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룬드대학은 중국어 교육의 주요 기지이며, 중문과 전공의 초급 단계 학 생들은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10년이 넘게 『初級漢語』라는 자신들이 편찬한 교 재를 사용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스웨덴어와 중국어를 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갑급 단어와 비교해 본 결 과, 약 41%의 갑급 단어가 『初級漢語』에 보이지 않는다. 『初級漢語』의 단어가 이렇게 된 이유는 한자의 출현 순서에 따라 본문의 내용을 따라갈 뿐,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단어 등급과 한자 등급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 도 전문적인 한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한자의 규칙을 학습하 는데 매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 는데 일정 정도의 어려움이 있다. 본고는 비한자문화권 초급 단계 학생들에게 어휘와 한자를 교육하는 방법을 제 시함으로써, 향후 비한자문화권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어휘와 한자 교육에 대해 토의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5,100원
        2.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외 한자교육은 대외한어(중국어)교육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다. 역사적인 문화적 공통성으로 인해 대외한자교육 중 일본, 한국과 같은 한자문화권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과는 다른 교육 관점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 본문은 상형 이론을 적당 히 응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하고, 형성 이론을 이용하여 한자 교육의 효율 을 증대함으로써, 공통 문화를 매개로 삼아 한자 배후에 숨겨져 있는 세 개 방면 을 분석함으로써 한자학에서 이미 이루었던 연구 성과와 대외 한자교육이 서로 결합되는 원칙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한자학의 연구 이론과 대외한자교육을 연결 시키는 과정 중에 “適度教學聯繫”을 전제로 한 것은 대외한자교재 개발에 있어 유효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대외한자교육 교재의 단점을 분석함에 있어 그 역 사와 현실적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개발될 교재 편찬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였다.
        4,900원
        3.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漢字敎學은 중학교까지 3500자(초등학교 3000자)를 실시하되, 초등학 교 1, 2학년에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漢字敎學法은 우리와 중국이 유사하지만 중국이 우리보다 다양하다. 우리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중국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 로 한 誦讀法, 會意形聲原理識字, 偏旁활용 識字등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실시한다. 우리와 중국 모두 한자교학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자전 찾기, 图画등 을 이용하지만 중국은 漢語拼音을 교학하고, 이를 통해 識字敎學을 하기도 한다. 중국은 간체자로 인해 육서 이용, 결구 분석 등을 통한 敎學이 불리하지만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은 유리하다. 최근 중국의 일부 초등교재는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한자의 形音義사이의 聯想작용을 방해하고, 한자 를 저열한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의 ‘漢字敎學法은 聲符활용 敎學法, 결구분석을 통한 字源활용 교학법, 만 화, 그림, 사진, 컴퓨터 등 매체를 이용한 교학법이 연구되었다. 우리의 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개인적 연구 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雙拼電腦識字, 解形識字, 電腦字根識字,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등이 연구되었다. 중국의 識字敎學法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지방정부 차원의 연구 과제로 수행되고 실험을 거친 것들이라 공신력이 크다. 최근 중국의 한자교학은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識字法은 관심을 가질만하다. 우리나 중국 모두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멀티미 디어, 인터넷 등 매체를 활용하여 한자를 교학하지만 매체이용은 우리가 중국보다 다양하고 화려하다.
        9,900원
        4.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韓・中 漢字敎學 比較 1. 韓國의 漢字敎學 1) 韓國의 漢字敎學 目標 우리의 漢字敎學은 중학교에서, 중국은 초등학교 그것도 1, 2학년에 집중적으로 실시된다. 우리의 漢字敎學 목표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1, 2, 3학년의 영역별 구체적인 敎學內容을 개술하면 다음과 같다. 2) 韓國의 漢字敎學 內容 ① 한자의 형‧음‧의를 안다. ②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안다. ③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④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⑥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 ⑦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3) 韓國의 漢字敎學 방법 및 資料 한자교학 지도방법은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지도한다. 교수․학습 자료는 카드, 융판, 괘도, 컴퓨터, OHP, 실물화상기,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매체 자료를 포함한 각종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중국의 識字敎學은 어떤 敎學法을 사용하던 최근에는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1) 中國의 識字敎學 目標 중국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9개 학년을 통합 설계하고, 識字方面의 구체목표는 汉语拼音을 배워 普通话를 구사하고, 3500자 정도의 常用汉字를 알며(중학교 500자 포함) 汉字를 쓸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단계별 목표에서 초등 1~2학년은 常用汉字 1600~1800자를, 3~4학년은 2500자 를(누적), 5~6학년은 3000자를(누적) 익히고 대략 2500자 정도를 쓸 수 있게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內容 교학내용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汉语拼音, 자전 찾기 등을 실시하고, 图画, 上下文 연계, 儿歌, 童谣, 간단한 古诗, 成语, 格言 등을 통해 識字한다. 3) 中國의 識字敎學 方法 및 資料 교수․학습 자료는 挂图, 工具书, 图书, 报刊, 电影, 电视, 广播, 网络, 报告会, 研讨会, 연극, 图书馆, 博物馆, 광고 등을 망라하여 활용한다. 수업은 학생 교사 쌍방의 주체적, 창조적 교감과 학생 자신의 자주적 학습력을 중시한다. 4) 中國의 拼音과 漢字敎學에 대한 認識 변화 최근 중국의 識字敎學은 일부 초등학교 교재에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다. 이의 가장 큰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피동적인 교육이 되고, 形音義 사이의 聯想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Ⅱ. 韓・中 漢字敎學法 硏究 1. 韓國의 漢字敎學法 硏究 聲符활용 敎學法 : 형성자의 聲符, 同源字 이론을 응용한 聲符 활용 敎學法字源活用 敎學法 : 結構分析, 부수편방 이용, 破字, 構形學 이론 적용 매체이용 敎學法 :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敎學法硏究 特徵 : 국가, 지방정부 차원이 아닌 개인연구 2. 中國의 識字敎學法 硏究 字音活用 敎學法 : 聽讀識字, 拼音識字, 閱讀識字, 有廣東特色的‘注音識字’敎學, 韻語識字 字源活用 敎學法 : 部件識字, 解形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字謎識字, 結構分析法, 字義識字敎學法分散集中 敎學法 : 分散識字, 集中識字 매체이용 敎學法 : 雙拼電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多媒體電腦輔助學習漢字, 計算機輔助識字敎學法硏究 特徵 :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파급력과 공신력이 큼.Ⅲ. 韓・中 漢字敎學 比較 중국과 우리의 교수․학습 방법, 내용, 자료 등은 유사한 점이 많다. 1. 敎學量과 特徵 중국 : 초등학교 3000자, 중학교까지 3500자를 識字한다.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常用汉字 1600~1800자를 익히고, 그 가운데 800~1000자를 쓸 수 있게 하는 집중식자를 한다. 한국 : 중학교 900자 敎學(1, 2, 3학년 각 300자) 중국이 우리보다 월등히 많은 한자를 敎學한다. 단 중국은 모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한자를 敎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고등학교까지 1800자 식자는 그리 적은 편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2. 敎學內容 中國 : 중국은 識字, 寫字, 拼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등을 통해 식자한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교학하기 위해 쓰기, 偏旁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字音과 字義 장악하기,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 알고 쓰기 등을 교학 한다. 韓國 : 한자의 형‧음‧의와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한자의 형성과정과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우리 교재는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활용하고, 육서 원리, 자전 찾기, 字音, 同部首字, 同義利用, 類似漢字, 편방분석, 상대어, 유의어, 각종 첨단 매체를 활용한 한자교학이 이루어진다. 단, 중국의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를 알고 쓰기는 없다. 3. 敎學方法 中國 : 識字敎學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로 한 誦讀法, 會意, 形聲原理 識字, 偏旁 활용 識字, 쓰기를 통한 識字 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시한다. 중국도 우리의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을 실시하지만,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자료 :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컴퓨터 등을 활용 韓國 :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을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등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교학한다. 중국에 비해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이 미약하다. 4. 長短點 韓國 : 우리의 한자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한자학 수준의 저하와 개인적 연구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 우리는 繁體 사용으로 結構를 分析하거나, 六書를 활용한 교학에 유리하다. 또, 그림, 말풍선,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은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中國 : 簡體字로 인해 六書, 結構 分析 등을 통한 漢字敎學에 불리하다. 단,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 노래, 破字 등을 활용한 교육에 장점이 있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 識字法은 우리가 응용할만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