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서곤충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43명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치유 프로그램에 이용된 정서곤충은 누에나방[Bombyx mori (Linnaeus)]이다. 스트레스의 정도는 타액 ɑ-아밀라아제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스트레 스 수치를 평가하기 위한 타액 샘플 채취와 곤충 선호도에 대한 설문지는 곤충치유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측정되었고, 활동을 모두 마친 후에는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만족도 점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곤충치유프로그램 활동은 참여 아동의 타액 ɑ-아밀라아제 수치를 통계적으 로 낮추고, 곤충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누에를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에 참가한 아동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3 점이었다.
        4,000원
        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청소년기는 빠른 신체적 성장과 정신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서 올바른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위한 중요한 기간이다. 이시기는 자신의 진로를 탐색 하고 정체성을 찾아가야하기 때문에 내면적, 환경적으로 많은 적응적 요구를 겪게 됨으로써 청소년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 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녹색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애완곤충 사육과 곤 충 관련 도구를 이용하여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설계 ·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을 수 행함으로써 청소년에게 어떠한 심리적 치유효과가 나타났는지 조사하였다. 프로 그램은 일주일에 1번 씩, 약 2달여간 진행하였고, 대상자인 중학생의 집중도를 감 안하여 각 회기는 50분을 넘지 않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는 청소년용 기질 및 성격 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 들은 애완곤충인 장수풍뎅이와 호랑나비를 돌보는 과정과 다양한 곤충 관련 프로 그램을 통해서 자아존중감 향상 등의 정서적 함양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애완곤충 을 이용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서적 지지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이 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급변하는 경쟁사회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증대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소외감, 정신적 압박감 그리고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과 진료 또는 상담은 어 린 아동에서부터 노인층까지 점차 급격히 증대되고 있으며, 그러한 정신적 또는 정 서적 안정화의 방안으로 이러한 생물을 이용한 심리치료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 라 식물이나 동물을 이용한 정신 및 심리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와 효과 가 입증되고 있으나, 곤충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효과에 대해 국내외적으로 거의 보 고가 전무한 상태이다. 일반인들에게 있어 곤충은 주로 나쁜 존재인 해충으로 많이 인식되어져 왔으나 최근 인간 생활수준의 향상됨에 따라 우리와 더불어 살아가는 생물 중의 하나로 점차 여기게 되면서 곤충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이에 곤충 이라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 또는 예술작품 등이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도구를 이용한 심리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곤충의 사람에 대한 심리 및 정신적 안정성 또는 치유효과에 대해 과학적이고 체계 적인 접근을 통해 그 효과입증 및 분석이 곤충산업의 확대를 위해 절실이 필요한 실 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곤충의 심리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적 으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애완곤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심리치유 대상에게 적 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 주관적 삶의 질과 삶의 질에서 애완곤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곤충의 심리치유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4.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a healing agricultural program using insect resources and to confirm the persistence of the healing effect. The applied insect was silkworm Bombyx mori (Linnaeus) and 28 adolescents from local children’s centers were used as the subjects. The healing agricultural program was applied at the centers for 4 weeks, and stress was measured using salivary ɑ-amylase levels and a survey on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insect prefer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ress levels decreased, and life satisfaction and insect preference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the healing agricultural program.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is healing effect continued until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