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sual inspection methods have limitations, such as reflecting the subjective opinions of workers. Moreover, additional equipment is required when inspecting the high-rise buildings because the height is limited during the inspection. Various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detect concrete cracks due to the disadvantage of existing visual inspection. In this study, a crack detection technology was proposed, and the technology was objectively and accurately through AI. In this study, an efficient method was proposed that automatically detects concrete cracks by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with the Orthomosaic image, modeled with the help of UAV. The concrete cracks were predicted by three different CNN models: AlexNet, ResNet50, and ResNeXt. The models were verified by accuracy, recall, and F1 Score. The ResNeXt model had the high performance among the three models.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designed by applying it to the experiment.
        4,000원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들어 비행정보에 대한 확인기술의 발달과 소형 드론의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인하여 이동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근접 항공촬영이 가능해졌다. 특히 GPS좌표를 활용하여 경로비행의 위치를 직접 지정함으로써 조사대상지에 대한 경 로비행의 정확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정한 고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사투영 촬영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생육관리와 3D맵핑 시스템의 접목에 착안하여 정밀하고 체계적인 3D 맵핑 도면작성을 활용하여 수목의 시공과 관리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수목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화재로 지정된 수목의 경우처럼 고부가가치를 지닌 수목에는 활용도가 더 크다 하겠다. 항공사진 촬영에 이용된 UAV는 Mikrokopter사의 회전 익을 이용하였으며, 디지털 데이터의 취득은 Sony α5100을 활용하였다. 항공사진촬영 시 공간해상도를 고려하여 비행고도를 설정하였는데, 계획된 공간해상도 3Cm를 확보하기 위해 비행고도는 대상지를 기준으로 80m로 설정하였으며 촬영 시 종중복율(Endlap) 및 횡중복율(Sidelap)을 45%로 설정하여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약 4개의 스트립 비행 경로를 따라 44개의 Waypoint가 설정되었으며, 비행고도와 속도는 80m, 약 3m/sec로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광한루원의 항공사진 촬영을 결과를 살펴 보면 44개의 Wapoint 중 41개 지점에서 촬영되었으며, 취득된 디지털데이터에 비행로그데이터를 적용하여 잔차분 석을 통한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UAV에서 촬영된 41개의 디지털데이터 모두 유효한 데이터로 확인되었다. 3D맵핑 데이터제작 및 DEM분석은 Photoscan을 이용하 여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3D맵핑을 위한 데이터의 정합은 UAV 시스템에서 취득된 디지털영상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였으며, Photoscan의 자동영상매칭 기능을 이용하여 Point Cloud Data 형식의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정렬한 후 이를 바탕으로 Polygon Data 및 Texture로 변환하여 약4.5 ㎝급의 DSM을 생성하였으며, 정사투영 방식의 보정을 통해 약 3cm급의 정사영상데이터를 제작하였다. 취득된 디지털데이터를 통해 구축된 공간정보데이터의 보정 및 정확성 검토를 위해 UAV를 이용하여 취득된 영상과 GPS/INS데이터, 기상기준점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성을 검토하였다. 지상기준점측량은 RTK(Real Time Kinematic)의 GRS80좌표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측량지점은 3곳을 지상기준점으로 선정하였 다. 측정결과 RMSE는 ±5Cm 이내의 정확성을 가지는 것으 로 나타나 정사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수목의 수관폭 등에 대한 평면데이터 구축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축된 정사영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총 25주의(산수 유4, 은행나무7, 소나무9, 단풍나무4, 모과나무1) 수목이 확인되었는데, 이중 산수유와 은행나무는 현장조사를 통해 수목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정사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종 생성된 DSM데이터를 살펴보면, 시설물 및 지형에 대한 수치데이터는 정확하게 분석되었으나 수목의 경우에는 총 25주의 수목중 약 50%에 해당하는 12주(단풍나무 3주, 소나무 5주, 산수유 4주)의수목에 대한 3D데이터가 추출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항공촬영을 통한 디지털데이터 구축에 있어 수직부감으로 촬영된 디지털데이터는 수목의 불규칙면에 대한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과 수목 일부가 그림자와 중첩됨으로써 그림자로 인식되는 현상, 수목들 중첩되는 구간에 대한 3D데이터 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최근에 식재된 수목(은행나무(7)에서 3D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항공촬영에 있어 디지 털 데이터 구축 시 45도 사선 촬영을 포함하여 항공사진촬 영 시간과 시기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3D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위치좌표의 참고자료 구축을 위해 다양한 고도에서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함과 동시에 지상 촬 영의 병행을 통해 수목개체군에 대한 종합적인 3D데이터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확도가 높은 정사사진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취득에서부터 영상처리를 위한 표정 및 정밀한 검수 과정이 객관적이고 엄밀한 절차와 기준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한 정사사진 지도 제작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보다 정확도가 높은 정사사진지도를 취득하기 위하여 수치항공사진에 의한 DEM 자료와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을 이용한 DEM 자료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사편위 수정을 위해 사용하는 수치고도모델은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영상매칭에 의한 DEM 결과값이 0.94m 이하의 오차로 정확도가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정사 및 계수기 디자인은 슈퍼 노트(Super-Note)와 같은 정교한 위폐가 등장함으로써 불법화폐를 감별하고 작업자 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정사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반복적이며 오랜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건강 문제가 중요한 사 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을 방지 하는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사용방법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에 해당되는 잼(Jam:걸림)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 조의 정사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디자인 연구과정에서는 시장조사에 근거하여 미학과 품격성(Status)을 강조하는 Status-Step을 디자인 전략(Design Strategy) 으로 채택하였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방향(Design Direction)을 설정하였다. 특히 본 디자인 연구에서는 구조적인 측면 즉, 빈번하게 발생하는 Jam을 해결하기 위한 처방으로서 정사기의 몸체를 아래서 위로 들어 올리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Jam 해결 과정에서 작업 중인 지폐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폐를 놓아두는 유동적인 호퍼가이드(Hopper Guide)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설정된 디자인 전략에 따른 구조를 확정하 고 경쟁사 분석의 경우 주) See-tech 연구진과 함께 공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아이디어 스케치가 진행되었 다. 디자인 외형에 대한 논의는 1차 렌더링 작업을 통해 디자인 의도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 See-Tech 관계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디자인 수정과정이 진행되었으며, 최종안을 선정하여 디자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상청에서는 AWS(Automatic Weather System)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자료에 따라 실제 위치정보와 경위도로 제공된 위치정보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경위도 정보와, 실제 GPS 관측정보,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AWS 위치정보상의 차이를 검증한다. 그리고 각각의 위치정보별로 공간내삽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greement-feature checking and English root infinitives in chil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Minimalist Program. To explain this apparent derivation from the target adult gram- mar, researchers have elaborated two main models. One is the Tense Omission Model and the other is the Truncation Model. Wexler (1994) proposes in the former that an optional infinitive clause arises when the child leaves the tense feature underspecified in a given clausal represen- tation. Rizzi (1993/1994) proposes in the latter that the Root Infinitive reduces structures that result from the option of truncating structures at different levels of the clausal architecture. A further expectation would be that nominative Case is not assigned properly if AgrP is not yet projected. In the Minimalist Program, T inherits Agree-feature from C, but root infinitive clauses don`t have TP. Therefore, in children`s speech, functional projections are truncated below CP. The phenomena of early language acquisition reflects the process of acquiring functional categories as children grow.
        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鄭逑(寒岡, 1543-1620)가 무흘정사를 건립하게 된 이유와 과정, 무흘정사에서의 저술활동, 무흘정사의 연혁 등을 두루 고찰한 것이다. 무흘정 사에는 정구의 유품뿐만 아니라 그가 수집·편찬한 수 천권의 서적이 보관되어 있었으며, 영남의 선비들은 이곳에서 책을 열람하고 강학활동을 하는 등 일련 의 ‘무흘 아카데미’를 형성하였다. 최근에는 무흘정사의 書目 일부가 고문서의 형태로 발견되기도 했다. 사정의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학계나 지방자치단체에 서는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것이 실정이다. 본고는 여기에 일정한 문 제를 제기하면서 무흘정사를 중심으로 한 무흘의 본격적인 생활문화 연구의 단 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기획된 것이다. 무흘동천에 대한 정구의 관심은 이른 시기부터 있어왔는데, 그가 만년에 무흘 행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避地意識에 기반한 독서양성이었다. 평소 친분이 두텁던 벗의 방문까지 정중히 사양하면서 독서를 통한 養性을 실천하고자 하였 던 것이다. 정구는 安東大都護府使 등의 관직을 맡기도 하지만 7-8년동안 이곳 에서 보내면서 다양한 분야의 저술활동을 전개한다. 성리학 분야의 󰡔염락갱장 록󰡕·󰡔수사언인록󰡕·󰡔곡산동암지󰡕, 역사전기 분야의 󰡔경현속록󰡕·󰡔와룡암지󰡕·󰡔치 란제요󰡕·󰡔고금인물지󰡕·󰡔유선속록󰡕, 지방지 분야의 󰡔복주지󰡕 등이 바로 그것이 다. 이 같은 저술활동을 통해 그는 공자의 仁思想에 근간을 둔 주자학의 연원과 그 조선적 계승을 道脈에 입각하여 명확히 하고자 했다. 무흘정사 건립에는 정구가 직접 공사감독을 할 만큼 많은 정성을 기울인다. 그 위치는 무흘구곡 가운데 와룡암과 만월담 사이에 있었으나 만월담에 더욱 밀착되어 있었다. 1604년 건립 당시에는 초가 3간으로 된 서운암을 중심으로 하여 2간의 산천암, 비설교와 자이헌 등 다양한 부속시설들이 있었다. 정구가 세상을 뜬 후 무흘정사는 위치를 달리하여 36간의 무흘정사와 3동의 장서각으 로 규모가 확대되기도 하였고, 여러 곡절을 거치면서 현재 1922년에 세운 4간 의 정사와 庖舍 약간 동이 남아 있다. 특히 1784년(갑진, 정조8)에는 후손이 중 심이 되어 무흘정사를 새로 짓고 무흘구곡 전체에 대한 정비작업을 하였다. 이 를 기념하기 위하여 「무흘구곡도」를 그리고 다양한 시를 짓기도 한다. 무흘정사는 정구가 활동할 당시는 물론이고 이후 많은 선비들이 이곳을 탐방 하면서 무흘 문화를 만들어갔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정구 당대에는 사승관계 를 형성하는 제자들이 이곳을 주로 찾았고, 정구가 세상을 뜬 후에는 정구를 추 모하는 많은 선비들이 답사객이 되어 심방하였다. 무엇보다도 무흘에는 정구가 수집하고 저술한 이른바 鄭氏藏書가 장서각 서운암에 보관되어 있어 영남 선비 들의 독서와 강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