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conducts a textual research on the character of ‘畑’ in Grand Chinese Dictionary. Through reviewing Buddhist scriptures and secular literature, the article points out that ‘畑’ is a Japanese character signifying the ‘upland field’. The word of ‘田畑’ found in the scriptures is a Japanese one with two meanings: one, the ‘paddy field and upland field’, and the other, the ‘field’. In Japanese, the former is expressed by ‘田’ and ‘畑’, yet, in Chinese, by adding modifiers before ‘田’. Therefore, when entering into Chinese, ‘畑’ comes to have the same meaning and usage as ‘田’. For this reason, the article considers it possible for ‘畑’ to be a variant of ‘田’ in the Chinese literature. Moreover, ‘畑’ can be thought of not only as a formal variant of the folk character of ‘烟’ but also as a mistaken character of ‘油’ in the scriptures.
        5,5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makes a textual research on the characters of “机”, “据”, “據”, “𤧫”, “脺”, “熇”, “㸌”, “薳”, “𨗨”, analyzing the reasons for the Homograph. Through consulting various kinds of literature, this paper makes a supplementary explanation for the missed sounds and meanings of Grand Chinese Dictionary in order to put forward personal opinions on the editing and editing of contemporary large-scale dictionaries, and also contributes to the analysis, examination, and compilation of identical words in large-scale dictionaries.
        5,200원
        3.
        201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語大字典』 제2판은 모두 60,370개의 표제자를 수록하고 있다. 범례에 따르면 중요한 원칙 에 따라 한자 자음의 역사적 변화와 발전의 원칙을 적당하게 반영한다라고 되어 있다. 곧 한자의 현대음, 중고음, 상고음을 표기하고, 그 중 중고음의 반절은 『廣韻』과 『集韻』을 주요 근거로 삼았다. 그러나 세밀히 이 자전에 표기된 중고음을 관찰해 보면 간혹 실수 혹은 누락된 것이 보인다. 자서와 운서에서 다르게 읽히는 것 또한 토의할 만한 내용이다. 본문은 『經典釋文』을 비롯하여 『廣韻』, 『集韻』 등의 중고 문헌을 토대로 『漢語大字典』 제2판 중 “虫”, “觀”, “治”, “閧” 등의 한자의 음표기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다음 수정판의 제작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4,000원
        4.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출판된 『漢語大字典』은 기존의 자서에서 보였던 오류나 수록 글자 수,자형의 통일 등의 문제에 있어 초판에 수정을 하는 동시에 근래 이루어진 언어문자학과 사전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주음이나 석의(釋義), 용례의 제시와 검색 등 여러 방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한어대자전은 수록 한자에 있어 고금의 자형을 함께 수록함으로써 책의 부피가 대형화 되었으며, 일반 대중화되고 제2판도 수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러 방면에서 소홀하거나 잘못된 부분들이 존재하고 있다. 본문은 『한어대자전』 제2판 중에서 “厲”, “匡”, “共”, “仵”, “假”, “匕” 등의 한자가 석의(釋義) 상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를 지적하고 그에 대한 견해를 밝혀 다음 수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4,600원
        5.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y contrasting the two representative dictionary from ancient to modern of WuhouqingZihai(《五侯鯖字海》)with HanyuDazidian (《漢語大字典》),we come to conclusion:“ying(孾)”,girl, this is to retain the“ying(孾)” original meaning;“ying(孾)”,“baby”, this is the uprising of the“ying(孾)”.“Pā(􀁪)”, the voice of stone cracking;“bā(玐)”, the voice of Jade;the two are not variantions, but the voice of the two are similar , so can pass.“Miào(􀁫)”, meaning “the name of the drug”,“yào(藥)”had false from “lè(樂)”in the process of copying.“Suǒ( )”, meaning“zhī(只)”,“zhī(只)” had false from “bèi(貝)”in the process of copying;“suǒ(瑣)”is the new words from “suǒ( )”.“Yú(臾)”is original meaning of the justice for catch hair bundle while dragging, and pictographic characters, “kuì(㬰)”is original meaning of the lifting apparatus, and the pictographic character;“kuì(㬰)”and“kuì(蕢)” are variantions. “réng(礽)” is divide variant of“réng(仍)”. “Zhī(祗)”and“zhī(􀁭)”,the samesound and meaning, the radicalchoice ofthe sameconfigurationheterogeneous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