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E. 흄은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하다는 인간에 대한 “인본주의적 태 도”와 인간은 원죄를 갖고 태어난 본성이 악한, 고정된 그리고 한정된 존재라는 인간 본성에 대한 “종교적 태도”를 대비시킨다. 흄은 인간 본 성에 대한 “종교적 태도”를 가진다. 따라서 흄은 인간을 다스릴 훈련, 질서 그리고 조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흄은 인간은 불완전하기 에 필연적으로 완전한 존재인 하나님을 믿게 된다고 언급한다. 흄의 영 향으로 흄과 유사한 인간관과 도덕관 그리고 종교관을 갖게 된 T. S. 엘리엇은 「작은 영혼」에서 인간의 한계성을 인정하며 인간이 올바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훈련이나 억제 그리고 기도 같은 초월적 힘이 필요 하다는 도덕적 안내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이런 점에서 결 국은 죽음으로 끝나버리는 허망한 인간의 성장을 흄의 인간에 대한 “종 교적 태도”를 통해 살펴보면서 엘리엇의「작은 영혼」에 그려진 삶에 도 덕적이고 종교적인 의미를 부여해보았다.
        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Eliot wrote the poem, “Animula,” in 1929 at the age of 41, which belongs in the later part of his literary life as a poet and critic. Eliot converted to a Catholic in 1927, the year his father-in-law, Charles Haigh-Wood, died. It was in 1929 that he was thinking of divorce with his wife, Vivienne Haigh-Wood, and his mother, Charlotte Champe Eliot, died as well. Biographically, the poem “Animula” is certain to reflect his own life from infantry to death, physically and spiritually. Actually, the poem develops with three stages ranging from the period of an infant, who “Issues from the hand of God, the simple soul,” to the period between adolescence and youth, who gets “irresolute and selfish, misshapen, lame,” with the characters who follow as if living in limbo in the final lines: Guiterriez “avid of speed and power” and Boudin “blown to pieces.” The title of “Animula” thus alludes to the poem “Animula vagula blandula”(a pale vagrant little soul) the Roman Emperor Hadrianus left dying - the little soul, once the friend of and guest to the body, now leaving its dying body. So, the poem “Animula” is designed to convey how to live till death from infantry, especially in the childhood. The child’s soul is identified as simple, yet miserable even in the childhood without religious discipline: “Pray for us now and at the hour of our 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