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1

        16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어휘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 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매우 적절하다고 판단된 24개의 어휘를 선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 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설문으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을 실시하여 시각적 주거환경에 대한 9개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최종 단계에서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9개의 감성 어휘가 실제 시각적 주거환경을 나타내는 데에 적함한지를 다시 한번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10개의 어휘를 선발하였다. ‘안락한’, ‘개방적인’, ‘세련된’, ‘경쾌한’, ‘개성적인’, ‘단순한’, ‘화려한’, ‘중후한’, ‘고풍스로운’, ‘전원적인’.
        4,000원
        162.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teaching French culture in Korean high schools. With this goal, this study investigates teaching French culture through teaching French words. Because vocabulary is often a main obstacle to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their communication, vocabulary teaching is one of excellent tool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eign cultures. The study also proposes the list of cultural aspects necessary to highschool French learners, which are related to 800 words specified by the 7th French Cumculum.
        5,100원
        163.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 검색 분야의 문서 분류에 기계 학습 기법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문서를 패턴으로 표현할 때, 하나의 패턴이 가지는 특징의 수가 기계 학습 기법에서 처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징 선택 기법은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 중에서 실제 문서 분류에 많은 영향을 주는 특징만을 선택하여, 기계 학습 기법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을 정도의 패턴을 구성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징 선택 기법 중에서 IG(Information Gain), Gini index, Relief-F, DF(Document Frequency)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문서들에 포함된 모든 고유 단어를 특징의 길이로 하여 패턴을 구성했을 때보다 특징 선택 기법을 적용하여 고유 단어 중 일부를 특징으로 패턴을 구성할 때 기계학습에서 더 향상된 분류 성능을 보였다
        4,000원
        16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물 및 직물 관련 제품에서 주로 사용되는 감성 어휘들의 관계 및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잡지 및 설문 조사 과정을 통해 어휘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어휘의 빈도를 조사하고, 어휘 적절성을 평가하여 감성어라고 생각될 수 있는 어휘들만을 정리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372개의 어휘는 직물 및 직물 관련 상황에서의 감성어로 사용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유사 분야의 감성어 모형에 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휘들 간 관계구조에 대한 분석은 몇 가지 면에서 이뤄졌다. 자유연상 과제를 실시하여 어휘들 간 관계의 연결망(network)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휘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의 여러 측면에서 어휘들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어휘들에 대해 다차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휘 간 관계는 3차원이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의 주차원을 중심으로 어휘들의 공간 분포를 그리고 이들 어휘를 범주로 분류한 결과 대략 11개의 범주로 어휘들을 나눠볼 수 있었다.
        5,200원
        165.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veying the literature of architectur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one can identify two dominant but problematic attitudes, among several, that pursue the task of defining what modern architecture is and should be. The first is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second is the pursuit of form. This study, following Michel Foucault, asserts that the dual formation of meaning and form is a historical product of modernity and belies architecture's uncritical dependence on languag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is study is a critique and historical analysis of this pernicious reliance, and constitutes a first step towards thinking of alternative relations between 'words and architecture' in the modern world. In reconstructing this problematic, the paper has called on Foucault's seminal The Order of Things. The study follows his construction of the Renaissance, the Classical and the Modern episteme, and in brief fashion, reconstruct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architecture in each episteme. In analysing the Modern, the study focuses on Hegel's Lectures on Aesthetics. Hegel placed architecture in a genre hierarchy within which architecture, because of its material basis, was fundamentally limited in its ability to express the Spirit. For Hegel it was, among the arts, poetic language, and beyond art, the language of philosophy, through which the Absolute Spirit could be atttained. Much of post-nineteenth century architecture has remained within the shadow of Hegel, where architecture's materiality is perceived to be a burden, and in order to secure its relevance in modern society, architecture was deemed to pursue the role of language. As the most recent and sophisticated example of architecture's pursuit of form, the paper analyses the work of Peter Eisenman. Though Eisenman's theoretical writings are replete with post-Hegelian rhetoric, his architecture remains dependent upon the model of language, albeit a structuralist one. The paper concludes that ultimately, the pursuit of meaning and form is unable to face the crucial issue of value in modernity. While the former decides to easily what it is, the latter evades the issue itself. The second installment of this ongoing study will pursue a third possibility alluded to by Foucault, where language remains silent, pointing only to its 'ponderous' material existence.
        5,400원
        167.
        2023.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군 국어․사회 교과의 학습 개념 어를 표집하고 어종별 분포 양상을 분석한 다음 한국어가 제1언어가 아닌 학습자들을 위해 고빈도의 친숙하고 쉬운 밑말 어휘로 환원하여 제시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 3-4학년군 국어 과․사회과의 2012 고시, 2017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개념 어 휘 484개를 목록화하여 그 분포를 분석하고, ‘고빈도의 초급 어휘’와 ‘의미투명도와 조어력이 높은 한자형태소’를 기준으로 하여 이를 쉽게 풀어 설명할 수 있는 유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등 3-4학년군의 학 습 개념어는 한자어계가 87.72%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 며, 이를 풀이하는 밑말은 고유어계 풀이만이 아니라 풀이가 필요 없 는 한자어계 고빈도 어휘를 포함한 풀이 방법이 제안되어야 할 필요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 3-4학년군 비원어민 학습자를 위한 학습 개념어의 밑말의 수효와 특성을 보아 언어 간 일대일 번역을 배제하는 방식으로서 직접 풀이법, 다른 단어 제시법, 한자형태소 추론 법 등의 제시법을 제시하였다.
        168.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nglish proficiency was a factor to determine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use language copied from a source without attribution. The unattributed copying from a source was analyzed using a quantitative measurement,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 of plagiaris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 of textual borrowing and the length of strings of words borrowed from a source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ficiency levels. The participants' language proficiency also influence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plagiarism. Th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perceiving plagiarism suggest that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may be somewhat less aware that their heavy reliance on direct copying of a source could be regarded as unacceptable in academics than those with high English proficien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ocusing on preventing plagiarism.
        169.
        2020.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비음화[ㄴㄴ]와 유음화[ㄹㄹ]가 현실에서 각 계층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 다. 비음화와 유음화는 오랜 세월 서로 경쟁해 온 발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여러 연구들에서 예시로 제시한 복합어들 가운데 친숙한 어휘를 선정하여 두 음운 현상의 발음 빈도를 몇 가지 계층별로 나누어 입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음운 현상은 /ㄴㄹ/연쇄 3음절 한자어나 외래어로 된 복합어에서 일어나므로 한자어, 외래어, 고유어 등이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3음절어를 선별하여 어휘목록별 발음 빈도를 제시했다. 그리고 한자나 외래어에 익숙한 세대, 한자어에 익숙하지 않은 10대 청소년,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등이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비음화나 유음화 중 어떤 선택적 교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했다. 평소 친숙한 몇가지 어휘들이 이러한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현실 발음에서 [ㄴㄴ]발음과 [ㄹㄹ]발음으로 어떻게 서로 양분되어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170.
        2019.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문법 중심의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외국어 교육에서 중요하고 기초가 되어야 할 어휘 교육에 대해 서는 소홀히 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의 동사를 중심으로 다의어를 설명하고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수법을 모색하려고 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지금 어휘 학습의 방법 중에 학습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또한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암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 학습자들이 다의어의 의미에 대한 인지가 아직 부족하다. 다의어의 다양하고 복잡한 의미 확장에 대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학습자들이 쉽게 사용하고 접할 수 있는 의미를 중심으로 어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의어의 교수법을 크게 의미 확장 원리에 근거한 교수법, 연어 관계를 활용한 교수법, 교실 활동을 통한 교수법으로 나누어 제시하겠다.
        171.
        2019.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어는 당대의 사회 모습을 아주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해당 언어권의 어휘들이 갖고 있는 구조와 생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신어는 교육용 어휘 목록에서 많이 배제되어 왔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신어가 형성되고 쓰이면서 비슷한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어휘들이 생겨나고 신어 내에서도 새로운 의미적, 형태적 규칙이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신어 자료 내에서 학습자의 단계에 맞는 목표어휘를 고려하고, 교수-학습 방안에 적합한 어휘들을 잘 선정하여 활용한다면 충분히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신어의 인칭 접미사 목록을 살펴보았다. 특히 인칭 접미사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공개된 국립국어원의 신어 관련 자료집을 기준으로 할 때 꾸준히 출현하며 생산성이 높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립국어원에서 조사 발표한 신어 (1994-2017) 자료집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2012-2014) 보고서를 바탕으 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66개의 신어 인칭 접미사 목록 중에 9개의 인칭 접미사가 한국어 교육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최종 선정된 인칭 접미사는 ‘-돌, -맨, -짱, -파라치, -걸, -덕/덕후, -맘, -어/러/터, -우 먼’이다. 이상의 관점에서 신어의 인칭 접미사는 일정 기준을 바탕으로 그 목록을 마련한다면 충분히 한국어 교육 시에 어휘 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신어 자료의 교육적 가치를 재검토함으로써 앞으로 기존 한국어 교재나 자료들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데에 활용될 수 도 있을 것이라 본다.
        17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als with the phonological reconstruction of Old English Palatalization in prefixed words focusing on how morphology interacts with phonology and how the phonological reconstruction can be substantially confirmed. It will be shown that the traditional descriptions of Old English Palatalization tend to oversimplify the contexts for its application and make predictions not consistent with other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Once the sound values of the relevant consonants in Old English prefixed words are reconstructed, Middle English orthographic system and the alliterative convention in Old English versification, often used as major sources for the reconstruction of Old English sounds, will be explored in detail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phonological reconstruction.
        17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제어(key word, KW)는 해양사고의 주요한 원인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한 단어들의 집합으로 해양안전심판원의 심판관들이 작 성한다. KW는 심판관들의 서로 다른 주관적인 견해 때문에 일관성 유지가 어렵고, KW의 수가 너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최소의 공통단어(common word, CW)를 이용한 체계적인 KW 구축 프레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인 KW 구축 프레임 개발에 필요한 CW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파레토(Pareto) 분포함수와 파레 토 지수를 이용한 최적의 최소 CW 도출방법을 제안하였다. 총 2,642개의 KW을 수집한 후, 수집한 KW의 세부 단어와 이들의 빈도를 갖는 데이터 세트에서 총 56개의 특징적인 CW를 식별하였다. 56개의 특징적인 CW를 이용한 단어 축소실험을 통해서 평균 58.5%의 축소율을 획 득하였고, 축소율에 따라서 추정한 CW는 파레토 차트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서 체계적인 KW 구축 프레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 다.
        174.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성 분석은 글을 통해 작성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인 감성 분석을 위해서는 감성 단어 극성 사전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한국어 극성 사전 구축을 위해 우리가 개발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게임을 소개한다. 먼저, 크롤러를 이용해 인터넷 커 뮤니티에서 말뭉치들을 수집했고, Twitter 형태소를 이용해 수집한 말뭉치를 형태소별로 분류하고 단어화했다. 이 단어들은 모바일 플랫폼 기반 태깅 게임 형태로 제공되어 게임플레이를 통해 플레 이어들이 자발적으로 단어들의 극성을 선택하고 결과가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되도록 게임이 설계 되었다. 현재까지 약 1200여개의 단어들의 극성을 태깅하였으며, 향후 좀 더 많은 감성 단어 데이 터들을 축적함으로써 특히 게임 도메인에서 한국어 감성 분석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17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mily size effect on English word processing via visual lexical decision task with three different groups of speakers, i.e., L1 English speakers, Korean L2 English learners, and English bilinguals. For English simple nouns, verbs, and adjectiv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ype count of morphologically related members and the surface base-frequency on lexical processing. First,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y size effect emerged in Korean L2 learners, but it was mostly inhibitory. To be specific, words with a large family size elicited slower response latencies than those with a small family size. However, the facilitatory effect arose for bilingual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Second, it was exhibited that high-frequency base words were recognized more quickly than low-frequency counterparts, confirming that token frequency as well as type frequency codetermines their recognition lat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1, bilinguals, and L2 learners' mental lexicons are organized by morphologically related words along with surface frequency although their effect size diffe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language exposure. Finally, building on the results in the current experimental study, we propose a formal account for the processing advantages of words with a large family size under a psycholinguistic model and processing constraints.
        17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주변의 작은 생물과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작은 규모의 생물과 미생물에 관한 연상 용어 및 이미지, 이로움과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대학 재학생 21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작은 생물을 대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와 연상 단어를 선택하고 서술하도록 구성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이 선택한 연상 용어와 이미지의 빈도 및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선택 이유 및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답변하였는가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 예비 초등교사들은 우리 생활에서 활용되는 미생물보다 작은 규모의 동식물을 작은 생물의 이미지로 생각하는 빈도가 높았다. 연상 용어는 특정한 생물명과 포괄적인 명칭이 많았으며,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하지는 못하였다.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변의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맥락적인 상황을 활용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178.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bes whether relative frequency is a potential factor which can determine Korean L2 speakers' access to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and whether their processing pattern varies according to affix type and participants' L2 proficiency. A processing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by Korean L2 speakers rated English affixed words as more complex and measured their percentages and reaction time. Our results exhibited that subjects judged as more complex the forms where the whole derived words were less frequent than their embedded base forms and that the words which were more frequent than their base forms were judged as less complex in a robust manner like L1 speakers. Further, such a trend did not vary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and affix type. These findings provide supportive evidence that relative frequency facilitates L2 speakers' processing of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Additionally, they imply that they access L2 derived words through decomposition to constituents such as base forms, supporting dual-route model. Finally, the relative frequency might emerge from an earlier stage of L2 development, coupled with the possibility that affixed words are represented along with frequency of the whole words and their constituents.
        179.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ose newly-coined words are widely spread and used in peopl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Besides, due to the advanced internet and network, more and more internet new words are coined and the speed of it is increasingly faster. There is no doubt that those internet new words are not only popular among young people, but also adopted by people of all the ages. The author in this paper aims to study and analyze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the words newly-coined from sociological,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perspectives, and in the mean time to observe the specific mentality of modern people as well as all kinds of social phenomena.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new words in both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among which the former concludes three parts of psychology of filling invacancies, psychology of language minimization and imitative, conspicuous motivations and poppsychology, while the latter involves four parts of reflection of life style, economic phenomena, appearance supremacist and pursuit of health. Through the analysis and study of the newly-coined words in China and South Korea in the light of sociology as well as psychology, the author finds that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new words in both the two countries is greatly influenced by society and people’s mentality, resulting in similar types of new words emerging in the two countries. Thus, fundamentally, new words are coined and popularized because of the integration of human’s specific mentality and social phenomena.
        180.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emantic types of subordinate compound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rst, we discussed the concept of subordinate compound words, then analyzes the concept and the location of the head words in the subordinate compound words. We know that Korean is the head-final language, for the head of is at right. On the contrary, the location of the head of Chinese compound words is not fixed. There are many left-head word structure of compound words in Chinese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analyzing the semant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 words, most of the words are the right-head structure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many left-head semantic structure of subordinate compound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contrast, there are a little left-head semantic structure of subordinate compound verbs and adjectives. There are many same points in right-head semantic structure of subordinate compound. In chapter 4, By analyzing the specific words, we studied the semantic types of subordinate compound nouns, verbs and adjectiv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nally, we came to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We wish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