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상 식재료이자 음식인 평범한 ‘미나리[芹]’는 많은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인하여, 兼濟天下의 마음을 가진 士大夫 지식인의 다짐이고 忠情이었으며, 완전한 자기완성 을 위한 비움의 실현, 즉 ‘淸貧’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본 논문은 중국문헌과 詩詞 속에 그려지고 있는 미나리의 상징성을 탐구해보고, 그를 통해 단순한 음식으로서의 미나리와 문화표징으로서의 미나리가 가지는 문화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6,0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 선교에 대한 학문적 접근과 이론적 차원의 담론을 넘어 실천적 차원에서 지역교회 사례들을 바탕으로 호주 디아스 포라 사역 현장을 담아, 국내에 들어와 있는 다문화 이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문화 선교를 준비함에 있다. 현재 다문화 가족 300만을 앞둔 한국 교회가 바른 신학적 실천(orthopraxis)과 함께 선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신학적 공감 능력(orthopathos) 을 함양하도록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로 살아가는 이들의 아픔과 고통의 경험을 연대하여 그들을 선교 신학의 주변(marginality)에서 주체로 환대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호주와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아스 포라 교회의 선교적 실천 가운데 디아스포라를 넘어(Beyond) 디아스포 라와 함께(With) 사례 연구에 초점을 두어, 현재 다문화 사역이 진행되고 있는 한국 교회들과 다문화 사역의 필요성을 접한 지역교회들 에게 실천 가능한 구체적 모델들을 보여주어 국내 다문화 사역 현장의 난점들을 극복하며 ‘디아스포라와 함께하는’ 사역을 권장하는 데에 있다.
        7,7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Yong-han. 2015. “A Study on the occurrence motives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Military-humor Tex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113~ 145. Humor can be the main subject of sociolinguistic research since it indirectly reflects how people, who actually produce and enjoy humor, think about the main issues of their community. The military employs many forms of humor within its organization to relieve tensions in communication. As humor helps people to resolve the anxieties and rigid thoughts and become more flexible, various contents and forms of humor are produced and circulated within the military. With the subject of military-humor text consisting of contents relating to military society,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motivation of humors that were produced and enjoyed as a narrative by current and previous military personnels and also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 reflected in that humor text.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verify various traits of the military using linguistical approaches. While military-humor texts do indirectly disclose the negative aspects of society, protects one's self-confidence and resolves repressed desires, it is also produced and enjoyed by a number of people simply for entertainment. These military-humor texts also include socio-cultural implications such as double perceptions towards military service, rank-orientedness, authoritarianism, de-individuation, isolationism, formalism, and thinking rigidity. I ho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found useful in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8,000원
        4.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정의와 실태 그리고 정책적인 지원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다문화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의 국제조류에 따라 우리나라 현 사회의 변화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과 현장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본론에서는 이를 위한 구성요소인 다문화 가족의 정의와 각종 실태 및 현황 그리고 정책의 지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다문화 사회의 고찰에서는 결론적으로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우리 사회에서 장기적인 전망과 단계적 전략을 정교화 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우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실을 바로 진단하고, 어떤 다문화주의를 적용할 단계인지 지속적으로 논의한 이후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 사회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주도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정부와 시민 사회 구성이 협력할 수 있는 구조를 고안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5,200원
        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Ye-Sug. 2004. A Study of the Social, Cultural Connotations of French Personal Pronoun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2).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cultural connotations of French personal pronouns. The second person pronoun divides into TU and VOUS. In the past, TU was used when the speaker of high standing calls a person of low birth. VOUS was used by the latter calling the former. Between persons of high rank, VOUS was used reciprocally and between persons of lower classes TU was in the reciprocal usage. At the time of the French Revolution, TU was considered as the real pronoun for the citizens whereas VOUS was rejected as flattering, causing inequality. But a few years later, VOUS began to be used again. The change was made by the way that the use of TU presents familiarity between speaker and hearer, and no more equality. So nowadays, the choice of TU/VOUS depends principally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not on the vertical relationship. Other terms of address like 'Monsieur', 'Madame', 'Mademoiselle', the first name and the last name come join TU/VOUS and make the most appropriate mode to call or indicate persons.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