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단축감각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 SSP2)을 정상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을 대상 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SSP2를 6곳에 거주하고 있는 정상아동 100명과 장애아동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를 검증하였고 신뢰도에는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검증을 하였으며 타당도에는 내용타당도와 판별타 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결과 : SSP2의 감각처리영역의 내적일치도는 .89로 확인되었으며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반응영역은 .92 를 확인되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감각처리영역은 .89에서 .90이었으며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반 응영역은 .80~.97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을 비교한 판별타당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SSP2와 SSP를 비교한 수렴타당도의 감각처리영역의 총 점수간의 계수는 .85이고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반응영역의 총 점수간의 상관계수는 .85로 높은 상 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SSP2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 높은 수준을 보였으므로 SSP와 같 이 임상에서의 사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 3∼5세 일반 유아 162명과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 204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번역판 감각프로파일의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차원모형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에서 23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고, 항목의 난이도 분석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분석결과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항목과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형 감각프로파일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