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은 기존보다 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과 교수학습 방법·평가 측면의 구체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현장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교사의 재량에 의해서 변경되어 수업에 적용되고 있다. 작게는 단원의 축소, 순서의 변경 등으로 시작하여 크게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무시하고 아예 다른 과정을 적용하여 수업하는 교사도 여전히 많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 현장을 100% 반영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있을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점이고, 이를 인정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 고시 문서와 해설서 에서도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교사의 현장 적용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교육과정 재구성’이라고 보편적으로 명칭하던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학교 적용 활동을 개념, 필요성, 방향의 측면에서 정립, 제시하였다. 김현규(2015:77∼78)의 의견을 참고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학교 현장에서 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적용 과정을 ‘교사 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그 필요성을 학생, 교사, 학교의 관점에서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한문과 역시 ‘교사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방향을 각각 세 가지로 제시하고, ‘문화중심 교육과정’을 예시로 들어 주장을 뒷받침 하였다. 본 연구는 예시로 든 ‘문화중심 교육과정’의 서론 형태의 연구이다. 추후에 이어지는 연구를 통하 여 하나의 ‘교사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의 예시를 만들 예정이고, 이와 같은 현장 교사의 다양한 교 육과정 연구를 통하여 한문과 수업의 질적 성장과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
        5,500원
        2.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eat change in the earth science. Introducing new theories such as sea floor spreading and plate tectonics theories, sophisticated geological phenomena including continental drift, earthquakes and volcanic activities can be scientificaly explained. According to the great change of the concept of earth tectonics, earth science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secondary school are now adapting this new concept such as new global tectoni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urriculum and develope a new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hapter connected with plate tectonic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American ESCP, CEEP and Korean earth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concept, system and construction. As the results, newly setting up the plate tectonics chapter include the contents of the concept of the plate, plate movement and historical back ground of the new global tectonics.
        4,200원
        3.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중심수업을 위하여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생중심수업의 이론적 배경과 성격,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를 살펴보았으며, 학생의 수준 및 특성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자료 분석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10차시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중심수업은 구성주의 인식론의 토대 위에 학생이 주체가 되어 배움을 형성해가는 수업을 뜻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습 활동을 촉진시키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학생, 학교, 지역 등의 특수성에 따라 교사 수준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참여 및 선택권을 확대하고 협력적으로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 과정에서 스스로 지식을 형성해가는 한편 실제적인 상황과 관련하여 보다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역량을 기반으로 재구성되어 실현되는 양상을 교육과 정 문서와 현장 교사 면담, 수업 관찰을 통해서 역량 개념의 교육과정 재구성 적용 의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과 특징,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쟁 점사항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초등학교 3곳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 는 6명의 교사와 이들 학교의 교육과정을 수립 및 운영하는 관리자, 장학사, 학생, 학부모와의 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의 직접적 실천자인 교사들은 학습자 의 총체적인 능력의 발현 형태로 역량을 인식하고 지식 전달중심의 교육의 대안적인 형태로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재구성하여 운영 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생의 삶,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학생의 특성에 중점을 둔 수업, 관찰 평가, 교육공동체의 확장 등의 특징을 지녔으며 교사 각자의 다양성과 전문지식을 살리고 구성원 끼리 협력과 공유의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 실행자이자 개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높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역량증진에 대한 평가 도구에 대한 모호성, 기존 교육과정 재해석의 어려움, 학교 구성원 간의 이견, 현행 입시제도 에 적합 여부에 대한 부담 등이 존재하였다.
        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식과 특징 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학교 수준의 가정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관심, 이해, 참여 정도와 교육과정 개발 참여 실태 및 가정 과 교과내용 재구성 실태,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평가 방법, 가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 요인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9월-11월까지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25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은 학교 수준의 가정과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하여 관심 (4.22)과 이해 정도(4.07)는 높았으나, 참여 정도(3.62)는 낮았다. 참여 정도가 낮은 것은 학교 업무 부담이 크고 재구성하는 전문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므로 질높은 수업을 위해서 교육과정 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교사 수준에서의 가정과 내용 재구성은 84.0%로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과 내용 재구성에서 가장 크게 고려되는 사항은 ‘학생들의 흥미·관심·이해 정도(4.64)’, ‘학 생들의 학습 능력 및 이해 정도(4.43)’ 순이었다. 내용 재구성의 방법으로는 ‘교과서(혹은 교육 과정 각론)의 일부 내용을 추가 한다.’의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일부 내용을 다른 교과와 통 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용 재구성이 가장 활발한 가정과 교과 영역은 2009개정 가정 과 교육과정의 대단원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생활’ 단원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재구성 비율이 가장 낮은 단원은 ‘진로와 생애 설계’이었다. 가정과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식 수업이었고, 토론 수업의 활용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자료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와 교사 자신이 제작한 자료이며, 평가 방법은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 과제 수행 및 실습 작품의 완성도 평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수업에서 는 공동 학습 과제를 제시하거나, 소집단 활동 등을 통해서 학습자들에게 문제를 해결하는 기 회를 제공하는 수업이 요구된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의 개선을 위하여 개인적인 연구 활동으로는 발전의 한계가 있으므로 동학년, 동교과 교사와의 협의와 정보 교환을 통한 교육 활동 개선이 필요하다. 가정과 평가에서는 서술형과 논술형 평가, 구술시험은 거의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 전문가들로부터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평가 기준의 개발 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가정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가장 큰 제약요인은 ‘과중한 업무부담(74.4%)’, ‘교 직 입직 후 충분한 교과교육 연수 기회 부족(46.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를 통해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 요 인을 완화 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가정과 교사들이 학생 교육에 전념 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잡무를 경감시켜야 하며, 교사 양성 단계 및 교직 입직 후 단계에서 교 사의 교육과정 실행 및 재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 다. 또한 정책 당국에서는 가정과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가정과 교과의 수업 시수를 충분히 확보해 주어야 하며, 실험·실습이 가능한 교과 교실의 확충 등이 요구된다.
        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 친화적’(classroom-friendly)이라는 용어는 상향적(후향적) 접근 방식이야 말로 교육 개선을 위한 적합한 방안이라는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대강화 방침에 따라 내용 체계 면에서 상세성이 상당이 약화되었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교실 친화적 사회과 수업의 의미 역시 교실 수업의 주체인 교사를 타자화시키지 않으면서 교사 스스로 주체가 된 ‘사회과 교실 수업’은 어떠한 모습일지에 관심을 갖는다. 이제까지 사회과 교사의 교실수업을 개선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여러 연구들이 있어 왔지만 너무 처방적이어서 교사들에게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함께 교사가 연구자로 살아가기에는 교실 현장의 상황적, 제도적, 문화적 구속 요인들이 너무 크다는 회의적인 시각이 팽배해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생각하면서 교육과정 재구성자로서의 교사 전문성과 교실생태학적 교사 연구의 두 가지를 중심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두 가지 방향에서의 고찰은 교사로서의 삶을 안과 밖에서 동시에, 그리고 성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