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1) 베트남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Lee et al. (2024)에서 보고한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의 타당도를 재검증하고, 2) 연구에 참여한 우리나라 고등학생과 베트남 고등학생 간 시스템 사고 능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베트남 고등학생 234명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20문항과 STS 척도 20문항에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타당도 분석은 문항 반응 분석(Item Reliability, Item Map, Infit and Outfit MNSQ, 남녀 집단의 DIF)과 탐색적 요인 분석(프로맥스를 활용한 주축 요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나아가 우 리나라 고등학생 475명의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잠재평균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어로 번역된 R e_ STMI 2 0문항의 문항 반응 분석 결과 Item Reliability는 .97, Infit MNSQ는 .67-1.38으로 나타났으며 Item Map과 DIF 분석에서도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가 도출되 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모든 문항들이 의도한 하위 요인에 적재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662-.833, 전체 신뢰 도는 .876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고등학생과 잠재평균비교를 위한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 도출된 모형 적합도 수치 는 모두 수용 가능한 값으로 분석되었다(χ 2 /df: 2.830, CFI: .931, TLI: .918, SRMR: .043, RMSEA: .051). 마지막으로 연구에 참여한 우리나라 고등학생과 베트남 고등학생 간 잠재평균비교에서는 시스템 분석, 정신 모델, 팀 학습, 공유 비전 요인에서 작은 효과 크기가, 개인 숙련 요인에선 중간 이상의 효과 크기를 보이며, 베트남 고등학생들이 시스템 사고 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문항은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연구와 관련하여 베트남어 및 영어 등으로 번역한 문항을 활용하여 시스템 사고의 국제 비교 연구도 진행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4,8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검사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정의된 융합적 문제해결력의 영역들을 융합적 성향, 융합적 사고, 융합적 소양 영역 측면으로 정의하였다. 37 개의 예비문항은 문제해결과 융합적 사고, 창의적 사고, 개인적 성향과 사회적 성향, 그리고 융합적 소양을 포함한 각 영역에 대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정의된 하위 영역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의 예비 문 항이 확정 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는 확정된 5개 요인 모델이 문항수준에서 적합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측정된 모든 문항과 요인에 대한 신뢰도 검정 결과 검사도구 전체의 Cronbach’s α값은 .963으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적 문제해결 검사 도구는 통계적으로 신뢰롭다고 할 수 있다.
        4,600원
        3.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LP이론에서 제시한 표상체계에 대한 내용을 기반으로 성인의 선호표상체계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도구 개발 연구이다. 이는 아동복지실천에 있어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인 부모 또는 교사가 양육 및보육 의상황에서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자신의 선호표상체계를 확인함으로써 자신과 아동을 비롯한 타인의 선호표상체계를 이해하게 한다. 나아가 서로가 적합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상호이해와 교감을 증진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연구에서는개발연구(developmental research)의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절차에 따라 분석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설계 단계에서는선호표상체계를 확인 할 수 검사도구의 구성과 검사 문장 및 이미지를 개발 하였다. 또한 개발 단계에서는 검사도구 1차설계안에 대하여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 성인 21명에게 2차 설계안에 대하여 파일럿 검사 1차로 검사 도구를 활용하게 한 후, 워크샵을 진행하여 발견된 수정 및 보완 요소를 수정・보완 하여 개발을 하였다. 이후, 성인50명에게 파일럿 검사2차로 검사 도구를 활용하게 한 후,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발견된 수정 및 보완 요소를 반영하여 최종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5,5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유아의 생활습관 검사도구 개발 및 통계적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있는 중산층 3,4,5,6세의 부모 178명으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질문에 응답했습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Web-r v3.1 (R 버전 3.3.2) 및 R-SEM 2.0 alpha (lavaan 버전 0.5-22)로 분석되 었습니다.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의 구성개념의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렴타 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 수를 계산하였다. 확인요인분석에서 모델의 적합성기준은 5 가지 요인과 21 항목 (CFI : .931; TLI : .919; SRMR : .0458 : RMSEA; .075)에서 만족되었다. 또한 5요소 기본생 활습관모델의 개념신뢰도는 .829 ~ .912이고 분산추출지수는 .521 ~ .676이므로 집중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의 질문에 대한 안정성과 타당성이 안정적으로 검증되었습니다.
        4,200원
        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ugar Intake Reduction Test (SIRT) for young children, and included eating behaviors, attitude, and nutritional knowledge about sugars. A draft version of the SIRT was developed after literature review. The final draft of the SIRT was established after two pilot tests of 5 year old children and an expert group’s review, and is comprised of a one on one test between an investigator and a child using picture tools. It contained of 20 questions which included 3 components: eating behaviors (5 items), preference for sugar sweetened food (10 items), and nutritional knowledge about sugars (5 items). The final SIRT was conducted on 181 children 5 (n=100) to 6 (n=81) years old, to examine its item and test adequacies. The passing rate of most item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and most of the item discrimination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below and upper score groups. The content validity was given a high score by professionals (mean score 3.9 out of 4). Reliability of all the items in the SIRT was high (Cronbach’s α=0.82). Moreover, the total component and the sub-component scores of the SIRT correlated significant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IRT is a valid tool to measure sugar intake reduction in young children aged 5~6 years.
        4,000원
        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동안 어린이 교통안전 관련 자료 및 정책수립은 교통사고 발생 후 교통사고 건수 및 발생현황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개별 어린이의 교통사고 노출 가능성 정도를 미리 진단함으로써 전체 어린이 가운데 위험정도가 높은 어린이들을 분류하여 이들에 대한 교통사고 예방교육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어린이의 교통안전행동을 측정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 정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예비검사용 문항(259문항)으로 서울시와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2곳을 임의 선정하여 총 60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본검사는 약 3,50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은 53문항을, 고학년은 72문항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학년용은 4개요인(행동통제부족성향, 공격성향, 자기 조절성향, 충동성향)으로 44문항을 추출하였고, 고학년용은 4개요인(행동통제부족성향, 우울성향, 자극추구성향, 공격성향)으로 69문항을 추출하였다. 교통안전행동에 문제를 지닌 학생과 문제를 가지지 않은 학생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점수 산출시 남녀간 성별 차이를 고려하였다. 이로써 산출된 저학년용의 남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63점, 여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50점이다. 그리고 고학년용 남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110점, 여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99점이다.
        4,300원
        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Berg Balance Test (BBS), Timed -UP & Go Test, Fugl Meyer-L/E, Balance, Sensory (FM-L/E, B, S), Motor Assessment Scale-Gait (MAS-G), Comfortable maximal Gait Speed (C MG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subjects were 40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Main outcome measures were Balance control (BBS, FM-B), Gait (TUG, C MGS, MAS-G), ADL (MBI) and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ies (FM-L/E,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FM scales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Balance, Gait and ADL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cl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BBS, FM-L/E, balance, sensory and MBI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 but TUG and C MG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sensory factor of the FM-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BBS. However the FM-balanc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TUG, MAS-G and C MGS.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atients.
        4,000원
        9.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walking ability assessment tools using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Spinal Cord Injury Measurement II (SCIM II), Walking Index for Spinal Cord Injury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56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ve Medicine in the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by MBI, FIM, SCIM II,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X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BI, FIM, SCIM II,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p<.01). In particular, WISCI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IM II(p<.001). Therefore the WISCI scale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predict the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Further study about MBI, FIM, SCIM II,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4,000원
        10.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하위 요소들 (공간위치, 공간추리, 공간변화)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274명의 고등학생들에게 투입되어 검증되었다. 문항 분석결과, 본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는 98%였으며, 신뢰도(K-R 20)는 0.84, 정답율 52%, 변별도 지수 0.2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본 검사도구가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할 때 활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4,900원
        1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와 Mariannene Frostig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DTVP)을 사용하여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시 지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뇌성마비의 사지마비군과 양하지마비군, 그리고 정상아동군에서 두 평가도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시 지각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21명(사지마비 11명,
        4,000원
        12.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적합도를 분석할 수 있는 검사도 구를 개발하고, 디지털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에 적합한 과학 디지털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자 원 파악’, ‘적절한 학습 전략 선정 및 이행’, ‘학습결과 평가’의 5개 영역에서 22개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분석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타당도는 CVI 0.78, 신뢰도 는 Cronbach’s α .932이다. 현장 교사 162인에게 검사도구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과 학 디지털교과서 분석을 의뢰하였으며, 분석결과 전체 문항에 대한 리커트 점수 평균은 3.41점 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학습목표 설정 기회를 위해 스스로 학습목표를 써볼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시간·순서 계획 기회를 위해 단원 도입에서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 순 서를 정하거나 선택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개선 사항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타학 년·타교과와의 연계를 위해 단원 도입 부분에 선수학습과 후속학습의 링크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 ‘학습 후 보충/심화학습 계획 기회를 위해 학습내용에 대한 자기점검 기회를 제공하고, 이후 보충학습이나 심화학습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 ‘외부 평가도구와 의 연계를 위해 교육기관이나 출판사에서 운영하는 평가 사이트와 링크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수년간 학교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사회성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탐색을 통하여 1차 예비검사 122문항이 작성되었으며, 이를 언어이해력이 높은 충북 C시에 있는 C 대학의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관련 전문가 3인의 문항내용 검토를 통하여 56개 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2차 예비검사는 충북 C군에 있는 B초등학교 5-6학년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관련 전문가의 내용 검토를 거쳐 3개 요인 17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2차에 걸친 예비검사를 통해 구성된 결과를 토대로 본 검사를 제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6문항), 협력성(6문항), 사교성(5문항)의 3요인은 예비조사와 본 검사에서 동일한 구인을 형성하였다. 본 검사에서 사용된 3요인 17문항의 사회성 검사도구 전체 문항 신뢰도는 .878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구성된 위계적 구조모형이 구인타당도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문항의 적합도 지수가 대체로 적절하게 나타났다.
        14.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행동분석에 의한 관찰도구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체육교육 현장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체육교수행동 검사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다양한 문헌과 관찰체계 분석을 통해 구성요인을 개념화하고, 초기 109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사전연구를 통해 10개요인 54문항 5점 Likert 척도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검사지는 서울소재 중고등학교 남녀학생 516명(평균연령 14.33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분석, 내용적, 구조적 타당도(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와 신뢰도 검증, 모델 찾기를 통하여 최종 10개요인 즉, 설명/지도, 시범, 관찰, 참여, 긍정적 피드백, 부정적 피드백, 관리, 태만, 자유시간, 체벌 등 48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체육교수행동검사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사회인지적 관점, 교사 중심에서 학생 지각 중심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며, 후속연구를 통해 준거관련 타당도의 검증과 온라인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