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

        16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eat pipe heat sink which is possible to frozen start up at the lower than -20℃ by using a VCHP was designed, manufactured and tested. The VCHP uses water and nitrogen gas as the working fluid and non-condensable ga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VCHP heat sink started up successfully at the range of -20 to -30℃ of the ambient temperature and 1000 to 2600W of the heat flow rat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VCHP heat sink decreased as increased the heat flow rat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since the active zone of VCHP increased.
        4,000원
        16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und source heat pumps are clean, energy-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systems. Although the initial cost of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is higher than that of air source heat pump, it is now widely accepted as an economical system since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turned within an short period of time due to its high efficiency. In the present study, performances of ground source compound hybrid heat pump system applied to a resort building are simulated. The system design and operation process appropriate for the surrounding circumstance guarantee the high benefit of the heat pump system applied to a resort building. If among several renewable energy sources, ground, river, sea, waste water source are chosen as available alternative energies are combined, COP of the system can be increased largely and hybrid heat pump system can reduced the fuel cost.
        4,000원
        16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집 농산물의 세척, 선별, 포장 작업 등이 이루어지는 APC 작업장은 하절기에 작업자들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므로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냉방공조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전체 냉방 공조방식은 과도한 유지비로 인한 운용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설비비 및 운용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스템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절기 APC 작업공간의 효율적 냉방을 위한 냉방시스템 설계의 기초 연구로써 CFD를 기반으로 하여 양압식 및 음압식 팬 앤 패드 시스템과 국소냉방 시스템에 대해 열유동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각각의 냉방효과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음압식 팬 앤 패드 시스템은 고온 외기의 과도한 유업으로 인해 패드 하류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업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도 분포를 보였으며 기류의 유속분포 역시 낮게 나타나 APC 냉방시스템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압식 팬 앤 패드 시스템은 직업장의 중심부 및 각 작업영역에 비교적 균일한 저온환경을 조성하나 작업자 위치별로 기류의 유속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국소냉방 시스템의 경우 각 작업자 위치의 상부에서 냉기류가 공급되는 방식이므로 팬 앤 패드 시스템에 비해 작업자 위치에서의 온도분포와 기류 유속분포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나타났다. 양압식 팬 앤 패드 시스템은 냉방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공조방식에 비해 설비비 및 유지비가 저렴하나, 실제 APC 작업장의 냉방공조에 적용시에는 팬 소음, 고습환경이 선별기 등 장비에 미치는 영향, 용수공급 및 패드교체 등을 고려하여 보다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4,000원
        16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증발냉각방식을 이용하여 배지의 지하부 온도를 관리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개발하고 고온기 온실내 기온에 따른 배지내 온도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다공질 필름 덕트법, 배지 상면 기습부직포 멀칭법, 투수부직포 재배조 표면 증발법의 3가지 냉각시스템에 대하여 배지냉각특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투수부직포 재배조 표면 증발법의 경우 온실내 기온 35℃인 배지표면의 온도와 상대습도 50%일 때 재배조 표변의 부직포의 온도는 27℃로 니타났으며, 뿌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배지내 온도는 28~30℃ 정도로 나타나 외기온에 비하여 5~7℃ 정도로 기장 크게 강하되었다. 따라서, 투수부직포 재배조 표면 증발법이 가장 효율적인 배지냉각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66.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의 환기제어시 외기온도와 풍속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온실내 온도제어성능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 퍼지제어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제어로직이 복잡하여 대용량 메모리를 갖는 컨트롤러가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용량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프로그램이 가능한 단순퍼지제어 알고리즘을 개 발하여 시험하였다. 개발한 단순퍼지 제어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텝제어 알고리즘 을 도입한 제어프로그램으로 온실의 천창환기에 의한 온도제어를 실시하여 두 알고리즘의 성능을 직접 비 교하고, 또 PID 및 표준 퍼지제어 성능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적 성능을 평가하므로써 온 실의 환기냉방제어의 유리한 제어기법을 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단순 퍼지제어에 의한 실내온도 최대 제어오차는 1.2℃, 1시간동안의 평균환기창 적산열림량과 조작회수는 각각 84%, 13회 로 나타났으며, 문헌조사에 의한 퍼지제어에서 각각 1.3℃, 75% 및 12회에 비해 동등한 제어성능을 보였 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순퍼지제어는 제어로직이 PID제어보다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스텝제어와 PID제 어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퍼지제어와 동등한 제어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s turbines for power generating operate in a very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use natural gas for fuel. For this reason, many cases of damage happen at hot gas parts which are severe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gas and many cases of explosion occur by fuel gas. So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hot gas parts damage and gas explosion accidents. Though there are many damage cases and explosion accident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the root causes of hot gas parts damage caused by gas explosion due to gas leakage in the heat exchanger for air cooling and gas heating. To prevent gas turbine from damage caused by gas explosion, removal of leakage gas from gas turbine is inevitably required before firing the gas turbine and installing alarm systems is also required for detecting gas leakage at stop valve to turbine while shut down.
        4,000원
        168.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s turbines generating power operate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use natural gas as fuel. For that reas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damage is done to the hot gas parts caus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many accidents occur like gas explosions, then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maintain the hot gas parts and prevent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oot causes of damage to the hot gas parts from the gas explosion caused by gas leakage through rotor cooling air line from fuel gas heat exchanger during the shut down. To prevent gas turbine from damage, removal of gas leakage inside of gas turbine is required by purging the turbine before firing, improving the fuel gas heating system and installing alarm systems for detecting gas leakage from stop valve to turbine while the gas turbine has shut down.
        4,800원
        169.
        200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rmoluminescent phosphors of LiYSiO4 containing rare earth metal(La) dopants of 1 wt.%5 wt.% were prepared, and their TL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such as the doping level and the heating rate. The grain size and cooling temperature of the highly sensitive LiYSiO4: La phosphors have been investigated. The glow curve of LiYSiO4: La has two peaks (P1, P2), and the peak height ratio of the two peaks is called P2/P1; here, the main peak is P2.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eak height ratios of the glow curve for LiYSiO4: La are clearly correlated with the grain size and cooling temperature. The maximum P2/P1 ratio 3.25, the maximum sensitivity was observed for a grain size between 100-150 μm. The intensity of the TL peak of the phosphors was linearly proportion to the dose of X-rays.
        4,000원
        17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통기한이 7일 밖에 되지 않는 무싹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서 고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였다. 이를 위해 고체 이산화탄소의 승화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스와 극저온의 온도로 농산물에 고이산화탄소 처리와 예냉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처리 장치를 개발하였는데 개발된 장치는 처리 대상 작물 주위를 10분만 5℃와 80% 이산화탄소로 조성하였다. 개발된 고이산화탄소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 전과 저장 중의 고체 이산화탄소 처리와 저장 전과 저장 중을 모두 한 처리, 그리고 무처리구를 두어 무싹의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고이산화탄소를 처리한 무싹은 25μm ceramic film 포장하여서 8℃에 저장하였다. 무순의 고이산화탄소 처리는 생체중 감소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저장 1일 째 포장내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는 저장 중 처리구에서 40%와 10%로 고이산화탄소 농도를 보였으나 저장 7일째에는 모든 처리구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5%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고농도 이산화탄소 처리는 저장 15일째 에틸렌 농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였으나. 외관상 품질과 이취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7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선박용 팬일유니트의 엇갈림 냉각관 주위 유동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입구유속기준 레이놀즈수 Re = 1.5×103에서 Re = 2.5×103까지 계측결과를 얻었다. 그 곁과 유동은 흐름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발달하여 비교적 짧은 거리 후방에 공간적인 주기성을 나타내었다. 유동이 발달하는 영역에서는 레이놀즈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나 공간적 주기성에 미치는 레이놀즈수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4,000원
        17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ybrid cooling system of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naturally circulating coolin system using R-410a for indoor mobil tele-communication center(IMTC) is developed and its performance is experimentally studied. It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oling capacity of naturally circulating cooling system is proportional to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it has max. 4,550 kcal/h at indoor and outdoor air temperature difference 15℃. Second, heat exchangers of evaporator and condenser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be able to get maximum refrigerant capacity by naturally circulating force and to enhance heat transfer by refrigerant. Third, cooling capacity of hybrid cooling system has optimum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refrigerant charging capacity and refrigerant charging capacity of naturally circulating cooling system is 30~50% more than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
        4,000원
        17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plate heat exchanger for water-refrigeration systems such as chillers has been developed. Before forming, two stainless steel plates are placed on each other and connected by tig welding. To outline of the plate did the seam welding, in order to form the flow pass on the plate inside the spot welding used. After the plates have been welded, the plates are hydraulically inflated using pressure by water or nitrogen.The plate is made of an SUS plate of 1m×2m in length and 1.2mm in thickness and are fixed in the top of the water tank.As a result of these, it is concluded that the plate exhibits good cooling performance and the average cooling capacity is approximately 2.9RT/plate and the averag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of chiller system is 3.16.
        4,000원
        17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직형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냉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농업시설에 적합한 10RT 규모의 수평형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을 240m2 면적의 온실에 설치하고, 이 시스템의 냉방성능을 분석하였다. 응축기 출구온도가 40℃에서 58℃로 상승함에 따라 소비전력은 11.5kW에서 15kw로 상승하였으며, 고압이 1,617kpa에서 2,450kPa로 변화하였다. 냉방성능계수는 지중온도 25.5℃에서 2.7 수준이었으며 지온이 상승함에 따라 하강하여 33.5℃에서 2.0 수준이었다. 또한 온실 내부로부터 흡수하는 열량(냉방열량)은 같은 지중온도 수준에서 각각 28.8kW, 26.5kW이었다. 가동 8시간 후 지열교환기가 설치된 60cm깊이의 지온은 14.3℃가 상승하였으며 150cm는 15.3℃가 상승하였다. 반면 지열교환기가 매설되지 않은 60cm 깊이는 2.4, 150cm 깊이는 4.3℃의 지온상승을 보였다. 열매 체유가 지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평균 7.5℃의 온포가 하강하였으며, 토양온도가 평균 27.5℃ 수준에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열량은 평균 46kw로 지중열교환기의 단위 길이 당 약 36.8W의 열량을 방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팬코일 유닛이 온실로부터 흡수하는 냉방 열량은 평균 28.2kW이었으며, 열매체유의 온도는 4.2℃ 상승하였다. 축열조내 열전달매체유의 온도가 26.0℃에서 2.0℃까지 하강하는데 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평균 축열율은 29.7kW, 총 축열량은 321MJ이었다. 또한 2.0℃까지 냉열을 축열한 후 25.4℃까지 방열되는 시간은 외기온이 평균 28.5℃일 때 4시간이었고, 총 313.0MJ의 에너지가 방열되었으며, 이때 평균 방열율은 21.7kW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76.
        200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용후핵 연료 심지층 처분의 목적은 그 독성이 인간 및 자연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기간 동안 격리하고, 방사성물질의 누출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심지층 처분장 설계시 주요한 요건은 처분시스템의 건전성 유지를 위하여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열로 인하여 완충재의 온도가 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출된 후의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은 심지층 처분장 설계시 효율 및 경제성을 위한 중요한 고려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 설정을 위하여 처분시스템 온도요건을 만족하는 심지층 처분장 배치에 필요한 처분터널-처분공 간격 및 그에 따른 면적, 열하중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준 처분개념을 바탕으로 사용후핵연료의 냉각기간 및 처분터널/처분공 간격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처분시스템에서의 열적 안정성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처분면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사용후핵연료의 냉각기간이 짧을수록 처분장에서 설계온도 제한치 범위내 최고온도에 이르는 시간은 빨라지고,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이 길수록 처분장에서 온도상승 및 하강속도는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대상으로 삼은 처분장 규모와 사용후핵연료를 심지층에 처분한다고 할 때 그 냉각기간을 40-50년으로 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냉방시에 발생될 수 있는 분포상의 문제점을 실측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서 궁극적으로는 대공간의 열환경 개선과 효율적인 냉방설계를 위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부하 미고려시의 하절기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 실측실험을 비냉방시와 냉방시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공간내 수평 및 상하온도분포특성, 취출기류의 거동특성, 실내쾌적온열환경 특성, 환기량 평가 등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4,200원
        17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향후 국내 돔경기장 냉난방 시스템 설계시 고려사항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대공간의 실내 온열환경계획은 지속적인 연구와 풍부한 경험을 통한 관련 기술의 축적이 필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다수의 돔경기장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을 중심으로 돔경기장에 도입된 최신의 냉난방 설비시스템 사례를 조사하고 요소기술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는 대공간의 쾌적한 실내온열환경 조성을 위한 냉난방 시스템 계획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4,000원
        18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Superior) cultivar was grown in aeroponic cultivation syste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ot zone cooling in summer. Based on their nutrient uptake, growth responses, and tuberization, the possibilities for potato seed production were determined. Although shoot growth and early tuberization increased in the conventional non-cooling root zone system (root zone temperature of 25±2℃), stolen growth,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rate and number of tubers produced were higher in the cooling root zone system (20±2℃) than in the non-cooling system. Increasing root zone temperature above 25℃ stimulated absorption of K more than T-N, P, Ca, Fe and Mn. On the other hand, root zone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20℃ to 25℃ did not affect Mg contents. The lower uptake and supply to leaves of T-N, Fe and Mn at the high root zone temperature promoted early tuberization and advanced haulm senescence. The results stress the importance of keeping root zone temperature to as low as below 20, particularly in summer under temperate Bon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