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2

        161.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DIT-K(한국형 알코올 중독 간이선별 검사법)을 이용하여 일상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상당수의 잠재적인 위험 음주자들을 선별 할 수 있었으며 연령, 종교, 결혼여부, 직업, 소득음주사망 가족력, 음주시작 연령, 흡연, BMI(체질량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력, 음주기간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을 더 받은 사람의 남성이 알코올 소비가 더 높다고 한 선행연구와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교육수준 또한 무엇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교육에 따른 알코올 소비도 각각 다른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나이가 적을수록 술을 많이 마시면 음주기간이 길어질 것이고 기존의 음주시작 연령에 대한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 기간이 알코올 사용 장애의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음주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음주 시작연령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국가 정부 제도의 대책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6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미세먼지,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도시열섬 등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도시환경을 쾌적한 자연환경으로 극복하려는 연 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건물과 교목에 의한 일조환경 제약이 큰 도시 조경공간에 적절 한 초본류의 선택이 정원의 다층구조식재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도시 정원공간의 일조환경 예측에 필요한 적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시급하고 정성적 평가와 알고리즘 구현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화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일조환경에 따른 초본류의 생장특성요 소(초장, 마디수, 엽폭, 엽장)을 종합 지표화하고자 한다. 전주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야외온실에 차광율이 각각 50%, 80%인 차 광막을 온실 지붕에 설치하여 일조환경을 음지, 반음지, 양지인 3조건에서 19종의 초본류의 생장특성요소를 2주마다 측정한 다음, 다중 척 도 분석(MCDA, Multi-criteria Desision Analysis)을 통하여 생장지수를 산출하였다. 음지조건에서 꽃범의 꼬리의 생장지수가 0.79로 가 장 높게 나타났고 양지에서는 숙근꽃향유, 매발톱은 각각 0.79, 0.77의 지수로 표현되었다.
        16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스포츠 팀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중, 고등학교 단체종목 선수(축구, 농구, 배구)를 총 63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238명,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검증에 352명의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최종적으로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는 다차원으로 구성된 총 5요인, 25문항으로 개발되었다. 타당성 검증 결과 5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된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가 구조적으로 비교적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타당도, 교차타당도, 수렴타당도 모두 제시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164.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의 타당도를 강화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선수, 생활체육참가자, 남성,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활용가능한지 즉 운동수준과 성별이 상이한 집단에서 SMS-K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척도를 통해 측정된 동기는 크게 무동기, 외적동기, 내적동기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지고 아울러 외적동기는 4가지 요인(외적조절, 내사조절, 확인조절, 통합조절)으로 세분화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외적동기의 위계적 모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의 대학운동선수 199명과 경쟁적인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175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측정동일성분석, 잠재평균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첫째,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가 선수, 일반참가자, 남성, 여성 모두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척도로 검증되었다. 둘째, 운동수준, 성별에 따라 스포츠 참여동기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적조절, 내사조절, 확인조절, 통합조절 요인들이 상위의 개념 ‘외적동기’에 내포되었다. 따라서 ‘외적동기’를 일차원 및 이차원으로 볼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결론: SMS-K의 타당도가 강력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외적동기의 위계적 모형이 검증 되었다.
        165.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since it helps in finding out garden restoration mechanisms and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garden components or design directivity that a user requires. However, PRS shows sub-factors, which differ from domestic studies, or has a problem with reliabili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tudies on new factors considering individual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PRS to be used in garden environments by newly applying Hartig et al.’s PRS (26 components) and RPRS (Revised PRS with 16 components, which is mainly used in Korea and pleasantness that is predicted, based on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garden. The study finding displayed that the traditional PRS (26 components) could explain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better and when pleasantness was additionally applied, the explanatory power of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was extremely high.
        16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p arrangement ranking method (CARM) is a method for a rapid and small-sample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in rice breeding program. This study was compared to four different scale ranges (1~11, 1~9, 1~7 and 1~5)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RM using sixteen Japonica and four Tongil-type cultivars. The wide scale ranges were higher of that than narrow scale range on determination coefficient between standard sensory evaluation method (SSEM) and CARM. However, the wide scale ranges were required more time and efforts than those of the narrow scale ranges for eating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The wide scale ranges of 1~11 and 1~9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ivars in the scale 3 and 4. On the other hand, the narrow scale ranges of 1~7 and 1~5 could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in all scales. We suggest that two scale ranges for CARM were 1~7 (7 classes) in including Tongil type cultivars and 1~5 (5 classes) in Japonica cultivars.
        16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는 학령기 외국 태생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전문성을 양성하는 단 계에 있는 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예비교사의 다문화 역량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 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절차는 국내․외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자료를 통해 예비교사 다문화 역량의 요인 구성과 델파이 조사, 예비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한다. 그리고 준거타당도 검증을 통해 평가항목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한다. 연구결과 다문화 역 량 척도는 다문화 지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교육 기술 3개의 주요인과 각각 4요인(다문화사회 지식, 다문화가정 학생 지식, 다문화교육 지식, 다문화교육효과 지식), 2요인(다문화사회 태도, 다문화교육 태도), 2요인(다문화교육환경 기술, 다문화교육방법 기술)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71문항이 최종 척도 로 확정되었다.
        169.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athletes’ Julsil and to develop the scale of Julsil. Method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thletes’ Julsil,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9 national-level athletes in 10 sports. Preliminary questions for Athletes’ Julsil Scale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inductive contents analysis on the interview transcript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survey of 464 athletes. Results: Using the inductive contents analysis on the in-depth interview, three sub-factors were classified such as expectation of success, self-control, and perseverance and overcoming. Also, results from factor analyses and correlation analysis defined total fifteen items for the Athletes’ Julsil Scale (five items for each factor), and identified internal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170.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rt motivation scale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Methods: 534 athletes and non-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or analyzing data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EFA and CFA supported the 6-factor(internal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non regulation), 24-item Korean version of the sport motivation scale. Internal consistency proven signification. Conclusion: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sport motivation sca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171.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확산된 스마트폰에 대해 청소년들의 중독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4년 6-7월에 충북지역의 청소년 4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8과 AMOS 18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에서 다시 검증과정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32문항을 추출하였으며, 하위영역으로는 불안, 우울, 생활 장애, 지속성의 4요인으로 추출되었다. 하위영역의 구분은 스마트폰 중독의 경향성이 어느 영역이 높은지를 분석함으로써, 활용과정에서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72.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A Quality of Life Surve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on research, based on a working definition of Quality of Life as: a subjective, multidimensional, integrative construct that reflects optimal well-being and positive health(Gill, et al., 201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QoL) Survey and assessed its validity. Methods: We developed the Korean version using established cross-cultural translation and validation techniques, with related QoL and physical activity measures used for validity. The first steps were developing an initial Korean version of the QoL measure through a series of translations and back-translations, and giving both the English and Korean versions to university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who speak both Korean and English(N= 39). Next, to establish reliability and validity, we recruit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N=351)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item analysis with the overall measure and each sub-domain scale, as well as concurrent/construct validity analysis through relationships with conceptually-related measures(WHOQOL-BRE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physical activity to explore construct validity. Results: Correlations between Korean and English(N=39) were .382~.919, Cronbach's α of Korean version is .95, English version is .9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N=351) with 7 sub-factors showed good model fit(RMSEA .06, CFI .91, TLI .90). Cronbach’s α for sub-scales ranged from .65~.92, correlations with WHOQOL-BRIEF from .30~.60(p<.01), correlations with SWLS from .33~.48(p<.01). Conclusion: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QoL survey.
        173.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Studies on craving may be conducted for exercise addiction, which is one part of behavioral addiction, just like many studies that focused on craving for behavioral addiction. H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scale that can measure craving for exercise. Methods: To develop the scale to measure the craving for exercise, 37 preliminary questionnaire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Adult men and women who exercise more than 30 minutes once a week were set as the population. For sampling, survey focused on 300 adults full aged above 19 and below 80 through purposed cluster. The survey was performed two times. Analysis of questions and exploratory factors was performed based on data collected in the 1st survey. Analysis of confirmatory factor sand verification of cross/convergent validity were performed based on data collected in the 2nd survey. Results: First, measurement tools of exercise craving were structured into eight questions on single factors based on analysis of exploratory factors. Second, measurement tools of exercise craving deliver reliability. Third, measurement tools of exercise craving have structural validity based on analysis of confirmatory factors. Fourth, measurement tools of exercise craving verified their convergent/predictive valid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studies on craving in exercise psychology studies, as well, at a time when no studies on exercise craving were conducted and developed an scale with which exercise craving can be measured in a reliable and valid manner. These all serve as new data applicable to future studies on exercise psychology.
        17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시험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험불안과 관련된 선행 연구 및 기존에 개발된 초등학생용 시험불안 검사 도구의 문항,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면담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60개의 초기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초기문항을 8인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29개 문항의 예비검사를 구성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예비검사 과정을 거쳐 17개 문항의 본 검사를 현장에 적용하고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요인 15개 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175.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various reasons that gymnasts quitted gymnastics, prevent them from quitting gymnastics and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the activation of gymnastics. Methods: Open-ended interview questions about ‘Gymnasts’ hard points’ and ‘circumstances which made them to want to quit gymnastics’ were used for two coaches, three active player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above and two players who had already quitted gymnastic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quitting was analyzed for 1,022 male and female gymnas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above, registered on Korea Gymnastic Association in 2013 through experts’ conferences. Results: It was shown that gymnasts mainly quitted gymnastics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risk of injury, authoritative guidance, hard training, unstable future, poor motivation, poor acting abilities (skills) and a lack of studies.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gymnasts from quitting gymnastics: the control of training intensity, a guarantee of the right to learn, player-personalized guidance, the creation of a positive training atmosphere, adequate rest, the understanding of players’ difficulties through on-going counseling and observation, coaches’ efforts to develop players’ potential talents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prevent players from quitting gymnastics.
        176.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ess test for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test. Methods: To develop the test, this study referred to the stress factors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analyzed by Lee, Dong & Lee(2009) and designed a preliminary test with 42 questions of 7 factors. On the basis of the data of 544 students in three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goodness-of-fit of the data, and performed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onfirmed test, it used the data of 82 students in one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Lastly, based on the data of 626 students, it conducted factor invariance test and latent means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test for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had the structure of four factors: athletic stress, conflict with teammates, coach stress, and life stres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st and other tests in terms of convergent validity, the developed test explained construct well. Factor invariance of each background variable was satis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omen had more stress than men in terms of athletic stress and coach stress. The 1st year students had more conflict with teammates than the 2nd year students, and the 3rd year students had high athletic stress, coach stress and life stress.
        177.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sung, which was formed in unique environments including a sports venue, and develop In-sung scale in athletes. Methods: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given to 384 team or individual event athletes who attend high school or have higher education, to explore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mak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open questionnaires.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46 athletes who attend high school or have higher educations. Results: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athletes` In-sung was classified under five factors in competitive situation (Evoke negative emotions in the opponent, Respect for opponent, Consideration for teammates, Trust in leaders/senior members, Referee judgment), and four factors in generic situation (Politeness/ Respect, Loyalty, Social norm, Responsibil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model fit was judged to be good and identified 33 items in 9 factors.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all selected items was tested.
        178.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자아탄력성 개념을 탐색하여 구조화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해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운동선수 8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내용의 유사성에 따라 원자료를 세부영역으로, 다시 세부영역은 일반영역으로 귀납적 범주화하였다. 귀납적 범주화 결과, 운동선수 자아탄력성은 사회적지지, 기대, 동기, 정서, 중재전략, 능력의 총 6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6요인의 세부영역 내용을 토대로 대학선수 110명에게 운동선수 자아 탄력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운동선수 자아탄력성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대학선수 22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운동선수 자아탄력성은 능력, 동기, 사회적지지, 중재전략, 기대의 총 5요인으로 구조화 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5요인의 구조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선수 31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는 최종 5요인 1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측정도구는 강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인정되는 측정도구로 확인되었다.
        179.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손-양손 동작전환에 신체척도 비율이 제어변수로 작용하는지 알아 보고, 그 비율이 Van der Kamp, Savelsbergh & Davis(1998)의 연구에서 밝힌 아동의 신체척도 비율과 비교하여 모든 연령에 적용되는 공통된 지각변수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인, 노인 각 17명씩 총 34명을 대상으로 판지로 만든 크기 3.2cm에서 18.2cm의 정육면체 상자(한 변의 길이가 1cm) 총 16개의 상자를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아 5cm 높이의 장애물을 넘겨 30cm 떨어진 목표 지점으로 옮기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과 노인의 한손-양손 동작전환이 일어나는 시점에서 절대적인 손 크기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손 크기에 대한 물체크기의 비율인 신체척도 비율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인과 노인의 신체척도 비율을 이전의 Van der Kamp 등(1998)의 연구에서 밝힌 아동의 신체척도 비율과 간접 비교해 본 결과 비율의 크기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과 노인에서 제어변수의 증거인 Sudden jump, Enhanced variance가 나타났으나, Hysteresis는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성인과 노인의 신체척도 비율은 Sudden jump와 Enhanced variance의 결과를 통해 한손-양손 잡기 동작 전환에 제어변수로 작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 연령대에 걸친 공통된 지각변수로 보기에는 어렵다고 보여진다.
        180.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편의 순차적 연구를 통해 대학교 체육수업과 생활체육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척도가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연구모형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은 심리욕구만족 척도의 3요인 구조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타당화 검증단계로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1곳의 대학교에서 체육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이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검사-재검사 표본으로 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외적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또한 시간 차이에 따른 도구의 안정성도 확보하였다. 연구 2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된 심리욕구만족 척도가 다양한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이론적 가설들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인, 대인, 단체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자율성 지지와 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욕구만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심리욕 구만족은 부모와 친구의 자율성 지지와 동기유형간에 적절히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3은 연구 1과 2의 대학생 표본과는 달리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성인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자율성지지, 심리욕구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욕구만족은 동기와 심리적 웰빙 구인에 정(+)의 직접영향뿐만 아니라 자율성 지지를 경유하여 동기와 심리적 웰빙에 의미 있는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