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5

        161.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름이 유입하는 경우 해양대기경계층의 발달을 분석하기 위하여, 울릉도에서 관측한 레윈존데 자료와 AWS 자료, 위성사진, 동해에 설치된 부이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열의 이류와 표층 열속, 구름 유입에 따른 복사에너지를 추정하였다. 혼합층 내의 열 변화 및 혼합층의 발달을 표층 열속과 구름에 의한 장파복사속으로 설명하였다. 열속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벌크법을 이용하였다. 울릉도, 동해상의 부이, 포항에서 관측한 자료를 이용한 열수지 방정식으로 대기경계층의 열보존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름의 유입으로 인해 일몰 후 지면의 복사냉각이 방해되고, 구름에서 장파복사가 방출된다. 그로 인해 야간에 오히려 기온이 증가하였다. 또 남서쪽으로부터 따뜻한 공기가 이류되어, 하층 대기의 온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이유로 혼합층이 파괴되지 않고, 잔류층을 형성하며 남아있었다.
        4,000원
        162.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조합하중을 받는 공간구조물의 안정경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독립된 여러 가지 하중벡터는 기본이 되는 하중 모드와 하중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독립된 하중 매개변수에는 비례관계를 설정함으로서 하나의 하중변수에 의해 하중을 부여한다. 구조물의 좌굴하중 즉 임계점은 평형조건이 불안정이 되는 극한점과 분기점으로 분류되고, 가장 낮은 하중이 좌굴하중으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비선형 문제를 해석하기 위한 수치해석법으로는 호장법과 뉴턴-랩슨법을 이용하였으며, 본 해석을 통하여 안정경계를 파악함은 물론 좌굴모드 및 좌굴하중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4,000원
        16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의 강구조설계에서는 일반적인 탄성좌굴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까지의 실적선의 데이터와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도출된 여러 가지 룰에 의한 데이터가 상당히 신뢰할만한 정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판두께가 박판인 고장력강재가 선체에 폭넓게 사용되어지면서 탄성좌굴발생 시점이 빨라졌으며 이에따른 탄소성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체의 이중저 판넬구조에서 압축하중을 받을때의 실제판부재의 주변지지조건을 네가지로 이성화하여 해석하였으며, 이때 실제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열가공에 의한 비대칭형 초기처짐을 적용하였고, 비선형해석기법으로서는 Arc-length method를 적용하였고 해석코드는 범용유한요소법 소프트웨어로 잘 알려진 ANSYS를 사용하였다.
        4,000원
        164.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21종의 과학 교과서와 지도서에 나타난 섭입경계에서의 마그마 형성 관련 내용에 대한 본문 진술과 제시된 그림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간 마그마의 정의에 일관성이 없었으며,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마그마의 생성기원에 관한 과학적 개념 진술이 정확하지 않거나 기재되지 않았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들은 본문 내용과 일치하지 않았으며, 판구조론과 섭입경계에서의 화성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형성에 부족하고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마그마의 생성기작(형성과정), 기원물질, 생성위치와 관련된 것들로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섭입경계에서 분출되는 대부분의 중성마그마가 쐐기맨틀의 부분용융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4,000원
        16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계 요소법을 이용하여 2차원 비등방성 탄성체의 손상 규명을 수행한다. 경계에서의 적분항만을 포함하는 본 수치모델은 1차원으로 줄게된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균열 역학과 같은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정 영역을 분할하는 기법을 피함으로서 수치해석 과정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기 때문에 역문제 해결에 있어서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등방성 재료에 대한 비파괴 추정기법을 복합신소재와 같은 비등방성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체의 해석에 대하여 확장한다. 먼저 경계요소법에 의한 수치모델의 타당성을 기존의 문헌과 비교 검증하며,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비등방성 형식의 변화에 따라 실제 측정시 발생하는 노이즈 영향을 분석한다. 수치예제는 적층 형태 및 하중조건에 대하여 수행하며, 결함 추정에 미치는 적층 형태의 영향을 시험한다.
        4,000원
        16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e Postmodeme wird als wichtiger Begriff venvendet, um die heutige Zeit zu beschreiben, besonders in der Philosophie und in der Kunst. Sie hat in vielen Bereichen unseres Lebens, wie z.B. der Architektur, Kultur, Film, Ballett, Religion, Politik und Mode ihre Wirkungskreise gezogen. Auch in der Musik des 20. Jh. wurde Postmodeme als ein wichtiges Pha¨nomen akzeptiert. Besonders zeichnet sich die musikalische Postmodeme aus durch ihre U¨benvindung der Kluft zwischen artifizieller Musik und Trivialmusik. In diesem Zusammenhant wird "Crossover" ein wichtiges Merkmal der Musik in unserer Zeit. In dieser Studie wurde versucht, aus dem Aspekt der musikalischen Postmodeme Crossover zu untersuchen. In der Moderne wurde die Tradition kritisch bea¨ugelt, was mit einem verlangen nach Neuem ausgedru¨ckt wurde. Hier war Kunst weniger ein Genussobjekt denn ein Erkenntnisobjekt, das ho¨here Werte wie <Wahrheit> und <Gesellschaftskritik> zu erkennen und zu erfu¨llen hatte. Diese Sichtweise teilten Komponisten wie auch das Publikum. Der Komponist schuf also ein Werk, dem er einen ho¨heren Sinn verlieh, wa¨hrend dem Publikwn abverlangt wurde, dass es diese Bedeuhmg erkennt und nachvollzieht. Dies fu¨hrte aber zu einer Zweiteilung der Kunst in eine hohe Kunst und eine niedere Kunst oder' auch Trivialkunst. Adomos Teilung der Musikkultur des 20. Jahrhunderts in Avantgarde und Kitsch bringt diese Situation auf den Punkt. Demnach na¨herte sich die Position der Kunst fu¨r die Kunst einem immer elita¨reren und akademischeren Denken, wa¨drend die Massenkultur dank der Vermarktung immer weiter verbreitet wurde, was einen tiefen Abgrund zwischen den beiden verursachte. Doch in der Postmodeme wurde dieses dichotomische Denken verurteilt. L. Fiedler Wckt dies so aus : "Die Vorstellung von einer Kunst fu¨r die 'Gebildeten' und einer Subkunst fu¨r die 'Ungebildeten' bezeugt den letzten U¨berrest einer a¨rgerlichen Unterscheidung innerhalb der industrialisierten Massengesellschaft, wie sie nur einer Klassengesellschafi zustiinde." Kunst in der Postmodeme ist kein Gegenstand des Erkennens, sondem ein a¨sthetisches Erlebnis an dem man teilhaben kann. Dies fihrte zur U¨berwindung des Abgrundes zwischen hoher und niederer Kunst. Ausdruck und Subjektivitat wurden die neuen Schlagworter fu¨r die Komponisten und gerade in letzter Zeit treten immer haufiger Crossover-Formen in Erscheinung, wie z.B. bei dem Pianisten Friedrich Gulda, der klassische Werke auf jazzige Weise improvisiert oder aber auch bei zahlreichen Konzerten, wo klassische Musk und Unterhaltungsmusik unter einem Dach und Fach gebracht werden. Diese Beispiele zeugen Air den Wandel im musikalischen Denken beztkglich einer A¨sthetisierung des Alltagsleben, was als Versuch gesehen wird, Kunst und Produkte der Kunstvermarktung zu erga¨nzen. In diesem Wandlung der musikalischen Anschauung wurde "Crossover" ein wichtiges Chamkterikum unser Zeit. Aber nach der Untersuchung von "Crossover" in artizifieller Musik wurde festgestellt, daß "Corssover" nur ein kleiner Teil der heutigen Musikkulur ist. Die sog. postmodeme Komponisten wie K. Penderecki, W. Rihm, G. Rochberg haben auf einer anderen Weise musikalische Postmodeme in seiner Komposition ausgedrcu¨ckt, und fast keine "Crossover"-Musik komponiert. Nir in dem Bereich der Unterhaltungsmusik la¨ßt sich mehrere Versuche zur U¨berwindung des Grabens zwischen artifizieller Musik und Unterhaltungsmusik finden. So ist es no¨tig, daß wir die Bedeutung von "Crossover" genau erkennen und nicht Ubertreiben.
        5,700원
        169.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수중익주위의 비선형/비정상 자유표면 유동을 다룰 수 있는 시간영역 수치해법으로 고차 스펙트럴법과 경계적분법을 조합한 고차 스펙트럴/경계적분법을 이용하였다. 이 수치해법은 자유표면 요소수를 N이라 할 때 그 산술 계산량이 NlogN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N 이 클 때는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이 수치해법은 자유표면 유통의 계산에 있어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적용예로서 균속전진하는 수중익에 의한 발생파형 계산결과를 Duncan<SUP>3)</SUP>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대체로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전진하며 상하동요하는 수중익에 의한 발생파형과 양력, 후류 보오텍스 둥을 시간영역에서 시뮬레이션하여 본 방법이 수중익주위 자유표면 유동의 다양한 문제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임을 보였다.
        4,000원
        17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ve been growing disputes between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over jurisdictional rights or property rights of ocean resources in Korean coastal waters. The reasons for the disputes come mainly from the increasing interests by local governments that begin to see the oceans as the source of resources and wealth. The maritime dispute is more complicated and sticky than the inland ones, and requires not only socio-economical but political approach, therefore sometimes demanding a plenty of time and endeavor. Also coastal states that have suffered from maritime boundary problems have different issues under the different environment and historical background. For Korea, as the maritime boundary issue has very recently soared to the surface, though it was latent for the period as long as 20 years, we have just taken steps toward an institutional approach on it, seemingly more to go to reach an agreeable resolutions to the disputes. This paper highlight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maritime boundary on the sea surrounding Korean peninsular after addres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oundary disputes. It will help explore and assess the possible solutions to the boundary conflicts over the lateral boundary between local governments.
        4,000원
        171.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elliptical latticed domes under conservative loading conditions. The latticed domes are usually designed in geometrically spherical shape. For this type of latticed domes, many researchers have researched and even the simplified estimation codes for the buckling load level have been available. However, geometrically elliptical latticed domes have been often constructed, and show different buckling characteristics following with geometrical parameters as rise-to-span ratio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buck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liptical latticed domes. In this paper, to find out som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elliptical latticed domes, height, boundary configuration and gap are used as the shape coefficients. For each model with different parameters, the eigen values and the buckling loads are evaluated.
        4,000원
        174.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방법(multi-step method)을 사용하여, 지진시 지반과 지하구조물 경계가 가장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일 수 있는 지반 공진시에 대하여 지하구조물 축방향 동지반강성계수와 미끄러지기 쉬운 조건들을 구하였다. 상재하중에 의한 지반과 지하구조물 경계에서의 전단저항력과 지진시 발생되는 미끄러짐 부분의 전단력을 비교함으로써 미끄러짐 조건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매개변수 해석을 통하여 지하구조물의 크기와 위치, 지반조건, 표층지반의 형상 및 경계마찰계수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쉬운 조건을 구하였다.
        4,000원
        178.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리콘(PDM)막을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질소 혼합물의 증기투과시 공급부 경계층에서 발생하는 VOCs의 농도분극 현상을 정량적인 평가를 위하여 저항직렬연결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수학적인 모델식을 확립하였다. feed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여러 VOCs 혼합물에 대한 증기투과를 시행하였는데 본 연구에 사용한 VOCs는 염소화 탄화수소계 중에서 응축도가 다른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1,2-dichloroethane, 1,1,2-trichloroethane 등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확립한 모델식에 각 혼합물의 투과 실험치들의 frtting 및 regression을 통하여 각 모델 파라메타들을 구하고 물질전달계수 및 농도분극탄성률 등을 결정하였다. 결정한 모델 파라메타를 분석한 결과 VOCs의 응축도가 클수록 경계층 저항이 현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모델링을 통해서 고 투과성 고 선택성막을 통한 증기투과에서 경계층저항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80.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연한 액체 저장탱크 내 유체의 부가질량 및 슬러싱 강성행렬을 도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점성, 비압축성 이상유체를 표면 출렁임을 고려하여 경계요소법에 의하여 모델링하였다. 유체의 표면과 저장탱크 벽체의 접촉면과 같은 불연속 경계를 다루기 위해 특별한 과정을 도입하였다. 원통형 액체저장탱크의 지진응답해석에 적용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