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세기말의 아일랜드 시인인 William Butler Yeats와 20세기 초반 영국 시인인 Thomas Stearns Eliot는 위 두편의 시에서 union의 개념을 통해 이상과 현실 사이의 부조리를 나름대로의 철학을 적용해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예이츠는 조국인 아일랜드가 영국으로부터 해방되기를 갈망하면서 동시에 현실에 얽매인 세속적인 인간들의 모습에 크게 실망하여, 자신의 작품을 통해 참혹한 현실에 대응하는 독특한 아일랜드의 전설과 혼합한 신비주의를 추구하고 있다. 즉 예이츠에게 union이란 개념은 두개의 서로 배타적인 세계(아일랜드의 해방운동과 현실을 초월한 신비주의)를 하나로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균형을 갈망하면서 동시에 양 세계로부터 거리를 유지․보존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으로서 예이츠는 이일랜드의 민족주의 운동과 초자연적인 진실 중 어느 한쪽도 포기하지 않으며 변화시키지도 않는다. 예이츠와는 달리 엘리어트는 단편적인(fragmentary) 일상생활과 그가 그려왔던 이상의 세계를 하나로 융합하면서 조화와 완벽을 추구한다. 엘리어트는 기독교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개념, 즉 감각과 정신의 융합(conversion of sense and spirit)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예이츠와 엘리어트는 제각기 다른 시적․철학적인 방법으로 union에 관한 비전에 접근하고 있으나, 이 두 시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들의 시적체험을 통해 이상과 현실세계간의 부조리를 해소할 수 있는 평화와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5,400원
        2.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T. S. 엘리엇(Eliot)의 「리틀 기딩」(“Little Gidding”)에 구 현되어 있는 시적 ‘논리’의 윤곽을 파악하고자 한다. 니콜라스 페라 (Nicholas Ferrar)의 종교적 공동체가 있었던 리틀 기딩에는 엘리엇이 자 의식을 가지고서 구축한, 고전주의자, 왕당파, 그리고 국교도로서의 정 체성이 새겨져 있다. 나아가서 그곳은 시간 속에 그리고 그와 동시에 시간 밖에 존재하며 성육신(the Incarnation)에서 인간의 속성과 신의 속 성이 만나듯 역사적이면서 동시에 초월적이라고 상상된다. 「리틀 기딩」 은 계절의 기적적인 교차(“한겨울의 봄”)를 앞세우며 시작하는데 이는 시 전체를 특징짓는 역설이며 수사와 주제의 차원에서 동시에 기능한 다. 제2차 세계대전의 시로서 「리틀 기딩」은 4원소의 죽음을 통하여 상 징적으로 묘사되는 인류문명의 몰락을 목도하지 않을 수 없지만 노리치 의 줄리안(Julian of Norwich)이 피력하는 기독교적 비전(“모두가 평안하 고 / 만물이 평안하리”)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 비전이 구현되는 것은 불과 장미의 상징이 하나가 될 때인데, 연옥의 시라고 할 수 있는 「리 틀 기딩」의 논지를 따르자면 이러한 하나됨은 극단적으로 철저한 자기 성찰과 정화를 통해서이다.
        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엘리엇의 마지막 시 『리틀 기딩』 은 『황무지』로부터 시작된 그의 영 적 여행의 마지막 종착지라 할 수 있다. 신들의 성스러움과 상징과 신 화로부터 단절된 근대 산업사회의 도시인들은 이미 영적으로 죽어있다. 엘리엇은 글쓰기를 통해 그의 영적 여행을 시작한다. 이 순례는 미르체 아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볼 때, 속된 것으로부터 성스러운 것으로의 이 동이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잃어버린 낙원에 대한 강한 향수를 가지고 있다. 에덴에서 추방된 인간은 신을 중심으로 한 우주의 유기체적 네트 워크에서 떨어져 버렸기 때문에 영적 생명력을 상실해 버리고 속된 세 상에서 의미를 잃은 채 살고 있다. 그러나 속된 세상에서도 인간은 비 균질성의 성스러운 공간과 시간의 상징을 통해 신현을 체험하고 성스러 운 차원에 도달 할 수 있다. 엘리엇은 먼저 리틀 기딩에서 대극의 합일 을 보고, 원소들의 죽음을 통해서 신현을 체험한다. 그리고 그는 신현을 통해 성스러운 경지에 이르게 되고, 독일 폭격기가 불을 뿜으면서 런던 을 폭파하는 장면을 하늘로부터 성령이 비둘기처럼 내려오는 장면과 마 가의 다락방에 불과 함께 성령이 강림한 장면을 중첩시킨다. 가장 속된 것을 통해 가장 성스러움을 본 것이다. 이것을 통해 그는 세상에서의 성스러움은 성과속의 변증법을 통해 얻어진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주요어: 엘리엇, 리틀 기딩 , 엘리아데, 상징, 성과 속, 대극의 합일,
        4.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엘리엇은 니콜라스 페라의 영국의 종교 공동체인 리틀 기딩에서 자신의 앵글로 가톨릭의 종교적 정체성을 찾았다. 엘리엇은 「리틀 기딩」에서 자신의 신앙과 믿음의 교리인 성육화를 제시했으며 성요한의 십자가나 단테와 같은 가톨릭의 신앙의 전통을 시에서 구현했다. 엘리엇은 리틀 기딩 공동체와 관련된 역사에 주목하며 찰스 1세와 청교도간의 종교전쟁이 인간의 욕망이 신앙의 이름으로 변한 역사적 사건이 역사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인은 시간 속에 영원이 내려오는 성육화가 정점으로 표현되는 신비를 리틀 기딩에서 체험하며 자신의 죄를 깊이 인식하며 역사에서 은총의 순간이 정점이자 성육화라는 앵글로 가톨릭적인 신앙의 정체성을 제시한다.
        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lecture for Ihe T. S. Eliot Inlernational Summer School on the grounds of Little Gidding aims 10 reconstrucl Ihe exlent of Eliot's knowledge of Lilt1e Gidding before his firsl visil in May 1936, five years before he began 10 compose lhe poem in luly 1942. In a reading of “Little Gidding," Ihe 1eclure goes on 10 show how E1iol’s fami1iarily wilh Ihe lives and activities of Ihe Nicholas Ferrar family from 1625 10 1937 manifests ilself in the imagery and enhaoces Ihe sense of place and history that he creates in the poem. Drawing upon his correspondence aboul the composition of the poem, particularly his desire 10 build into its texture an “acute personal reminiscence, never to be explicated," the leclure concJudes Ihal “Little Gidding" is in part a love song of great loss and deep regret, and Ihal in the “11 sub1imation of his 10ve for Emily Ha1e, his Beatrice, he comp1etes his own Vita Nu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