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글은 부소산성의 조사현황을 살펴보고, 체성의 형태에 따라 특징을 분석하여, 초축과 수축의 동인이 될 만한 자료를 바탕으로 부소산성의 초축과 수축을 설명하고자 작성하였다. 부소산성은 체성의 형태에 따라 5개로 구별된다. 정교한 판축토성인 포곡식성의 A형, 포 곡식성의 내부를 폐와와 토사를 넣어 내부를 올린 B형, 장방형 석재로 쌓은 사자루성의 C 형, 기단석렬을 배치한 영일루성의 D형, 토석 혼축의 E형이다. 1. 538년 봄 백제는 사비로 천도를 단행하였데, 이때와 연관된 성벽은 순수판축토루로 만들어진 A-1형과, 부여나성과 유사한 A-2형이다. 이 차이는 수축 혹은 축조기법의 차이 일 수 있다. 만약 수축이라면 630년의 사비궁 중수와 연관된다. 2. 660년 7월 사비도성이 나당연합군에게 함락되고, 부소산성은 당군의 주둔지가 되고, 671년 신라는 부여에 소부리주를 설치한다. 이와 연관된 성벽은 포곡식성 내부를 기와편과 흙으로 쌓아 올린 B형이다. 3. C형은 돌로 쌓은 사자루성의 남성벽으로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쌓았다. 4. D형은 영일루성이다. 기단석렬과 흙으로 만들어진 성벽으로, 영정주의 간격은 약 4m 이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부여 호족세력에 의해 축성되었다. 5. 󰡔세종실록지리지󰡕에 부소산성이 청산석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성벽이 E형이다. 흙 과 돌로 이루어져 있고, 14세기 말 ~15세기 초에 만들어졌다. 6. 이와 같은 부소산성은 18세기 이후 기능이 상실되었다.
        6,400원
        2.
        202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 배산성 북쪽 성벽구간 발굴 결과, 삼국시대 초축 성벽과 통일신라시대 개축 성벽이 함께 조사되었다. 삼국시대 초축 성벽은 수직식성벽으로 하부에 기단석축과 기단보축이 함 께 설치된 구조이다. 수직식성벽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측력으로 인해 붕괴 위험이 높다. 이 를 보완하기 위하여 계단식내벽을 쌓아 측력을 일부 흡수하기도 하나 장기간에 걸쳐 누적된 압력으로 인해 결국 수직식성벽은 붕괴되고 만다. 수직식성벽은 적들이 등성하기 어렵다는 장점은 있으나 붕괴 위험이 높아 통일신라시대에는 층단식성벽 축조기법이 등장한다. 외벽 의 성돌 크기는 더욱 커지고 가공 수법은 판상형 할석에서 장방형 또는 방형 할석으로 바뀐 다. 바른층쌓기 수법은 더욱 정교하게 적용되고 기단보축은 소멸한다. 두 가지 축조수법이 확인된 배산성 초축 시기는 6세기 중엽경, 개축 시기는 8세기 중엽경으로 약 2세기의 시간 차가 있다. 신라 경덕왕 16년(757) 12월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고쳤다는 기 록이 있는데, 배산성 개축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그 동안 동래군 치소성(행정 읍치)으로 동 래고읍성을 지목하여 왔으나 고읍성 축성은 배산성 개축 시점보다 후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다. 따라서 배산성은 고대 부산의 행정 치소로 오랫동안 기능하여 왔으며, 고읍성이 축성된 이후에는 행정 기능은 자연히 이양되지만, 배산성은 여전히 방어적 배후산성으로 활용되었 던 것으로 여겨진다.
        6,400원
        3.
        202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제 한성기 왕성으로 비정되고 있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성벽 축조기법에 대하여 살 펴보았다.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은 서로 다른 지형에 축조되었기 때문에 성벽 축조기법에서 기본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지면 지정과 기초성토에 의한 기저부 조성방식 등에서는 축조기 법의 공통점도 확인된다. 江岸 평지에 축조된 풍납토성은 자연제방의 구지표면을 정지하고 기초성토를 한 후 그 위에 판축틀(거푸집)을 설치하여 版塊를 축조하는 방식인 판축기법으로 축조하였다. 성벽의 구조는 중심토루와 중심토루의 내·외벽면에 덧붙여진 토루로 이루어졌으며, 판괴를 순차 적으로 덧붙여가며 축조하는 分段法에 의해 성벽이 완성되었다. 반면, 구릉과 평지가 복합 된 지형에 축조된 몽촌토성은 지형에 따라 축조기법의 차이가 엿보인다. 성벽 축조구간이 평지인 경우는 풍납토성과 같은 판축기법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구릉 지 역의 경우는 구릉의 자연 경사면을 2~3단의 계단상으로 깎아내고 그 위에 성벽을 축조하 였는데, 구간에 따라 다소 축조기법의 차이가 확인된다. 즉, 북서벽 구간은 판축틀을 설치 하여 축조한 양상이 확인되었고, 동벽 구간의 경우는 성토기법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판단 된다. 이렇듯 성의 입지에 따른 두 성의 축조기법상의 차이가 있지만, 축조기법상의 공통점도 확인된다. 즉, 지면과 성벽의 유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성벽 기초부의 내측 혹은 외측에 해당 하는 부분의 지면을 얕게 굴착하여 끝부분이 돌출되게 지면을 지정하는 기법, 성벽 기초부 에 뻘 혹은 점질토를 이용하여 기초성토를 하는 방식, 기저부 보강 방법의 일환으로 토제를 시설한 것 등은 두 성에서 모두 확인되는 축조기법이다.
        7,700원
        4.
        202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차산 능선에서 가장 남단에 위치한 홍련봉 2보루는 평탄지(고대지)와 함몰지 2개의 지 형으로 구분되었으며, 함몰지의 협축성벽은 남한지역의 다른 고구려 보루에서는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은 독특한 구조로 주목된다. 대부분의 고구려 보루들은 산 정상부에 따로 내벽 을 쌓지 않고 한쪽 벽을 쌓는 편축식의 성벽을 갖고 있으나, 홍련봉 2보루의 경우 절반은 편 축, 나머지 절반은 협축식으로 축조하는 독특한 형태이다.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의 석축성벽은 규모나 축조된 곳의 지형에 따라 일부 차이는 있으 나, 기본적으로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양주분지와 한강일대 소규모로 축성된 보루 의 성벽은 지형에 맞춰 산 정상부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두르는 형태인데, 크게 기초부, 토축부, 석축부로 나눌 수 있다. 즉 기저면 조성층에 석축성벽과 함께 사질토를 층층히 쌓아 뒷채움 하여 편축식으로 성벽을 축조를 한다. 하지만 임진강유역의 강안평지성은 협축식 성 벽으로, 소형의 보루들과는 다소 구분되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하지만 협축으로 조성된 차이만 있을 뿐, 기본적인 구조는 한강유역의 다른 보루들과 같이 기초부, 석축부, 토축부로 구분되어지는 형태를 보인다. 홍련봉 2보루의 평탄지는 다른 보루들과 마찬가지로 토축부를 조성하며 대지를 조성하 고 석축성벽을 편축식으로 조성하는 형태이다. 하지만 함몰지에 축조된 협축성벽은 다른 한 강유역 보루들의 성벽과는 구분되지만, 임진강유역의 강안평지성과 같은 방식으로 협축성 벽이 축조되어졌다. 즉 홍련봉 2보루 함몰지의 협축성벽은 강안평지성과 같은 토축부+내· 외석축벽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협축성벽의 외벽은 영정주를 기준으로 수직에 가깝게 석 축부와 토축부를 같이 올렸다. 특히 내벽은 자연 경사도를 주어 안정적인 각도로 석축을 올 렸으나 외벽은 나무기둥과 석축으로만 마무리한 점, 토축부에서 횡장목은 확인되지만 판재 를 설치하기 위한 종장목은 확인되지 않는 점을 볼 때 토축부는 종장목과 협판 없이 석축이 판재의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홍련봉 2보루의 성벽은 다른 보루들과는 다소 구분되지만, 임진강 일대부터 한강 유역까지 조성된 다른 보루나 평지성들과 같이 동일한 형태의 축조방식이 적용된 것이다.
        5,800원
        6.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라왕조의 석축 산성에서 조사된 성벽을 관통하는 배수장치에 대한 기왕의 연구를 보충하였다. 조사된 사례가 3개소에서 12개소 이상으로 증가된 고고학적 발굴조사 성과를 반영하여 형식적 구분을 다시 하였다. 성곽에서의 배수장치로서의 수문은 교량형(橋梁形)과 암거형(暗渠形), 누조(漏槽)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이글에서는 특히 성벽 통과형 암거형식을 다루고, 그 시설된 숫자에 따라 단구식(單口式)과 다구식(多口式)을 구분하였다. 다구식은 성내의 수위 변화에 대비하여 수위(水位)에 따른 배수가 가능하게 만든 것들이다. 종래 출수구(出水口) 외면의 형태에 따라 형태를 구분하였던 점을 고쳐서 입수구와 출수구를 잇는 수로의 횡단면 형태에 따라 오각형, 사다리꼴, 사각형에 추가하여 삼각형의 유형이 있음을 새로 추가하였다. 이중 가장 보편적인 사례는 방형 단면의 것들이며, 이런 형태는 신라 하대에서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 후기까지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있는 반면, 나머지 형태는 신라의 5세기 후반에서 7세기에 걸쳐 다양하게 축조되었다. 이들 여러 형태 가운데 단면 사각형은 중세와 근세의 산성까지 가장 오랫동안 시설되었다.
        11,700원
        7.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8.
        200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9.
        200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