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1

        161.
        201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G교육청 주관 수업 컨설팅 과정을 성찰적 수업(reflective teaching) 컨설팅 과정을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드러낸 연구로서 컨설팅에 참가한 영어교사의 갈등과 고민, 그리고 좋은 수업을 만들어가는 영어수업컨설팅 과정을 묘사한 성찰적 영어수업컨설팅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성찰적 영어수업 컨설팅 과정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신장 가능성을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5명의 초등영어교사는 컨설팅 과정에서 자신의 수업 관심영역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경로의 교수법을 탐구하고 좋은 수업 만들기에 대한 고민을 성찰적 수업컨설팅 과정에서 보여주고 있다. 성찰적 영어수업 컨설팅 과정을 분석한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찰적 수업컨설팅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인적 물적 환경조성의 필요성, 둘째, 수업컨설팅 의뢰자의 요구를 반영 할 수 있는 전문적 컨설턴트 확보. 셋째, 다양한 컨설팅 사례를 나눌 수 있는 계속적인 컨설팅 사례연구 공유. 넷째 동료코칭 등 자발적인 컨설팅 참여와 이를 지원하는 전문적인 학습공동체 문화 구축 등이다.
        9,000원
        16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시각에 대한 인식 현황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시각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적절한 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1년 4~7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O초등학교 담임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1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각 문제를 담당하기 적합한 전문가는 안과의사라고 인식하고 있는 교사가 88%였다. 학생에게 전문기관에서 눈 검사를 받도록 권유해본 적이 있었던 교사는 76%였다. 현행 교육과정에 시각에 대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는 24%였고 시각에 대한 내용이 교육과정에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 사는 80%였다. 시각이상이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71%, 저시력이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54%, 시각치료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22%였다. 시각이상의 존재여부를 증상으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22%였다. 선호하는 시각관련 정보 제공 형태는 46%가 웹싸이트를 선호하여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 초등학교 교사들이 시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시각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시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6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sport instructor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it’s importance and the sport instructor system performance. Three hundred seventeen teachers in B
        5,200원
        16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Saturday Sports Day and subsequen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establish the base to activate Saturday Sports Day with which both teachers
        7,800원
        167.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pression program geared toward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 creativity of students. After creativity-related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anal
        6,400원
        168.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ing Korean folk-dance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four teachers conducting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viewed on three topics; the general perceptions on Ko
        4,600원
        170.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 교육은 언어 교육의 하나이며, 언어 교육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한자 교육을 한다고 할 때 소통의 매개체 는 최소한 어휘 수준의 단위이다. 그러므로 한자 교육은 소통의 도구이자 매개체 로서 어휘의 교육에 충실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의 어휘 교육은 각 교과 학습의 기초가 되는 교육이라 할 수 있으 며, 한자 어휘와 같이 주요 개념어 내지 사고 도구어로 사용되는 어휘 교육은 각 교과 교육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 교 교육용 한자 어휘의 선정 작업은 근본적으로 각 교과 학습에 기본이 되는 학습 용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필자는 ‘교과서 한자 표기’ 방안을 한자 어휘 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그 다음 대안으로는 ‘국어과 교육 내용 안에 포함하는 안’이며, 초등학교『한자』교과를 통 하여 지도하는 방법은 가장 나중의 안이다. 또한 이도저도 어려울 경우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의 별첨 자료로 보급하는 것 도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를 1,000어휘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러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할 때 1,000어휘 모두를 필수어로 정하여 익히기는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단계별 수준에 알맞게 ‘이해어휘’(읽기 수준의 한자 어휘)와 ‘표현어휘’(쓰기 수준의 한자 어휘)의 수를 달리해 정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를 선정하기 기준으로 빈도, 분포범위, 언어의 필요, 이용도 및 친숙도, 적용 범위, 규칙성, 학습 용이도 및 학습 부담 등을 들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고 그 예를 일부 제시하였 다. 이러한 논의를 계기로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에 대한 교육당국의 교육지 침이 마련되기를 촉구한다.
        14,900원
        172.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earn-teaching at three primary schools in Korea. The data consisted of classroom audio-recordings, in-class observations and post-observation interview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egree to which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TEE) was practiced by Native English Teachers (NET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KETs)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case fit five conditions for optim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interaction with an authentic audience; opportunity for the negotiation of meaning; exposure to creative and varied L2; production of creative and varied L2; and engagement in authentic tasks (Egbert & Hanson-Smith, 1999). The main findings were that in five different observation sites, as expected, L I was rarely used in NET classes, but was used in 28% of utterances in KET classes, often to perform functions for which L2 English could have easily been u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very few instances of NET or KET classes met any of the five conditions for optim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L2 English be maximized in class, and that teachers pay more attention to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optimal language learning.
        7,000원
        173.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inuity betwee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1st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using Coh-Meu'ix, an automated web-based program designed to analyze and calculate the coherence oftexts on a wide range of measures. The measured value of text types was compared and classified into the surface linguistic features (the basic count, word rrequency, readabi li ty, connective information, pronoun information, word information) and the deep linguistic features (co-referential cohesion and semantic cohesion, lexical diversity, syntactic complex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counts and words before the main verb had a significant different value between two levels of textbooks. The results were remarkably different in the written language. Second, FKGL (Flesch-Kincaid Grade Level) and the pronoun rati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the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type-token ratios in written language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spoken language. Third, other language features showed only a mild and gradual difference. Finally, the resu lt indicate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discourse aspects.
        6,000원
        174.
        201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44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do from June 2008 to May 2009.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As for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ased on seasons, the radon concentration was 77.4Bq/m3 in winter, 71.8Bq/m3 in autumn, 47.8Bq/m3 in spring and 40.4Bq/m3 in summer of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was 155.4Bq/m3 in winter, 124.3Bq/m3 in autumn, 82.7Bq/m3 in spring and 58.0Bq/m3 in summer, show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winter. As for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basement, concentration of schools having basement was 37.2Bq/m3, that of schools having no basement was 62.1Bq/m3 in Gyeongsangnam-do. In Gyeongsangbuk-do, schools having basement showed 53.9Bq/m3 of concentration and schools having no basement 124.7Bq/m3. Schools having no basement tend to show higher concentration. Indoor rad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ng year was 64.5Bq/m3 in schools built before 1990, 34.9Bq/m3 during 1990s and 32.8Bq/m3 during 2000s in Gyeongsangnam-do, and 110.5Bq/m3, 83.5Bq/m3 and 48.3Bq/m3 in Gyeongsangbuk-do respectively.
        4,000원
        176.
        201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fferent English learning contexts result in different grammar development in learners’ shared mother tongue, Korean. The research instrument included a sentence completion task of collocational expressions in Korean dialogues, a multiple-choice test of grammar in Korean sentences and dialogues, and a sentence composition task using double nominative structures. The participants were 26 students at the age of 8 to 9 year old in the EFL context, 21 in a type of immersion program, and 19 in the ESL context. The results showed little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collocation sentence completion task and the multiple-choice test, but a clear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L students and the ESL students in the double nominative sentence composition task. The students who had been learning English in English culture showed more limited knowledge in the writing sentences with such peculiar but common structures in Korean languag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been learning English in a Korean cultural context. In the complementary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cores in the sentence composition task with a double nominative structure,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proved the strongest correlation, implying that the longer students live in Korea, the better they perform. The study provides the pedagogical implication that the curriculum of a mother tongue for bilingual learners could need to intervene with more emphasis on enhancing learners’ grammatical development, including language-specific structures.
        6,300원
        17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에 따른 근시 정도를 분석하여 근시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서울과 아산에 위치하고 있는 8개 초등학교의 남녀 학생 중 안 질환과 사시나 약시가 없는 257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굴절이상도를 검사하였다. 시력관리 에 대한 항목으로 시력교정 상태, 현재 착용하는 안경의 눈 검사 시기와 안경의 착용 실태에 대해서 조사하 였고, 생활습관 관련 항목은 컴퓨터 사용시간, 독서 시간과 독서 자세, TV 시청 자세, 1일 실외 생활시간 그 리고 부모의 근시 여부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등가구면굴절력은 -9.38D~+0.38D로 평균연령은 12.74±0.44세(12~13세), 남녀대상자는 남 99명(40.7%)와 여 144명(59.3%) 이었다. 결 과: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등가구면굴절력은 -2.01±1.86D로 지역별 차이는 없었다(서울: -1.87± 0.49D, 충남: 평균 -2.09±1.86D, p=0.374). 전체 대상자 중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그룹에서 72.5%가 근 시였고, 안경착용 그룹에서는 눈 검사를 받은 지 6개월이 지난 학생이 34.6%였다. 성별, 1일 2시간 이상의 독서 시간과 소파, 바닥, 거실바닥에 엎드려 보는 나쁜 독서 자세, TV 시청 자세, 1일 실외에서의 생활시간 에 따라서 근시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컴퓨터 사용시간이 2시간 이상(2시간 미만: -1.80±1.68D, 2시간 이상: -2.36±2.07D, p=0.026)일 경우에는 근시의 경향이 높았고, 부모 모두 근시가 있을 때 자녀의 굴절이상도는 평균 -2.78±2.36D, 둘 중 한명만 근시일 경우는 -1.95±1.75D, 둘 다 근시 가 없을 때는 -1.60±1.44D를 보였다(p=0.001). 결 론: 1일 컴퓨터 사용시간과 부모의 근시 여부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근시 정도가 높아졌다.
        4,000원
        178.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this study, on-off lin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250 teachers including 3rd, 4t
        4,800원
        179.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 types of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the foundation of classifying the teaching types of physical education into the d
        5,800원
        180.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positive effects placed on peer groups and improvements of group cohesion by composing social groups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y determining the possib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co
        10,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