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량, 여행객, 외국 이주민 증가 등으로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병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검역 대상인 병원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검역기관 및 연구원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주요 수출대상 과수인 포도, 단감, 감귤의 국내 미기록 병과 원인병원체에 대한 예찰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을 경기-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그리고 제주 등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소재 대학에서 예찰조사를 수행하여 예찰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포도 대상 병은 모두 4종으로, Pierce’s disease (Xylella fastidiosa), brown rot (Monilinia fructigena), anthracnose (Greeneria uvicola), 그리고 esca (Phaeomoniella chlamydospora)을 조사하였고 경기-강원, 충청도, 전라북도, 그리고 경상북도 권역을 중심으로 각 권역당 3개 지역 그리고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단감은 모두 3종으로, brown spot (Fusicladium levieri), black leaf spot (Adisciso kaki), 그리고 black spot (Phoma kakivora)을 조사하였고 국내 단감 주생산지인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권역을 중심으로 각 권역당 3개 지역 그리고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감귤 대상 병은 모두 2종으로, citrus scab (Elsinoë australis), Septoria spot (Septoria citri)을 조사하였고 감귤 주생산지인 제주권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모두 9종에 대한 예찰조사는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예찰조사결과 주요 수출대상 과수인 포도, 단감, 감귤의 국내미기록병 9종에 대한 원인병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전국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국외 외래유입병들의 예찰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였다고 평가된다.
        4,000원
        2.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12 cultivars of the Jeju native Citrus are considered to have originated from China. However, the origin of the cultivar ‘Byungkyool’ (Citrus platymamma Hort. ex Tanaka) is not clearly known. We performed PCR analysis by using three primer sets designed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nrDNA) to analyz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itrus cultivars and the Byungkyool cultivar. Sequence length of the nrDNA ITS1 region of JNCPCRI (Jeju Native Citrus platymamma Citrus Research Institute) cultivar was 247 bp, 8the ITS2 region was 228 bp and the total ITS region (ITS1-5.8S-ITS2) was 638 bp. Analysis of the gene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at the ITS region of the JNCPCRI cultivar revealed that the ITS1 region of the cultivar was genet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Byungkyool (JQ990189) cultivar, and the ITS2 region was genetically similar to the Binkyool (JQ990180), Hongkyool (JQ990178), Dangyooja (JQ990179), and Pyunkyool (JQ990181) cultivars. Moreover, the total ITS region in the 5.8S rDNA region was genetically similar to the Hongkyool (JQ990178) cultivar. In addition, the total ITS region of the JNCPCRI cultivar was th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heongkyool (JQ990183) cultivar and has been reported to originate from the Binkyool (JQ990180) and Pyunkyool (JQ990181) cultivars. Although the JNCPCRI cultivar was morphologically the same as the Byungkyool (JQ990189) cultivar, the ITS region showed genetic heterogeneity.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the genetic variation in the ITS region of JNCPCRI cultivar suggests that it was propagated through fertilization with the surrounding citrus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