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표방송 정보 디자인을 영화·드라마 패러디형과 인물수치형으로 분류하여 수용자 태도에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정치효능감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수용자 태도가 정치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화·드라마 패러디형이 인물수치형보다 수용자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정치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치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인물수치형 보다 영화·드라마 패러디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치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영화·드라마 패러디형과 인물수치형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용자 태도는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용자 태도가 높으면 정치참여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표방송 정보디자인은 정치효능감에 따라 수용자 태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과 수용자 태도가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들은 이론과 실무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V선거 개표방송은 각 방송사의 경쟁 속에서 많은 발전을 거듭 해 왔다. 그 중에서도 제 18대 대선 개표방송은 이전의 개표방송과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총선은 많은 후보들의 경합이 이루어지는 반면 대선은 두 후보의 경합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30대 젊은 유권자와 여성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개표방송에서 변화의 필요성과 캐릭터 콘텐츠를 활용한 인서트그래픽을 연구하였다. 2030대 젊은 층은 방송3사 비슷한 비율로 다양한 캐릭터를 선호하는 반면 40대 이상은 추억과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컨셉(스토리)의 캐릭터를 선호하였다. 개표방송 시청률 증가로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고 있으며 인서트그래픽이 정보뿐만 아니라 시청자들에게 재미있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일관성 있는 컨셉이 문자보다 캐릭터의 가독성과 가시성을 높였다. 향후 대선 개표방송에서 시청자와 공감할 수 있는 컨셉의 캐릭터를 사용한다면 정보를 전달하는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