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cultivar ‘Seonpung’ was developed for soy-paste and tofu. Suwon 224 and YS1325-3S-2 were crossed in 2003 and selected from F3 to F5 by pedigree method. The preliminary yield trial (PYT) and advanced yield trial (AYT)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0, and regional yield trial (RYT) in twelve regions was conducted from 2011 to 2013. In RYT, ‘Seonpung’ was stable in variable environments and a high yield cultivar. ‘Seonpung’ is determinate, white flower, yellow spherical seed and yellow hilum. Flowering date and maturity date were Aug. 5 and Oct. 19,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similar to ‘Daewonkong (standard cultivar)’. However ‘Seonpung’ has higher node number (16) and seed weight (25.9g/100-seed weight) than ‘Daewonkong’ (14 and 24.2g/100-seed weight). ‘Seonpung’ is resistant to root rot, and it also has high level of resistance to bacterial pustule and soybean mosaic virus. The yield of tofu of ‘Seonpung’ was 241%, and noticeably lighter, and solidity was higher than ‘Daewonkong’. Soybean malt scent, fermented soybean yield and γ-polyglutamic acid (γ-PGA) of ‘Seonpung’ were 4, 181% and 31.7㎎/g. The yield in adaptable regions was 340kg/10a (21% increase compared to ‘Daewonkong’). ‘Seonpung’ is expected to be cultivated and used widely for soy-paste and tofu. (Registration number: 5931)
        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콩의 재배면적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연간 1인당 소비량은 8kg을 유지하고 있어 식용콩의 자급율이 30%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콩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수량성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여 왔 으며, 2002년 ‘신팔달콩2호’의 수량성을 이용한 ‘대풍’이 평균 3MT/ha 이상의 다수성 품종으로 개발되었으나 종자 의 배꼽색이 갈색이며 크기가 작아 보급이 확대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개선하기 위해 2012년 ‘대풍’을 모본으로 하여 종자상의 단점을 개선한 ‘진풍’이 개발되었으며, 2013년에는 ‘진풍’보다 종자가 굵고 품위가 우수 한 다수성 ‘선풍(밀양231호)’을 개발하였기에 그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선풍’은 ‘신팔달콩2호’에 ‘화엄풋콩’을 교배하여 대립화한 ‘수원 224호’에 ‘동산121호’와 ‘Sprite87’의 교잡후대로서 종실품위가 우수한 계통을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한 품종이다. ‘선풍’은 성숙기가 10월 19일로 현재 가장 많이 재배되는 ‘대원콩’보다 5일 늦으며, 불마름병과 SMV에 저항성이다. 종자의 배꼽색이 없고 100립중이 ‘대원콩’보다 1.7g 무거운 대립이면서 내탈립성이 강하다.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전 지역에서 ‘대원콩’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특히 중남부지역에서 평 균 3.4MT/ha로서 대원콩 대비 21% 증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