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경재배시 양액 내 탄산정 처리를 통한 상추의 생육 및 생 리활성물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시판되는 고 형 탄산정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0.5 배, 1배, 2배 처리구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탄산정 처리 후 챔 버내 대기 CO2 농도는 처리 직후 2배 처리구에서 472.2μL·L -1 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양액내 pH는 2배 처리구는 pH 6.03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CO2 농도와 pH는 처리 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냈 다. 상추의 엽폭과 엽면적은 탄산정 2배 처리시 17.1cm, 1067cm 2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지상부 생체중, 건물 중은 0.5배 처리구에서 63.87g, 3.08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상추의 근장은 대조구에서 28.4cm로 가장 길었으나 처리 구들간에 지하부의 생체중, 건물중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외관상 탄산정 처리에 의해 상추의 근장이 짧아 지고 곁뿌리가 많이 발생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뿌리가 갈 색으로 약간 변하는 결과가 있었지만, 지상부 생육에는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탄산정 처리에 의 한 상추의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한 결과 chlorogenic acid와 quercetin 두가지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이를 정량분석한 결과 1배 처리구에서 chlrogenic acid는 대조구보다 249% 증가하 였지만 quercetin은 37% 감소한 결과를 나타냈다. 항산화 활 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와 0.5배 처리가 1배, 2배 처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 다. 이를 통해 탄산정 처리가 수경재배 상추의 생육과 생리활 성물질을 증대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4,000원
        2.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ine water and plasma gas treatment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control of Latuca indica L. baby Leaf during storage. Latuca indica L. baby leaves were harvested from a plant height of 10cm. They were sterilized with 100μL·L-1 chlorine water and plasma-gas (1, 3, and 6hours), and packaged with 1,300cc·m-2·day-1·atm-1 films and then stored at 8±1?and RH 85±5% for 25days. During storage, the fresh weight loss of all treatments were less than 1.0%, and the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centrations in packages were 6-8% and 16-17%, respectively for all treatments in the final storage day. The concentration of ethylene in the packages fluctuated between 1-3μL·L-1 during the storage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thylene was observed at 6 hours plasma treatment in the final storage day. The off-odor of all treatments were almost odorless, the treatments of chlorine water and 1 hour plasma maintained the marketable visual quality until the end of storage. Chlorophyll content and Hue angle value measured at the final storage day were similar to those measured before storage in chlorine water and 1 hour of plasma treatments. E. coli was not detected immediately after sterilization in all sterilization treatments. After 6 hours of plasma treatment, the total bacteria fungus counts were lower than the domestic microbial standard for agricultural product in all sterilization treatments. The total aerobic counts in the end storage da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storage, whereas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terilization treatments. The sterilization effect against bacteria and fungi was the best in chlorine water treatment. Plasma treatment showed sterilization effects, but within a prolonged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effect decreased gradu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lorine water and plasma treatment were effective in maintaining Latuca indica L. baby Leaf commerciality and controlling microorganisms during postharvest storage.
        4,000원
        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왕고들빼기(선향 품종)을 4주 간격으로 파종하여, 4주 동안 재배하여 어린잎(초장 10cm 이하)과 8주 동안 재배하여 성체(초장이 20±5cm) 상태에서 수확하였다. 수확 직후 조사한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률은 모두 어린잎이 성체보다 높았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도 성체에 비해 어린잎에서 높았다. 잎의 L*, a*, b*값은 어린잎과 성체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록소 함량은 성체에서 높았다. 왕고들빼기 성체와 어린잎을 미세천공 필름으로 포장하여 2oC, 8oC, 및 20oC에서 저장하였을 때,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감소율이 높았으며, 2oC와 8oC에서는 성체의 생체중 감소율이 낮았다. 저장 중 패널테스트를 통해 진행한 외관상 품질도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나빠졌다. 또한 외관상 품질이 3점을 유지되었던 기간으로 계산한 저장수명은 성체가 2oC에서는 1.6일, 8oC에서는 1.4일, 그리고 20oC에서는 1.5일 어린잎보다 더 길었다. 저장 종료일 조사한 포장 내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기 중 농도와 유사한 수준 이었다. 저장 종료일의 엽록소 함량은 저장온도가 낮을 수록 높게 유지되었고, 패널테스트로 조사한 이취는 어린잎에서 더 높은 수준이었다.
        4,000원
        4.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한 삶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화와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항산화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천연물이나 식품을 소재로 한 식이성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천연물의 소재나 연구 분야의 폭이 매우 넓다. 본 연구는 고들빼기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후, 각각의 용매(에탄올, 메탄올, 물)로 추출한 샘플을 DPPH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총 페놀함량, 유기산 및 미생물함량을 측정하였다. 고들빼기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체로 추출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메탄올로 추출한 80% 희석액으로 추출했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이 약 7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감소하였고, 메탄올로 희석한 시료가 pH 1.2에서 77.8%으로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로 추출한 100% 희석액에서 76.7 mg GAE/g으로 가장 높았다. 고들빼기 김치의 유기산은 젖산, 구연산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줄어들고, 유산균수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고들빼기는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하고, DPPH,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보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체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과 위암세포 AGS를 대상으로 국화과 식물 중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YS), 씀바귀(Ixeris dentate, ID) 추출물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를 비교 한 후, 가장 억제효율이 높은 추출물을 선택하여 apoptosis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는 TC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약한 반면, YS와 ID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추출물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난 ID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농도 설정을 진행한 다음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양성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assay를 진행한 결과, ID 추출물을 처치한 군에서 apoptotic body와 세포질 응축을 확인하였다. MTT assay와 DAPI staining의 결과를 바탕으로 ID 추출물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apoptosis와 관련한 단백질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pro-apoptosis인 Bax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ntiapoptosis인 Bcl-2 단백질 발현은 SK-BR-3 세포에서는 발현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MDA-MB-231과 AGS 세포에서는 감소하였다. 세포사멸의 주요임상지표인 Bax/Bcl-2 ratio는 MDA-MB-231세포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은 감소하면서, cleaved-PARP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YS와 ID 추출물은 TC 추출물에 비해 암세포의 생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특히 ID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암세포의 생존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D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와 위암세포 AGS의 생존율 억제는 apoptosis 유도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사료되며,그 중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apoptosis 유도 효과가 뛰어난 것을 미루어 보아, 유방암의 종류와 그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만 ID는 향후 유방암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in vivo에서의 ID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in leaf and root of Youngia sonchifolia Max. The leaf powder contained 4.3% of water, 53.9% of crude carbohydrate, 21.6% of crude protein, 3.5% of crude fat and 16.7% of crude ash. The root powder contained 4.8% of water, 65.9% of crude carbohydrate, 17.4% of crude protein, 3.2% of crude fat and 8.7% of crude ash. The major mineral elements both in leaf and root powder wer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than those of saturated fatty acids both in leaf and root powd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methanol extract in leaf were 3,922.4 mg/100 g and 1,903.2 mg/100 g respectively. In comparison,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methanol extract in root powder were 1,898.4 mg/100 g and 359.8 mg/100 g.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everal solvents extract of leaf and root powder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 picrylhydrazyl (DPPH). Of the each extracts, ethyl acetate extract of leaf and root powder showed relative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94.3% in the leaf powder and 92.9% in the root powder.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also highest in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leaf (45.4%) and root powder (28.8%).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yl acetate extract of Youngia sonchifolia Max.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s.
        4,000원
        8.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evels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depending on collection time.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in leaf and root decreased, while crude fiber,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ash increased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mineral elements tended to increase in each sample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content of vitamin B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Vitamin C content was approximately five times higher in the leaves than that in the roots. Total amino acids in leaf and root increased considerably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roo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leaf and these content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of Godulbaegi was higher in the root than in the leaf and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10.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ximate composition,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leve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totoxicity were determined in the methanol extracts of different plant parts of Youngia sonchifolia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present as the highest amount in flowers, and crude fiber in the stems and roots. The highest content of phenolics [mg ferulic acid equivalents (FAE) kg-1dry weight (DW)] was found in flowers (highest) and followed by leaves, stems and roots (lowest). Flavonoids [mg rutin equivalents kg-1 DW] level, however, showed the highest in leaf extracts and lowest in root extract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plant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in root extracts (IC50 = 1,135.6 mg kg-1) and followed by leaf, stem and flower extracts. By way of MTT (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methanol extracts of roots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activity on human cancer cell line Calu-6 for human pulmonary carcinoma (IC50= 196.3 mg kg-1) and HCT-116 for human colon carcinoma (IC50=623.6 mg kg-1)
        11.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actuca indica were determined using in-vitro assay systems. The vitamin C contents of the leaf and root extracts were 24.14 and 0.38 m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leaf and root extracts were 42.8 and 7.66 mg/g, and their flavonoid contents were 23.09 and 0.77 mg/g. The leaf extract showed high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the root extract at all the extract concentrations. Especial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leaf extract was 92.3%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The reducing power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extracts, and the leaf extract had a higher reducing power than the root. The Fe2+-chelating ability of the leaf and root were 97.2% and 34.3% at 14 mg/mL, respectively. The IC50 values of the leaf for DPPH, its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its Fe2+-chelating ability were 0.19, 2.7, and 6.27 mg/mL, respectively, and the leaf extract showed lower IC50 values than root extrac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 indica leaf extract contained high amounts of anti-oxidative compounds and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levels than the root extract. It is suggested that Lactuca indica is very high in availability as a functional food and in its materials.
        12.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들빼기의 채취 시기별 및 가공 방법에 따른 가공적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9월 20일 (초가을)과 11월 9일 (김장시기)에 채취한 고들빼기를 가공 전처리 방법인 소금물에 침지시간을 다르게 하였을 때 재료의 성질과 김치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취 시기에 의한 일반성분은 9월20일 채취 재료의 수분의 함량이 많았고 그 외의 성분들은 비슷한 함량 이었으며 다른 김치의 재료인 배추나 무보다 수분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함량은 11월 9일 채취 재료에 많았고 과당이 뿌리와 잎에서 모두 가장 많았으며 뿌리에 함유된 과당은 잎의 함량의 약 2.5배, 포도당과 설탕은 잎의 1.5 2배가 함유되었다. 가공한 고들빼기 김치의 독특한 조직감(씸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들빼기 뿌리의 경도를 측정하였는데 9월 20일 보다는 11월 9일 채취 재료의 경도가 높았고, 김치 제조 전처리인 침지시간이 길수록 경도는 저하되었다. 제조된 김치의 경도는 11월 9일 채취 재료로 가공된 김치가 높았고 숙성온도 4˚C가 8℃ 보다 높았으며 병포장이 필름 포장보다 높았다. 김치의 짠맛에 영향을 주는 염도를 측정하였는데 시기별 재료에서 11월 9일 채취 재료에서, 전처리 과정중 소금물에 침지 시간이 길었던 재료에서 그리고 부위는 잎에 소금의 침투량이 많았고 가공품인 김치의 염도는 숙성 온도 4℃와 8℃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병포장 보다는 필름포장 김치에서 더 많은 량이 침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산도와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기산의 함량을 11월 9일 채취 재료에서 조사하였는데 사과산, 수산, 호박산의 함량이 많았고 젖산과 구연산의 함량은 적었으며 사과산이 잎에 뿌리보다 많은량 함유되었고 나머지 유기산들은 뿌리와 잎에 비슷한 함량이 함유되었다.
        13.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고채발아 및 생육특성과 가공이용 1990~1995년 충남농촌진흥원 특작시험포장 하우스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2월 15일, 5월 30일 파종구에서 5월 파종구가 출현 소요기간 14일로 2월 파종구 18일 보다 4일 빨랐으나 출현율은 2월 파종구 64%로 5월 파종구보다 11% 높았다. 2. 관행구(대비) 초장 36cm보다 GA 50, 100ppm에서 12~60cm 엽장길이가 길어 초기 도장성향을 나타냈으나 후기 수량특성은 21~56% 증수하였다. 3. 고채 발아온도 25℃에서 65% 발아율과 관행구보다 자연수 침적구가 발아,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4. 고채엽은 식용으로 들깨잎, 상치보다 손색이 없었고 삶아 나물이용보다는 신선한 채소 이용이 연화정도, 맛, 색깔 등에 식미결과 좋은 반응이었다. 5. 고채엽장은 15~20일이 생육시 20cm내외로 채엽 가능하며 연화정도가 식용으로 가장 이상적이었다.
        14.
        199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ximate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ivated Cynochum wilfordi, Codopsis lancolata and lxeris sonchifolia were analyzed. Cynochum wilfordi, had higher contents of sugar ascompared with Codonopsis lancolata and lxeris sonchifolia. Fats was 2-3 times higher in Cynochumwilordi then Codonopsis lancolata and lxeris sonchifoli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s wasfound between the open field root, spontanity and cultivated at 30'c in biotronroom at condonopsislanceolata. However, contents of protein was 12.8% in lxeris sonchifolia. Total amino acid were 1.5-1.8 times higher in lxeris sonchifolia. than Cynochum wilfordi and Codonopsis lancolata. The decresingorder of the amounts of amino acid infused from the Cynochum wilfordi samples was Glu, Arg, Asp,Leu, Pro, Lys, Codonopsis lancolata (Changdeuk) was Arg, Glu, Pro, Leu, Asp, Lys, Codonopsislanceilata(Chirisan) was Arg, Glu, Pro, Asp, Lys, Leu, Codonopsis lancolata(Yeanbeun) was Arg,Glu, Asp, Leu, Ser, Lys, and lxeris sonchifolia was Glu, Arg, Asp, Cys, Lys, P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