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56

        16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설향’ 딸기에서 정식날짜와 정식전 단근처리 및 정식후 굴취처리가 생육, 출뢰율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0~70일 묘령의 모종을 9월 7 일, 9월 14일, 9월 21일 정식하였고 단근처리는 전체 뿌리의 25%, 50%를 각각 잘라내어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굴취처리는 9월 7일 정식한 묘를 10일후 굴취한 다음 재정식한 것과 20일후 굴취하여 재정식한 것을 비교하였다. 정식일이 늦을수록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정화방과 액화방 출뢰는 다소 앞당겨지는 경향이었다. 단근처리와 굴취처리는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25% 보다 50% 처리구에서 더욱 확연하게 보였다. 단근처리시 정화방과 액화방 출뢰일은 무처리에 비해 늦추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정식 20일후 굴취처리에서 액화방 분화를 약 7일 정도 앞당길 수 있었으나 수확량은 무처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액화방의 분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강한 근권부 스트레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나 수량과 생육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재배시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4,000원
        16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 등숙으로 인해 미질 저하가 큰 벼 조기재배 실시에 적합한 재배법 개선을 위하여 품 질향상을 위한 재식방법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식거리 30×14cm 이앙구에서는 포기당 재식 본수가 3, 5, 7로 증가할수록 초장은 감소하고, 경수는 증가하였으나, 재식거리 30×18cm 이앙구에서 는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 및 경수가 증가하였다. 재식거리 및 재식본수에 따라 간장 및 수장 의 차이는 적었으나, 재식본수가 적을수록 수수는 적었고 입수가 증가하였으며,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수수 및 입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앙구 간 쌀 수량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완전미 수량에서는 재식거리 30×18cm 이앙구에서 싸라기 및 분상질립 비율이 낮아 완전미의 비율이 높은 경 향이었고, 3본 이앙시 403kg/10a로 완전미 수량이 가장 높았다. 재식거리 30×18cm 이앙구에서는 단 백질 함량이 감소하고, 취반미윤기치 값이 증가하여 식미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 합해보면, 벼 조기재배에서는 재식밀도가 낮은 넓은 재식거리(30×18cm)에 개체수가 적은 3본으로 이 앙하는 방법이 조기재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3.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between sudangrass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under the same cultivation condition in Cheonan and Kimje of Korea from 2010 to 2011. Sudangrass hybrids(Choice, Sunstar and Piper) and sorghum-sudangrass hybrids(SX-17, Jumbo and Revolution) were planted 5th May in Cheonan and 7th May in Kimje. Heading date of sudangrass hybrids was 12th July which was about 2 week fast more than that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Stem diameter of sudangrass hybrids was about 6mm which was about 5 mm smaller than that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Disease resistance of sudangrass hybrid, “Choice” was similar to that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Dry matter yield of “Choice” was 15ton/ha which was 10% less than that for sorghum-sudangrass hybrids(SX-17). Feed value of “Choice” was similar or slightly lower than that of sorghum-sudangrass. For increasing the productivity in forage cropping systems all around year, sudangrass hybrid is recommended for prolong by the middle ten day of May in the harvesting time of italian ryegrass
        4,000원
        16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model showing high-levels of interpretability which is high in R-squared value in terms of predicting the yield in the mixed pasture using the factors of fertilization, seeding rate and years after pasture establishment in steps, as well as the climate as a basic factor. The processes of constructing the yield prediction model for the mixed pasture were performed in the sequence of data collection (forage and climatic data), preparation, analysis, and model construction. Through this process, six models were constructed after considering climatic variables, fertilization management, seeding rates, and periods after pasture establishment years in steps, thereafter the optimum model was selected through considering the coincidence of the models to the forage production theories. As a result, Model VI (R squared = 53.8%) including climatic variables, fertilization amount, seeding rates, and periods after pasture establishment was considered as the optimum yield prediction model for mixed pastures in South Korea. The interpretabi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were decreased in the sequence of climatic variables(24.5%), fertilization amount(17.8%), seeding rates(10.7%), and periods after pasture establishment(0.8%).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asons of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ry matter yield and days of summer depression (DSD) by considering cultivated locations and using other cumulative temperature related variables instead of DSD. Meanwhile the another research about the optimum levels of fertilization amounts and seeding rates is required using the quadratic term due to the certain value-centered distribution of these two variables
        4,300원
        16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율이 여름 파프리카의 생육 및 착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비순환식 수경재배를 대조구로 하여 폐양액의 혼합비율을 0, 20, 30, 50%로 처리하여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25주간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경경은 생육 초기인 1, 2그룹시에는 시험구간 차이를 보였지만 3그룹이상 진전될수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면적은 배액 혼합율이 많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 마디수는 50% 재사용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1.4마디 적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확 마디수는 대조구가 11.1마디, 50% 재사용 시험구가 8.7 마디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배액을 재사용 할수록 수확마디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율 역시 수확마디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대조구가 33.2%로 가장 높았고 50% 재사용 시험구가 27.6%로 가장 낮았다. 상대적 생산량은 1그룹에서 대조구를 기준으로 30%, 35%, 45%의 생산량이 감소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2그룹과 4그룹에서도 나타났다. 하지만 3, 5그룹에서는 50% 시험구의 생산량이 13%, 5% 증가하였다. 비상품과의 비 율은 0%, 20%, 30%, 50% 재사용 시험구에서 각각 2%, 4%, 4%, 7%로 재사용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기 생육의 저하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중기생육 이후부터는 무기이온의 불균형이 발생하여도 작물생육이 안정기에 접어들어 재사용으로 인한 생육 및 수량 감소를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has been recognized as a core technology of smart water grid, and the relevant market is growing constant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ll-in-one smart water meter of the AMI system, which was installed on the test-bed to verify both effectiveness and field applicability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Developed 15 mm-diameter smart water meter is a magneto-resistive digital meter, and measures flow rat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conductivity) simultaneously. As a result of the water usage analysis by installing six smart water meters on various purposes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the water usage in shower room showed the highest values as the 1,870 L/day and 26.6 liter per capita day (LPCD). But, the water usage in laboratory was irregular, depending on the many variables. From the analysis of the water usage based on day of the week, the water usage on Monday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ended to decrease toward the weekend. According to the PCA results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pproaches, the shower room (Group 3) and 2 floor man’s restroom sink (Group 1-3) have been classified as a separate group, and the oth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water use and water quality aspects. From the analysis of water usage measured in this study, the leak or water quality accident did not occur. Consequently, all-in-one smart water meter developed in this study can measur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conductivity) simultaneously with effective field applicability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4,000원
        16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development new variety ‘Miho’ (Hordeum vulgare L.) is a favorite with livestock feed and develop varieties resistant to disease and lodging. ‘Miho’ was carrying out the growth habit of group Ⅲ with green and mid-wide leaf. Awn that is related to preference of livestock is a semi-smooth awn. This cultivar had 96 cm of culm length, 650 of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Miho’ was April 27, and maturing date on May 30, which were later than cultivar ‘Youngyang’. It also showed strong winter hardiness, and similar resistance to shattering and bariy yellow mosaic virus (BaYMV) compared with those of check one. The best thing among the traits of a good quality with the plant green at the latter growing period.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3.1, 12.1 MT per ha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9%, 2%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s also showed 6.8% crude protein, 27.1%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67.5%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whose average minimum temperature was above -8℃ January in Korean peninsula.
        4,000원
        16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의 개선에 의한 작물 재배효과를 검증하고자 농가현장에서 개선 지붕 환기방식과 관행 환기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선 지붕 환기방식은 참외재배 단동 플라스틱 온실(폭 5.6m, 길이 108m, 측고 1.1m, 동고 2.2m)에 지붕 환기팬(용량 38m3/min)과 환기 통(지름 60cm)을 각각 15m와 6m 간격으로 설치하였고, 대조구로서 관행 지붕 환기방식은 각각 20m와 8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관행 및 개선 지붕 환기 방식에 따른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과 환기팬 처리에 비해 개선 환기통과 개선 환기팬 처리에서 경경, 엽장, 엽병장, 및 엽폭의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기 전반부에 관행 환기통 처리는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절간장이 다소 길게 발달하였는데 이는 착과수가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적었고, 착과수 감소로 인해 동화산물이 잎과 줄기의 신장부로 좀 더 이동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참외재배 단동 비닐하우스에서 과실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처리는 관행처리에 비해 과중은 약간 작았지만, 착과수 증가로 인해 전체 수량은 높게 나타났다.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설치 하우스에서는 관행 지붕 환기 하우스에 비해 상품과율이 높았 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각각 8,391kg, 7,283kg 으로 나타나 관행 지붕 환기에 비해 개선 환기팬 처리는 661kg, 개선 환기통 처리는 487kg 더 증가하였다. 개선 환기팬 처리는 고온기에 암꽃수와 착과수가 가장 많았고, 낙과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관행의 환기통 처리에 비해 과실의 크기는 작았다. 시기별 환기방식에 따른 참외 과실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 환기에서 과중, 과경, 과폭, 및 과육두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과폭, 과육두께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16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시설재배에 이용되는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전정방법 도출을 위해 동계 및 하계전정이 수량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전정처리는 무전정, 동계전정(2월 4일), 동계전정+하계전정(8월 5일)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과실은 총 6회에 걸쳐 수확하였고, 수확시의 수량, 수확시기별 과실의 과중 변화와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비상품 과실의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5년생 ‘Misty’에 있어 전정 처리에 의한 과실 수량의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정 처리의 수확시기별 수확량에 있어 무전정 처리의 경우 2번째 수확기부터 마지막 수확기까지 수확량이 일정한 반면, 전정처리 나무의 경우 수확 전반기에 보다 많은 수확량을 보여 전정으로 인해 큰 과실을 보다 많이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총 당, 총 안토시아닌, 총 페놀 함량의 변화는 처리 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비상품과 발생량의 경우 무전정 처리구에서 전체 수확량의 57%인데 반해 동계전정 처리구와 하계전정을 겸용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26%, 31%로 낮게 조사되었다.
        4,000원
        17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뿌리부추를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할 경우 여름철 고온기 하고현상(Summer depres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하우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하여 차광정도를 달리하면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하우스 내부에 무차광, 35, 55, 75, 95% 차광막을 설치하여 정식 후 20일 째 되는 날에 최종 출현 정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 35 및 75% 차광에서 98% 출현하였고, 55 및 95% 차광에서 100% 출현하였다. 차광 정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처리에서 최종 출현은 양호하였다. 하우스 내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했을 경우, 2년간 평균 생중량(Fresh weight) 은 75% 차광에서 6,323kg/10a으로, 무차광, 35%, 55%, 95% 차광보다 각각 5.0배, 1.8배, 1.1배, 1.7배 높았다. 하우스 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할 경우 생중량은 75% 차 광에서 684g으로, 55%, 95% 차광보다 1.1배, 1.8배 높았다. 건중량(Dry weight), 건물율(Percentage of dry matter), 엽수(No. of leaves), 분얼수(No. of branches), 초장(Plant height), 근장(Root length) 등 분석결과 75% 차광이 다른 차광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거나 절대적 수치가 높게 측정되어 중부지역에서 뿌리부추를 재배 할 경우에는 75% 차광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4,000원
        17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f rice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Kowinearly’ after seeding them in paddy field.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Choongcheongnam-do province of Korea) for four years (2011~2014). Italian ryegrass variety ‘Kowinearly’ was seeded at experimental paddy fields before rice harvest in late September. Rice were harvested at 10, 20, and 30 days after seeding of IRG. As the harvest time of rice became later, the number of tillering before winter was reduced and IRG plant length before winter was shorter. The dry matter yield of IRG was also reduced. When rice were harvested at 20 days and 30 days after sowing of IRG compared to the rice harvested in autumn at 10 days after sowing of IRG, the number of tillering for IRG before winter was decreased by an average of 19% and 40%, respectively. The winter survival ratio of IRG was decreased by an average of 13% and 19%, respectively. Their dry matter yields were also reduced by an average of 8% and 19%, respectively. The heading dat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ree years. The plant length at the time of IRG harvest in the spr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when Italian ryegrass is grown in paddy fields by the method of ‘seeding of IRG before rice harvest’, rice should be harvested as soon as possible after sowing of IRG ‘Kowinearly’ in the autumn to increase forage productivity.
        4,000원
        17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 엽수 관리는 딸기 재배 농가마다 상이한데 촉성 작형으로 ‘설향’을 토경 재배할 때 동절기 엽수 조절이 딸기 수량 및 과실 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2작기 (2013-2014년 및 2014-2015년)에 걸쳐 검토하였다. 12월 상순에서 2월 하순 사이에 엽수를 성엽을 기준으로 6매 및 9매를 남기고 주기적으로 적엽하거나 노화되어 황화된 엽만 제거한 무적엽 처리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2014-2015년 작기에서 엽수를 6매 및 9매를 남기고 적엽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무적엽 처리구에서 2월 하순까지의 조기 상품과 수량 및 상품과 총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동절기 엽수 조절에 따라 1-3월 사이에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적엽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확 전기간 평균 12oBrix 내외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부족한 일조량과 단일 조건으로 충분한 동화산물의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노화엽과 이병엽을 제외하고 최소한으로 적엽하여 관리하는 것이 딸기 과실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판단된다.
        4,000원
        17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cultivars for three years (2011~2013). The cold-resistance of domestic cultivars was stronger than other foreign varieties. Among early-maturing cultivars, dry matter (DM) yield of ‘Kowinearly’ was significantly higher (8,751 kg/ha) than other cultivars (p<0.05). In medium-maturing cultivars, DM yield of ‘Kowinmaster’ and ‘Tam 90’ was 9,394 and 7,461 kg/ha, respectively. Of the two, the former’s DM yield was higher than the latter’s (p<0.05). Among late-maturing cultivars, DM yield of ‘Hwasan 104’ (9,809 kg/ha) was similar to ‘Hwasan 101’ (9,354 kg/ha),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late-maturing cultivars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sent study, early-maturing cultivars with cold-tolerance and high productivity is required for the paddy field cultivation of an Italian ryegrass cultivar after rice harvest in Cheonan region. Medium- and late-maturing cultivars are more advantageous for the dry field cultivation of the maximum quantity that is possible. In conclusion, to select which cultivar/s to grow, the climate of the growing area, weather conditions, and the cropping system must all be considered
        4,000원
        17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rbon budget on 40 years old pear orchard at Naju. For carbon budget assessment, we measured the soil respiration, net ecosystem productivity of herbs, pear biomass and net ecosystem exchange. In 2015, pear orchard released about 25.6 ton CO2 ha-1 by soil respiration. And 27.9 ton CO2 ha-1 was sequestrated by biomass growth. Also about 12.6 ton CO2 ha-1 was stored at pruning branches and about 5.2 ton CO2 ha-1 for photosynthesis of herbs. As a result, 25.6 ton of CO2 per ha is annually released to atmosphere. At the same time about 45.7 ton of CO2 was sequestrated from atmosphere. When it sum up the amount of CO2 release and sequestration, approximately 20.1 ton CO2 ha-1 was sequestrated by pear orchard in 2015, and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net ecosystem exchanges (17.8 ton CO2 ha-1 yr-1) by eddy covariance method with the same period. Continuous research using various techniques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CO2 dynamics in agroecosystem and it can be able to present a new methodology for assessment of carbon budget in woody crop field. Fu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be recognized as a carbon sink.
        4,000원
        17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 내에서 RBW LED(red:blue:white = 2:1:1)의 광주기와 광도가 흰민들레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완전 인공 광형 식물공장에서 각각 광주기 3수준과 광도 4수준으로 설정하였고, 분무수경으로 광주기 실험은 270일, 광도 실험은 120일 동안 재배하였다. 광주기별 전 재배기간 동안 8회 수확한 1주당 수확 총엽수는 16/8시간 처리구에서 주 당 224매로 12/12시간 처리구의 220매와 비슷하게 많았고 8/16시간 처리구에서 151매로 가장 적어 대체로 명기가 길수록 수확엽수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16/8h 처리구에서 125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12h 처리구 91g, 8/16h 처리구 56g 순이었다. 광도별 전 재배기간 동안 총 4회 수확한 엽수는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123매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7매인 200μmol·m-2·s-1 처리구와 95매인 100μmol·m-2·s-1 처리구 이었고, 50μmol·m-2·s-1 처리구에서 56매로 가장 적었다. 1주당 지상부 총 생체중은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43.6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0μmol·m-2·s-1과 200μmol·m-2·s-1 처리구로써 각각 34.6g과 32.2g이었으며 50μmol·m-2·s-1 처리구에서 18.2g으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흰민들레 최적 생장을 위한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의 RBW LED(red:blue:white = 2:1:1) 조명의 광 조건은 광주기 16/8h, 광도 150μmol·m-2·s-1이었다.
        4,000원
        17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the limited and adaptable sowing date and select the double cropping system, two different cropping systems such as potato (Sumi, Chubaek) - maize (Ilmichal, Yanganok) and maize (Ilmichal, Yanganok) - potato (Chubaek) were conducted in paddy and upland field condition. We observed and compare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potential, and income at two different cropping systems. Average yield of potato (first crop, Sumi) in paddy field was higher than upland field when planted at March 20. The plant height and stem length of the second cropping potato sown at August 20 were 30 cm higher than first cropping potato sown at March 20, which is reduced about 1,500 ~ 2000 kg/ 10a of the second cropping potato yield. Stem length and the first ear height of the first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April 15 in paddy field were 5~10 cm higher than upland field and ear property was similar. Silking date of the second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July 3 were about 19 day earlier than the first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April 15, However, both stem length and the first ear height of the second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July 3 were small compared to those of sown at April 15. Ear property of Yanganok sown at June 19 and July 3 were similar in both paddy and upland field. Fresh weight yield (aerial part, kg/10a) of Yanganok sown at June 19 were 500 ~ 700 kg/10a higher than those of sown at July 3. In view of income comparison between two different cropping systems, Chubaek-Ilmichal and Chubaek-Yanganok cropping systems were best combination, Ilmichal-Chubaek and sumi- Yanganok cropping systems were worst combination in upland field. Chubaek-Ilmichal and Chubaek- Yanganok cropping systems were best combination, Ilmichal-Chubaek cropping systems was worst combination in paddy field.
        4,000원
        177.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맛버섯은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닐버섯속의 일종으로 나도팽나무버섯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는 나 메꼬로 불린다. 갓에 무틴이라는 점액이 다량함유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톱밥재배시 배양기간이 60일 정 도 소요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배양기간단축을 위한 온도처리를 실시하였다. 시험은 병재배와 봉지재 배로 참나무톱밥 80%에 밀기울 20%를 첨가한 톱밥배지를 사용하였고 종균 접종 후 20℃에서 50일간 배양한 후 7일동안 온도처리하였다. 온도는 5℃ 간격으로 5~20℃사이에 4수준으로 처리하였고 이때 각 처리마다 균 긁기를 한것과 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품종은 황옥, 금관, 금작 3종으로 국내육성 품종 이다. 시험결과 황옥은 5℃처리에서 초발이기간이 13일로 5일 더 빨랐고 균긁기 여부에 따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발이상태는 5℃와 10℃ 모든처리구에서 균일하게 발이되었으나 15℃와 20℃에서는 균긁기를 하지 않은 처리에서 발이상태가 불균일하였다. ‘금관’에서는 균긁기를 하였을 때 초발이가 14일로 4일정도 빨랐고 온도수준별로 차이는 없는 경향이었다. 다만 처리구 공히 균긁기를 하였을 때 발이상태가 균일하였다. 품종 ‘금작’은 3개 품종가운데 초발이기간이 18~21일로 가장 긴 품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균긁기를 한 경우가 약 3 일 정도 빨리 발이되는 경향이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재배시 황옥 234g, 금관 242g, 금작 178g이었으며 봉지 재배(0.9㎏)에서는 349g, 343g, 243g이었으며 균긁기 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178.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developed a DH-PROTO equipment to measure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n this paper, using an accredited certification HI-330 and developed DH-PROTO to measure the Unit-Water Content, i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stability. In experimental results by using a capacitive equipment DH-PROTO and HI-330, Estimation error of DH-PROTO and HI-330 according to the type of binder is -4.4 to 2.0%, -7.4 to 4.0%, measuring equipment for Unit-Water Content in concrete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reliability assessment measures. Also, the estimation error according to the type of fine aggregate was appeared to 3.4~10.4 % and 2.8~9.1%, was determined that excellent performance and accuracy levels with it. Thus, it expected to be released as a commercial product through further studies.
        4,000원
        17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nt nutri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increase plant production. Thu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PK (three main macro elements of fertilizer) and their interactions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ontents of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Results exhibited that application of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different vegetative growth characteristics of C. lanceolata compared to the non fertilizer control. Plant height showed significant results towards all fertilization group compared to non fertilizer group, and the highest value (266.8 cm) for plant height was observed from the N+P+K group. The growth of internode was converted to vine after node 5, no fertilizer effects were found on internode elongation. Chlorophyll content showed a high amount in the range of 42.8 to 46.6 against all fertilization treatment groups, except P+K group. The highest values (57.0 g) for the fresh weight of roots were obtained from the N+P+K groups compared to non fertilizer group. The mineral nutrient content of Na, Mg, Cu and Al of the roots of C. lanceolata showed the lowest amount from in P+K groups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ddition, P from N+K group, Mn from N+P group and Ca, Fe, Zn from N+P+K group also exhibited the lowest mineral content compared to other groups respectively.
        4,000원
        18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elect appropriate Korean varieties in Myanmar, a serial experiments using rice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were conducted for 2 years, 2014 and 2015. Among the yield components, panicle number per hill of Shwe Thwe Yin, Myanmar variety, was 14, 19, 17 for 2014 dry season, 2014 wet season and 2015 dry season, respectively, which are 6, 1.3 and 5 panicles more than that of Korean varieties. The grain number per panicle, the ripened grain rate, 1,000 grain weight and yield of Korean rice varieties higher than that of Shwe Thwe Yin, Myanmar variety, at 2014 dry season and wet season. However, grain numbers per panicle, ripened grain rate of Shwe Thwe Yin were similar to that of Korean varieties, the yield of Myanmar variety was higher than yield of Korean varieties, at 2015 dry season. And to study the wide area adoptability, korean rice varieties and Shwe Thwe Yin were tested for 2 years, 2014, 2015 and 3 regions, the yield of Hanareum, Hangangchal 1 and Dasan 2 were higher than the yield of Shwe Thwe Yin and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se korean varieties lower than that of Shwe Thwe Yin at 2014 wet season. Dasan 2 and Hangangchal 1 were selected as promising rice varieties in Myanma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