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에 분포하는 백악기 육성퇴적층 중 경상누층군 퇴적물의 기원지 조성과 조구조 환경에 대한 연구는 활발 하게 이루어진 반면에 그 외 퇴적층에 대한 사암의 암석학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기장군 일광 읍 신평리 해안가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의 사암을 대상으로 암석기재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기원지의 특성 에 대한 예비 해석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천리층 사암은 미성숙한 조성과 조직을 나타내며 백악기 당시 유라시아 동쪽 연변부에서 일어난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해 융기하여 발달한 화산호로부터 단시간에 퇴적물이 생성되어 운반된 것으 로 보인다. 그리고 사암 내 부수광물로 크롬 첨정석이 다수 관찰되는데, 이는 기원지에 초고철질암이 분포하였음을 의 미한다. 향후 추가 연구를 바탕으로 크롬 첨정석 기원암의 형성 환경 뿐만 아니라 이천리층 퇴적 당시 경상분지 동남 부의 조구조 환경에 대한 해석과 경상누층군과의 층서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e life of Lee Cheon (1376-1451) who was closely connected with astronom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Lee Cheon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outstanding scientists of King Sejong’s period. However, his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astronomy during the period have not been enlightened.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Lee Cheon, mainly referring to the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address three important points. First, Lee Cheon was a distinguished administrator who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Second, he was a supervising engineer in public works and metal smelting during his position in military. Third, he was a scientific technician and manufactured precision equipment such as the metal movable type sets. By virtue of these aspects, Lee Cheon was taken into confidence by King Sejong on the Ganui-dae project (i.e., manufacture various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onstruct their platform in order to make a calendar suitable for Joseon). During the period of this project, Lee Cheon not only supervised the construction of the Ganui (simplified armillary sphere) and Ganui-dae (platform for astronomical instruments)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astronomical instruments such as Gyupyo (Gnomon) and Honcheonui (Armillary Sphere). In conclusion, we regard Lee Cheon as one of the astronomers who led a great advance in astronomy during King Sejong’s era.
        4,200원
        4.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cheon-si (Gyeonggi-do). This work was investigated during the April to November in 2011. Some areas 2002, 2004, 2007 collected data were used. Vascular plants based on voucher specimens were summarized as 547 taxa, including 99 families, 313 genera, 475 species, 4 subspecies, 58 varieties, and 10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47 taxa, 6 Korean endemic species, 7 rare plants and 43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A naturalized plants were 47 species, correspond to 14.6% of totaling 321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5,200원
        5.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the perception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n Ge-Geol radish that has been grown in Icheon area. A total of 385 (male 118, female 267) aged over 20 years who lived in Icheon a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June 2006. Seventy five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were recognized Ge-Geol radish, and only the 40.8% of them were recognized as regional special agriproduct exactly. And the rate of the subjects who had experience to eat Ge-Geol radish was just 40.8%. While preferences on Ge-Geol radish were relatively high among the subjects who have experience to eat. Reasons for liking were 'distinctive (43.8%)', 'eat from a child (24.5%)', 'tasty (15.1%)', and 'nutritious(8.3%)'. Reasons for disliking were 'rough texture (54.8%)', 'tasteless (9.7%)', 'unique smell (9.7%)', 'undesirable color (6.5%)', and 'indistinctive (6.5%)'. Also, most of the subjects considered the need for the succ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Ge-Geol radish. Therefore, for expanding utilization of Ge-Geol radish, it should be contacted easily from a child and be developed as products suited to the consumer's needs by various cooking and processing methods.
        4,000원
        6.
        200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200원
        10.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이천에서 2002년 7월부터 12까지 총 6개월 동안 측정된 지자기 3성분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각 성분의 스펙트럼, 지자기 전달함수의 크기, 위상, 오차 등을 계산하였다. 지자기 스펙트럼은 관측기간 동안 태양활동에 의한 무작위적 강약이 반복되는 형태를 보여주었고, 유의미한 시간적 변동은 존대하지 않았다. 지자기 전달함수의 크기, 위상, 오차의 경우, 주기 100초 이하와 주기 1000초 이상에서 부분적으로 무작위적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시간에 따른 증감추세 없이 대체로 안정적인 값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전기장의 P1 0 소스(zonal harmonics) 가정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근사적인 겉보기 전기비저항의 변동을 조사하였는데, 근사된 전기비저항의 변화는 지각의 자체적인 물성 변화보다는 수평 자기장 성분의 시간적 강약에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12.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3.
        200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4.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6σ의 DMAIC, Ford의 8D 프로세스, 품질기술 분임조 개선활동, PDCA, S-PPM, 100PPM 개선활동, Feigenbaum, Juran 등이 제시한 다양한 문제해결 또는 품질, 공정, 경영혁신 등의 기법을 상호 비교하여 통합(Fusion), 공유(Sharing)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며, ISO 9001:1994, 2000에 의한 품질시스템, 품질코스트(COQ)와 의 통합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5,200원
        15.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6.
        199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7.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8.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종방법을 달리한 논생태계내 절지동물의 군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담수직파, 건답직파, 이앙구의 3포장과 이천에 위치한 담수직파, 이앙구 2포장을 선정하여 1994년도에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총 15목 45과가 채집되었다. 절지동물군집을 기능군(길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파종 방법에 관계없이 밀도가 '천적군>해충군>비해충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충군에는 멸구과(Delphacidae)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와 매미충과(Cicadelidae)의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이 우점종들이었고 전체 해충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파종방식에 따른 해충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천적군에서는 거미류가 전체 천적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배회성 거미(hunting spider)와 50% 이상이었고 늑대거미과(Lycosidae)의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os. et St.)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조망성 거미류(webbing spider)에서는 갈거미과 (Tetragnathidae)의 턱거미(Pachygnatha clerki Sundevall)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파종방식에 따른 거미군 집구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비해충군은 본답 초기에 깔따구류 등의 파리류가 주종을 이루었고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파리류의 발생은 기계이앙구보다 직파구에서 많았으며 특시 건답직파구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4,300원
        1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있어서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는 널리 재배가 되고 있지만 실제로 농가의 포장에서 옥수수의 사초로서 이용에 관한 연구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 여주 및 이천에서 1988년에 8개 농가 1989년에 13개 낙농가를 선정하여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재배 실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1988년에 농가생산 옥수수의 암이삭 착생주율은 75.3%. ha당 재식밀도는 75,826주, 암이삭 비율은 38.3%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2
        4,000원
        2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rural tourism by analyzing how they are run, especially in Yangpyeong-gun and Icheon-si Nadri groups, and to further look for the desirable role they should play. Since the activities of these intermediary groups have not been accumulated enough to be able to be used for a study, grounded theory was adopted as deemed appropriate among other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for this paper. Three main finding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ural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leaning towards local villages more than visitors, although they are in the middle of a spectrum stretching between 'visitors to the green villages' on one end and the 'green villages' on the other end. Second, the intermediary groups work not just as a bridge among different green villages but also as a mediator, facilitator and a guide, noting that such roles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petence of the groups themselv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government steps in. Third, the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can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building, going beyond the boundaries of green village. They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tour experience which leads to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nd during the course of operating the intermediary groups, the community in the village can set up rules and resolve disputes and conflicts. Thus, the activities of the groups have the potential to create a local community by affecting not just at a village level but to a broader area where their operation is based o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in three ways. First, the paper looked at the interaction between rural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 in a comprehensive way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aken. Second, it identified the role and tasks of rural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Third,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play the local community-oriented rol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