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初等學校漢字敎育은 단지 漢字학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에 있는 ‘敎科漢字語’의 의미를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익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우리말 을 정확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도 漢字敎育은 반드시 필요하다. 한글 전용정책이 시행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은 교과용 한자어를 漢字學習을 통해 익혀 온 것이 아니라 한글 낱말을 그 뜻과 함께 注入式· 暗記式으로 학습하였다. 이러 한 학습 방식은 대단히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다. 漢字의 뜻을 알고 그 漢字語의 의미를 파악한다면 분명히 그 뜻을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初等學校漢字敎育이 私敎育의존도를 높이고 초등학생들 에게 학습 부담을 줄 것이라는 의견도 현재 漢字敎育을 시키고 있는 초등학교에 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정반대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한글의 우수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오랜 세월 漢字文化圈에서 살아왔으며 우리말 의 상당수가 한자어인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漢字와 한글이 수레의 두 바퀴처럼 상호 보완을 할 수 있는 文字· 言語敎育이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5,700원
        2.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우리나라는 30여 년 동안 초등학교에서 한글전용정책을 폈지만, 私敎育市場에서는 도리어 漢字敎育熱風이 일어나고 있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은 敎科書나 專攻書籍에 나온 漢字語마저 속 시원히 읽고 뜻풀이를 하지 못하는 세 상이 되고 말았다. 대학생은 졸업 시기가 되면서 就職때문에 다 늦게 漢字工夫 에 熱中하여야 하는 세상이다. 위의 이러한 문제들은 짧은 시일 내에 解決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먼저 初等學校敎育現場에서 漢字敎育이 正規敎科로 施行되어 제 位相을 찾 을 때, 문제는 解決될 것이다. 이 논문은 오늘날 初等學校의 漢字敎育의 變遷과 그 必要性과 意義를 살펴 본 논문이다
        5,100원
        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ng Sejong created Korean characters so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express their thought freely in written communication. This is unique in the history of mankind, but as much of the vocabulary of our language consists of loan words from Chinese it must be confusing if we use only Korean characters because there will be no good ways for us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a great number of Chinese homonyms that we coined or borrowed. Therefore we have fostered a culture where we use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o minimize the possible confusion. A good look at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ll tell us that simultaneous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is more or less optional, so we elementary teachers have had this option reflected on our classroom teaching. Entering a new age of simultaneous use of Chinese characters, we teachers need to know what actually happens in the classroom to teach Chinese letters and to indicate the directions for adequate teaching.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simultaneous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 levels is to help students exercise their brain, expand their thinking and know how to pick up exact words in the context, as well as inculcating good personality. No one will discount these benefits of simultaneous use of Chinese letters. Until recently, Korea has run its national system and nurtured its culture through the Chinese transcription. Therefore, passing on and developing the rich linguistic legacy will undoubtedly result in maximizing the potential of our nation. However, as the power system changed, our country`s literacy policy changed too often, which we know caused confusion. Also, in the dimension of national education, some narrow-minded policies led us to the path of localism. It is thus more than imperative that we teach both Korean and Chinese letters to our children since we live in the 21st century and in the Global Village. For the program to be successful,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awareness of the pedagogical importance by the principals and their assistants who are the managers of the educ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to the implementation by the teachers in the classroom aided by a variety of off-the-job training programs, seminars and symposiums.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educational policy to get people to make use of Chinese characters which account for 70 percent of our day-to-day use of written language. In sum, starting from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re must be a simultaneous use of this graphic system in the Korean textbooks, which will in time instill the notion of efficiency and economy.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