severe chronic diseas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main caregivers, who have a family member with a severe chronic diseas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This research concluded with: one core theme, five theme clusters and 13 themes. The one core theme was: ‘My Life is Not Mine.’ The five theme clusters include: ‘The Dark Days Ahead, of What We Do,’ ‘Serious Pressure,’ ‘My Body is Broken (caregivers),’ ‘Overcoming,’ and finally ‘Endless, Long and Long tunnel.’ Conclusion: We must emphasize to a main caregiver of a chronic disease patient, to the fact that their life should be theirs, not the patients. In addition, we need to be attentive of their well-being, as well as the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sensitively responsive to their problems.
        4,200원
        15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Coccidae Fallén, 1814, which is named soft scale insect, is recognized from Laos as twenty-two species including nine new records: Ceroplastes cirripediformis (Comstock, 1881), C. stellifer (Westwood, 1871), Coccus formicarii (Green, 1896), C. gymnospori (Green, 1908), C. hesperidum Linnaeus, 1758, C. latioperculatum (Green, 1922), Drepanococcus cajani (Maskell, 1891), Saissetia miranda (Cockerell & Parrott in Cockerell, 1899), and S. oleae (Olivier, 1791). A key to the Lao species of Coccidae is provided with diagnoses, photographs and host information for each species.
        15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Thyrididae was known as a small group comprising 760 species in the world. Among them, about 30% of the species in the family was unnamed(Choi, 2005).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Thyrididae is a window-like transparent pattern of wings.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catalogue of the family Thyrididae was presented with two newly recorded species, Striglina sp. and Rhodoneura sp.,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host plants, distributional ranges and synonymic list were provided for the further study.
        15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rothidae is one of the uncommon group of Neuroptera. The family currently include about 22 genera and 100 species in the world. The genus Isoscelipteron include about 20 species in the world, with the distribution covering Eurasia. Several species of this family are known to be a termite predator during larval stage. We collected Isoscelipteron pectinatum adult, which is a new species record in Korea, which is in fact a new family record as well. Here we provide a brief description, photos of adult and male genitalia, and DNA barcode sequence based the specimen examined.
        15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alcididae Latreille, 1817 currently include 1,464 extant species in 87 genera in the world. This family is probably easy to define taxonomically. Body robust with coarse puncture, prepectus extremely narrow, hind femur typically swollen and on inner margin with one or more teeth. Members of this family are primary endoparasitoids on pupa of Diptera and Lepidoptera. Up to date, only 12 species of 6 genera belonging to three subfamilies have been recorded from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six species (Chalcis sp. 1, Conura sp. 1, Haltichella cf. nipponensis Habu, Hockeria cf. bifasciata Walker, Proconura sp. 1 and Steninvreia cf. petiolata Bouček) in Chalcididae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Among them four genera (Haltichella Spinola, Hockeria Walker, Proconura Dodd and Steninvreia Bouček)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Therefore, 18 species of 10 genera in Chalcididae are recorded from South Korea.
        15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ucospidae Walker are a relatively small family in Chalcidoidea, and they consist of four genera and about 140 species in worldwide. In neighboring countries, 12 species are known from China and four species are known from Japan, but only one species is known from South Korea by Paik (1974). In this study, Leucospis yasumatsui Habu is reported for the frist time from South Korea. A key to South Korean species of the genus Leucospis Fabricius, diagnosis, photos of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from South Korea are provided.
        15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Nabidae (Hemiptera: Heteroptera: Cimicomorpha) is a cosmopolitan family of medium-sized (4-12 mm.) predatory groups in true bugs. Among them, 10 genera and approximately 130 species are distributed in the Palaearctic region. Most Nabidae are predators on various stages of insects (e.g., aphids, leafhoppers and lepidopteran eggs and young caterpillars), but several genera within the subfamily Prostemmatinae (e.g., Prostemma, Alloeorhynchus and Pagasa) are specialized predators of true bugs, especially of the family Lygaeidae. Most Nabinae are herbicolous and arboricolous, whereas all Prostemmatinae are ground-inhabiting (in litter layer, under stones, etc.). In this talk the family Nabidae is reviewed from Korea including two unrecorded species and one new species.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such as description and diagnoses, and biological information for each species are provided.
        15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ecophoridae is a mega-diverse microlepidopteran family within the Gelechioidea (Lepidoptera) comprising more than 3,300 described and numerous undescribed species. Based on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eight genes for 82 taxa, the results indicated that (i) Casmara, Tyrolimnas and Pseudodoxia did not belong to Oecophoridae; (ii) other oecophorids dividing into two subfamilies, Pleurotinae and Oecophorinae, were nested within the same clade, and (iii) Martyringa, Acryptolechia and Periacmini were clustered with core Xyloryctide. Reconstruction of ancestral microhabitat of oecophorids indicated that they might have evolved from dried plant feeders and further convergently specialized. The ancestral larva sheltering strategy of oecophorids might have used a silk tube by making itself, shifting from mining leaves.
        15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외적으로 침입종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완전 기생성 외래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gelm)은 토착종에 비하여 그 분포범위와 개체군의 크기가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농작물 등에 피해를 주는 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실새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금강수계 86개 지점과 공주대학교 교내 야외 온실에 있는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또한 미국실새삼이 나타난 지점에서의 출현식물을 조사하여 각 과별 미국실새삼에 기생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미국실새삼의 발아기인 5월과 개화기인 10월을 기준으로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년간 조사가 진행되었다. 금강수계와 교내에서 출현한 식물은 91과 245속 385종이였으며 이 중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은 39과 88속 107종으로 27.8%의 기생비율이 조사되었다.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전체 식물 종수가 10종 이상인 과 중에 미국실새삼의 기생비율이 가장 높은 과는 마디풀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에서 총 15종의 마디풀과가 출현하였으며 이 중 미국실새삼이 기생한 종은 8종으로 53.33%의 선호도를 보였으며 콩과 48.39%, 국화과 39.53%, 꿀풀과 36.36%, 사초과 27.27%, 벼과 20.75%, 장미과 17.6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기주식물을 과별로 정리해보면 국화과(17.14%), 콩과 (13.86%), 마디풀과(5.71%), 벼과(5.71%), 기타(57.58%)의 순서로 미국실새삼은 국화과에 가장 많이 기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출현한 식물에 비해 가장 많이 기생한 과가 마디풀과인 것을 보았을 때 미국실새삼은 국화과 보다는 마디풀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생부위를 줄기와 잎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을 때 미국실새삼은 국화과와 벼과 식물보다 콩과의 줄기에 적게 감았으며 반대로 잎은 콩과에 많이 감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실새삼이 4과 4속 4종의 멸종위기식물에도 기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실새삼은 숙주에 기생하여 기주식물의 사망률을 높이고, 활력도를 떨어트려 가해곤충이 많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관찰되었다. 농작물의 피해를 확인하였던 미국실새삼이 멸종위기식물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15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성범죄자의 교정시설 수용 이후 가족관계 실태를 알아보고, 성범죄자 집단별 가족관계 정도와 가족지원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가족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교정시설 수감 중인 성범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범죄 발생 이후 가족과의 관계 실태와 집단별 가족관계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범죄자들은 성범죄 발생 이후 가족과의 연락을 자주 못하며, 이혼과 같은 가족해체를 경험했다. 또한 성범죄자 가족들은 정신적 충격, 경제적 어려움 등의 피해를 호소하고 있었다. 따라서 성범죄자들의 가족관계 강화를 위해 교정시설 내에서 가족 간의 접촉 기회를 늘리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가족들이 면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부모교육과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성범죄자들의 개별 상황에 맞춘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한다. 지역사회 민간기관 및 전문가들과 연계하여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교정현장의 개방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5,700원
        16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초대 한국 천주교회 설립 단계에서 한국 천주교 문학에 이어진 서간 중 이순이 루갈다 가족의 서간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 천주교 서간 문학의 특 징을 규명한 글이다. 서간은 한국 전통 문학의 양식의 하나일 뿐 아니라 성경을 비롯하여 교회문헌에서 이어진 글쓰기이다. 이순이 루갈다 가족의 서간은 이러 한 두 전통이 만나 형성, 전파, 전승된 한국 천주교 문학의 대표작이다. 본고에 서는 이순이 형제의 서간을 ‘가족 서간’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 다. 이들 서간은 가족이 주체가 되어 가족에게 남긴 서간에서 출발하여, 이것이 신앙 담론과 결합하면서 신앙을 중심으로 한 신앙 공동체의 담론으로 변모한다. 또한 순교에 대한 심정과 과정을 진솔하면서도 과장 없이 기술함으로써 사적인 편지에 머물지 않고, 신앙의 모범이자 신앙의 가치를 담은 교회의 서간으로 의 미화 된다. 가족을 중심으로 한 조선 사회에서 가서의 형태로 전해진 이순이 가 족의 서간은 수도 공동체나 사도 중심의 서구 가톨릭 신앙 공동체 및 그들의 서 간과 다른 한국 천주교회가 남긴 한국 천주교 문학의 유산이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