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7

        16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찰쌀보리와 M98의 종실에 함유된 아미노산 조성 및 단백질 profile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M98의 고-Lysine 및 함몰배유 형질에 관련된 생화학적 정보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쌀보리와 M98 종실의 총 16개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lysine을 비롯하여 총 6개 아미노산의 조성비가 M98에서 찰쌀보리에 비해 1.2~1.8배 높았다. Proline과 그것의 전구물질인 glutamic acid의 조성비는 M98에서 찰쌀보리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낮았는데, glutamic acid를 전구물질로 하여 합성되는 arginine의 조성비는 M98에서 찰쌀보리보다 1.8배 높았다. 2. 찰쌀보리와 M98간의 종실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한 결과, 총 70개 단백질 spot에서 발현양상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찰쌀보리에 비해 M98에서 발현양이 높은 단백질 spot은 44개였으며, 발현양이 낮은 단백질 spot은 18개였다. 나머지 8개 단백질 spot에서 7개의 발현은 찰쌀보리에서만 확인되었고, 1개의 발현은 M98에서만 확인되었다. 3. 찰쌀보리와 M98의 종실에서 발현양상 차이를 나타낸 총 53개의 단백질 spot을 선택하여 nESI-LC-MS/MS 방식으로 동정하였으며, 대부분의 단백질 spot은 종실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이었다. 특히, 28개 단백질 spot은 M98의 함몰배유 및 고-Lysine 형질과 연관된 단백질이었다. 4. 본 연구에서 밝혀진 M98 종실의 아미노산 조성 및 단백질 발현특성 정보는 향후 M98 유래 계통을 이용한 유전학적 검토 등을 통하여 고-Lysine 형질 연관 바이오마커 및 보리 신품종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62.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는 정상 피부 내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친수성 성분을 총칭하는 말로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을 증가시키며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의 유연성과 가수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NMF는 주로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대사산물로 구성되며 이들은 필라그린(filaggrin)이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각질층의 22종의 개별 아미노산의 함량분석을 통하여 피부보습능과 개개의 아미노산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15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의 전박과 이마로부터 tape stripping한 각질 시료 중 22종의 아미노산 함량을 UPLC-PDA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질 표면보다는 안쪽에서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 부위별 비교에서 전박이 이마에 비해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정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전박부위의 아미노산 총 함량과 보습능(TEWL)과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서는 보습능이 클수록 총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Ser, Glu, Gly, Ala 및 Thr은 각질 내 존재하는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보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NMF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질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각질층의 아미노산의 통합적인 분석법은 보습, 노화, 미백, 피부 염증질환 등 다양한 피부 상태와 아미노산류들의 변화와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피부 기능과 관련된 새로운 분자적 타겟을 발굴하고 증명하는데 기초적인 방법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6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흑깨'는 2006년에 국립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에서 육성한 품종으로 내병성은 약하지만 다수성 품종인 '유성깨'에 내병성이 강하면서 다수성인 '수원131호'를 교배한 후대에 고품질 다수성인 '경북1호'를 1994년에 3원교잡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표준품종에 비하여 수량성이 높고 총아미노산 함량이 많으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한 고품질 품종이다. 경장은 125 cm이고, 주당 삭수는 77개이다. 1,000립중은 2.57 g이고 기름함량은 표준품종보다 약 4
        164.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아미노산의 혐기성 분해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아미노산 별로 혐기성 분해를 평가하였다. 아미노산의 개별 평가를 위해, 두 종류 아미노산간의 공동대사 반응인 stickland reaction은 제한시켰고, 혐기성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COD, T-N, NH4+-N, Biogas, CH4 등의 변화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에 의해 생성되는 암모니아성질소를 통해 아미노산 분해율을 판단하였고, 이를 위해 각 아미노산의 질소농도를 1,000mg/L로 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알라닌, 시스테인, 리신, 류신, 메티오닌, 아르기닌, 글리신, 히스티딘의 항목 중 시스테인, 류신, 메티오닌은 탈아미노화가 61.55%, 54.59%, 46.61% 밖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의 경우, 탈아미노화에 기인된 유기물질의 혐기성분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3종류 아미노산이 폐수에 높게 함유되어 stickland reaction이 완벽하게 충족되지 않는 조건이라면, 이 아미노산들은 혐기성 소화 공정의 처리효율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16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이아미'는 필수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이 우수한 신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8년 하계에 EMS를 처리한 진미벼에 5-methyltryptophan (5MT)을 처리하여 단백질 내성 후대 계통을 육성하고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다수성인 계화벼를 인공교배하여 SR24568을 부여하였다. 1999년 F1 18개체를 양성하여 꽃가루 배양을 실시하여 2001년 AC1 75개체를 육성하였다. AC2 세대부터 계통 선발법에 의해 주요 병해충 및 미질검정을
        16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applying levels of Bestamin, animal amino acid, on growth and quality of hot pepper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Treatment was given with 200, 400, 800, 1600㎏ per 10a to control of Bestamin, differenc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s lower than Bestamin, and P₂O₅ seems to be reduced, also K⁺, Ca⁺⁺ were obviously low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ntent of NO₃-N was low compared to control at the Bestamin treated plot. Plant height was longest at 800 treatment and main stem length, main stem weigh and the number of leav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400 and 800 treatment.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fruit weight, length, diameter in first harvest, bu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control of 2nd, 3rd harvest and more increased than 400 and 800 treatment. Fruit weight per plant was the heaviest at 400 and 800 treatment, and the number of fruit was no difference at red pepper but increased with 400 and 800 at green pepper, and yield per l0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4503.6㎏ and 4582.5㎏, respectively. Nitrogen in mesophyll accumulation content was obviously reduced at Bestamin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and amino acid was reduced with control.
        167.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치발효에 의한 국산 및 일본산 현미식초의 품질비교를 실시하였다. 국내산 현미식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glutamic acid와 phenylalanine인 반면, 일본산 현미식초는 proline, valine, phenylalanine, lysine, -aminobutyric acid, alanine과 isoleucine이었다. -aminobutyric acid (GABA)와 총아미노산 함량(3686.37~4212.2
        16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와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넙치의 핵산 관련 물질 및 유리아미노산 측정을 통한 품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넙치 등근육의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실험사료구에서 공통적으로 AMP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공급한 사료에 따라서 HxR의 성분에는 유의적인 차이(p
        169.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ic data on the alpine leek (Allium victorialis) for the expand of consumption and the production of its manufactured goods. Amino acid content in alpine leek leave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Seventeen component amino acids and 38 free amino acids from alpine leek leaves were analyzed, and the total contents were 2,693.28 mg/100g for component amino acids and 535.39 mg/100g for free amino acids. Total phenolic compounds in the leaves of alpine leek showed the highest level from the methanol extract (37.7 mg/l), and followed by ethanol extract (31.9 mg/l) and hot water extract (25.4 mg/l). Total flavonoid contents in 1,000 mg/l extract was the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22.2 mg/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0 mg/l extract was high in the order of ethanol extract (51.6%), methanol extract (47.3%) and hot water extract (37.2%).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thanol extract from Allium victorialis leaves was the highest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9.5%). Hyperplasia suppression of lung cancer cells (Calu-6) and gastric cancer cells (SNU-601) by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bulb of alpine leek were 99.9% in the extracting concentration of over 200 mg/l.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the 3 different solv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was observed, and the inhibition zones against the gram-positive and negative microorganisms were ranged from 8.23 to 10.15 mm. It was concluded that physiological activities in a human body could be improved by the intake of alpine leek as a pharmaceutical material, and that it would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risk such as lung and gastric cancers.
        170.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M and SAF appication on contents change of fatty acids and organic acid of perilla(Perilla Frutescens Britton). Contenst of squalene in perilla leaves on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3.39 mg and 4.22 mg, respectively. Therefore the squalene quantity of KEM/SAF treated leaves was 24.2% more than that of control. A total 6 fatty acids in perilla leav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Percentage of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leaves were 20 and 80%, respectively. Contents of phytosterols in perilla leaf such as campesterol and sitosterol were 2.0 and 20.0 mg, respectively. Therefore sitosterol content was 10 fold more than that of campesterol. The KEM/SAF application on perilla leaf was effective on the change of squalene or phytosterol contents. However effect of that was negligible on the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17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Korean effective microorganism(KEM) and seafood amino acid fertilizer(SAF) application on apple on functional substances of fruit. Vitamin C in fruit of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29.3 and, 39.8 ㎎, respectively. Also 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those treatments measured with DPPH method were 40.6 and 54.1%, respectively. Vitamin E contents of those treatments were 2.51 and 2.50 ㎎, respectively. Sitosterol, a phytosterol, contents of those treatments were 4.79 and 5.41 ㎎, respectively. Proportion of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the fruit of control were 36.1, 15.3 and 17.8%, respectively. Those of the fruit of KEM/SAF treated were 45.9, 13.2 and 18.8%, respectively. Malic acid contents of control and KEM/SAF treated fruits were 53.7 and 43.8%, respectively.
        172.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산 나물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백태)의 재배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재배기간에 따른 시료 콩나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1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나 재배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증가하였다. 재배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 별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0일차 원료콩의 전체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이 3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쥐
        173.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일반성분을 비롯한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비교 분석하여 전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을 육과 내장으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육의 경우 자연산 말전복이 양식산 참전복에 비해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내장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자연산 말전복에 비해 양식산 참전복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조지질 함량은 자연산말전복과 양식산 참
        174.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퉁퉁마디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자료로 전남지역(해남 황산면, 신안 증도면, 영광 염산면)의 퉁퉁마디를 6월부터 10월까지 채취하여 구성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폴리페놀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지역 퉁퉁마디의 구성아미노산은 6월부터 9월까지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10월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176.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화지정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기원식물인 제비꽃과 한방재료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화지정 꽃의 환원당과 유리당이 각각 10,485.11 mg%와 118.85 mg%로 가장 많았으며, 수용성 단백질과 폴리페놀의 함량도 각각 1,259.26 mg%와 2366.67 mg%로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
        17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ino acid composition in grain of Korean native rice core collections was evaluated to identify the useful genotypes for quality enhancing rice breeding and value-added food development. Large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ntents of 16 amino acids among 388 genotypes tested with 14.9% of the minimum coefficient of variation (CV), and the contents of methionine and histidine showed the highest CV and the second high,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of total amino acid, total essential amino acid, lysine and threonine contents of Korean native rice collections were almost similar with those of cultivating japonica rice, Saechucheong. Among 388 native core collections Baekkokna, Daesona and Saducho were identified as high amino acid germplasm in total amino acid, total essential amino acid, lysine and threonine contents. And Seoksanjo and Sodujo were identified as low amino acid collections. Rice collections showing purple apiculus color tended to distribute in lower serine,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arginine, and total amino acid contents compared with those of yellowish apiculus color collections. The glutinous rice collections showed the tendency of higher contents of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and leucine compared with those of non-glutinous collections.
        17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미노산 자동분석기(amino acid auto analyzer, AAA)를 이용하여 모발의 탈색 및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의한 모발시료의 17가지 아미노산(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ein,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lysine, arginine)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30대 남성 10명의 모발을 채취하였으며 110 ℃ 24 h 동안 6 N 염산 10 mL로 가수분해 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처치별 모발의 아미노산 함량은 정상모발 73.9 %, 퍼머넌트 웨이브 모발 71.5 % 및 탈색모발 69.3 %로 분석되었고, 탈색효과에 의한 아미노산 함량 감소가 퍼머넌트 웨이브 효과에서 보다 크게 분석되었다. 특히 lysine과 tyrosine의 조성은 탈색이나 퍼머넌트 웨이브 모발에서 25 % 가량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serine, cystein, leucine 및 histidine의 함량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179.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아미노산, 유리당 및 환원당 및 비타민 C와 등의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수분, 조회분,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고, 가용성무질소분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성아미노산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다가 다음해인 1월말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유리 아미노
        180.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athers are produced in huge quantities as a waste product at commercial poultry processing plants. Since feathers are almost pure keratin protein, feather wastes represent an alternative to more expensive dietary ingredients for animal feedstuffs. Generally they become feather meal used as animal feed after undergo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These processes require significant energy and als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s. Therefore, biodegradation of feather by microorganisms represents an alternative method to prevent environment conta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pumilus RS7. We also assessed the nutritive value of microbial and alkaline feather hydrolysates. The composition of optimal medium for the keratinolytic protease was fructose 0.05%, yeast extract 0.3%, NaCl 0.05%, K2HPO4 0.03%, KH2PO4 0.04% and MgCl2ㆍ6H2O 0.01%, respectively.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was 30℃ and 9.0, respectively. The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under optimal condition reached a maximum after 18 h of cultivation. Tot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113.8 ㎍/ml and 504.9 ㎍/ml, respectively.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47.2 ㎍/ml and 334.0 ㎍/ml, respectively. Thus, feather hydrolysates have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an ingredient in animal f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