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다양성 및 분포 특성을 시기별, 고도별, 임상별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오대산국립공원 내 계방산, 소금강, 월정사지 구 일대에 임상별 6개씩 총 18개의 고정조사구에서 고등균류를 채집한 결과, 542점의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동정한 결과 81속, 256종으로 확인되었 고 최신분류체계로 분류한 결과 2문, 6강, 19목, 56과로 확인되었다. 부생성 균류가 62.9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공생성 균류 36.2 % 기생성 균류 0.9 % 순으로 조사되었고, 우점종은 맑은애주름버섯(Mycena pura)과 굽은꽃애기버섯(Gymnopus dryophilus)으로 확인되었다. 해발고도에 따른 고등균류의 분포는 200∼677 m 조사구에서 109종, 700∼999 m에서 109종, 1000∼1400 m에서 118종이 조사되었 으며, 채집 시기별 고등균류의 분포는 9월에 132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6월 33종, 7월 75종, 8월 99종으로 조사되었다. 임상별로는 혼효림에서 124종, 활엽수림 121종, 침엽수림에서 가장 낮은 105종이 조사되었다. 고도별, 시기별, 임상별 모두 부생성 균류가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종다양도는 9월에 2.00, 혼효림에서 2.04로 가장 높았고, 고도별로는 유사한 종다양도를 나타냈다(1.93∼1.99). 종 균등도는 고도별, 시기별, 임상별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0.94∼0.97). 공통 발생 종은 모든 시기에 2종, 전체 고도에서 7종,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에서 14종이 확인되었다.
        4,2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부 산림지역 고등균류의 임상별 분포 특성 및 다양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 임상별 8개씩 총 24개의 고정조사구에서 고등균류를 채집한 결과, 868점의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2문, 6강, 17목, 61과, 134속, 367종으로 동정되었다. 부생성 균류가 62.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공생성 균류 35.03% 기생성 균류 2.53% 순으로 조사되었고, 우점종은 구름송편버섯 (Trametes versicolor)과 맑은애주름버섯(Mycena pura)으로 확인되었다. 해발고도에 따른 고등균류의 분포는 299m 이하의 조사구에서 74종, 300∼499m에서 299종, 500m 이상에서 153종이 조사되었으며, 채집 시기별 고등균류의 분포는 7, 8월에 각각 190, 152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 다. 임상별로는 활엽수림에서 192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혼효림 177종, 침엽수림이 149종으로 조사되었고, 지역별, 고도별, 시기별, 임상별 모두 부생성 균류가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종다양도는 300∼499m의 활엽수림에서 7월에 2.2로 가장 높았고, 종 균등도는 고도별, 시기별, 임상별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0.93-0.97).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남부 산림지역 내 고등균류 분포 특성 및 다양성 결과들은 향후 수행될 고등균류 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부터 2011년, 2015년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6강 18목 61과 157속 323종 이 조사 되었으며, 주름버섯목(Agaricales)이 23과 67속 153종, 그물버섯목(Boletales) 6과 27속 45종, 무당버섯목 (Russulales) 3과 4속 40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6과 21속 28종으로 4목의 종수가 총 266종으로 전체 종수의 82.4%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종수가 조사된 균류는 그물버섯과로 37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36종), 주름버섯과(28종) 및 광대버섯과(25종) 순으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환경별에서는 외생균근성 버섯은 15과 38속 130종(40.2%)으로 독성 버섯은 46종, 식·약용 버섯 51종 및 식·독 불명 버섯 26종 등이 조사되었으며 낙엽 및 목재부후균은 33과 72속 114종(35.3%)이었고 이 중 독성 버섯은 10종, 식·약용 버섯 52종 및 식·독 불명 버섯 46종 등이, 지상균은 24과 47속 72종(22.3%)이었고 독성 버섯은 8종, 식·약용 버섯 31종 및 식·독 불명 버섯 29종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발생에서는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7월과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별에서는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1~199m 지역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m 이상 지역에서는 현저히 낮아지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평균온도에서는 24.0~25.9℃, 최고온도 28.0~29.9℃, 최저온도 20.0~21.9℃, 상대습도 77.0~79.9% 및 강수량 300.0~499.9 mm일 때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5.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백산국립공원내 발생하는 고등균류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버섯이 발생이 많은 6월~9월까지 조사한 결과 총 57과 137속 311종의 버섯이 발생하였다. 가장 많이 발생한 종은 Rusuula 속으로 흙무당버섯(Russula senecis)외 18종이였다. 그 다음으로는 Amanita 속으로 흰가시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외 16종이였다. 월 별 버섯 발생종수의 변화는 5월에 34종이 발생하였고, 6월 40종이 발생하였으며 7월에는 142종으로 크게 증 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15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9월에 94종으로 감소하였다. 잣버섯 (Neolentinus lepideus) 등 부후성 버섯은 205종이 발생하였고 젖비단그물버섯(Suillus granulatus) 등 균근성버섯 은 106종이 발생하였다. 소백산국립공원은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의 다양한 식생군락을 가지고 있으며 고도에 따른 큰 환경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고등균류의 균사 생장과 발생에 필요한 기주와 다양한 발생 환경을 제공하 므로 향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소백산국립공원내 고등균류의 다양성을 더욱 증가 시킬 것이라 사료된다.
        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 24 endophytic fungal strains were purely isolated from Salicornia europaea L. native to representative saltern of the Korea, Gomso. Strains were partially identified using amplified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regions and the phylogenetic tree were constructed. Furthermore, deduction of two diversity indices was done. Endophytic fungal isolates belonging to 9 genera, concretely in Aspergillus, Aureobasidium, Cladosporium, Fusarium, Gibberella, Macrophoma, Penicillium, Phoma, Stemphylium, and unidentified(Pleosporales), respectively. Especially, Aspergillus(29%), Penicillium(21%) and Fusarium(13%) were dominantly distributed genera from the roots of S. europaea. Among them, genera Aspergillus, Aureobasidium or Gibberella have been reported with their activities of plant growth promoting, induces systemic resistance in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is dealing with the securing the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that showing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ir host halophyte S. europaea which take the counter stage as a new crop resource.
        4,000원
        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idiomycetous fungi are one of the most potent biodegraders because many of its species grow on dead wood or litter, in environments rich in lignocellulose. For the degradation of lignocellulose, basidiomycetes utilize their lignocellulytic enzymes, which typically include laccase (EC 1.10.3.2), lignin peroxidase (EC 1.11.1.14), xylanase (EC 3.2.1.8), and cellulase (EC 3.2.1.4). In recent years,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basidiomycetes have ranged from the textile to the pulp and paper industries, and from food applications to bioremediation processes and industrial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biomass. Recently,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edible mushrooms have been used as sources of bulk enzymes to decolorize synthetic dyes in textile wastewater. In this review, the occurrence, mode of action, general properties, and production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mushroom species will be discussed. We will also discus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se enzymes
        4,000원
        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racticed to survey food-borne bacterial aspects of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etc. from 210 processed seasoned marine products in Garak fishery wholesale market in Seoul, 2009. Distributions of these bacterial isolates were 28 coliforms, 32 Bacillus spp., 71 Staphylococcus spp., 11 Listeria spp, and 10Enterococcus spp. in 157 dried squids, 23 dried file fishes, and 20 dried pollacks etc. respectively. Results in 16 kind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by disc diffusion method, special multiple drugs resistance patterns were NOR + LVX + CIP + SAM+ VA + S + TE + CF, SAM + C + VA, VA + S + TE, and VA + S in 9 E. coli strains, also,AMC + SAM + CF, SAM + CF, and VA + CF in 21 Bacillus cereus strain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many seasoned dried fishes had multiple drugs resistances, conclusively, we suggest limited guideline and special management on use of antibiotics in floating net cages of fishery farms.
        4,000원
        1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평가는 주로 세균의 군집구조를 해 석하거나 물리적인 특성과 이화학적인 특성 조사를 통해 서 이루어져 왔으며 곰팡이 특히, 담자균을 이용한 평가는 전혀 시도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곰팡이의 특징을 이용하 여 폐기물 연용지 토양과 같은 극단적 토양의 건전성을 간 이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평가대상 토양을 증 류수로 20배 희석하여 200rpm 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PDA(감자추출배지)와 혼합하여 121℃에서 20분간 살균 한 후 Coriolus hirsutus (MKACC 50560, 구름버섯) 균 을 접종한다. 접종 완료 후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 사 생장을 측정하여 담자균의 균사생장률(목적토양에서의 균사생장/PDA에서의 균사생장×100)을 계산한다. 이 기 준에 따라 균사생장률이 60%이상이 되면 대상 토양은 작 물생육에 적합한 토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은 토양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신속한 간이검사를 통하여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단기간 내 대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 여 토양 건정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 된다.
        1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의 생물적 개량연구를 위 하여 구리, 납 등 중금속 오염지인 은성폐광과 도곡폐광 지 역에서 야생버섯을 수집하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caria laccat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내 중금속 함량이 높을수록 버섯 내 중금속 농도도 높았다. 그러나, 전이계수를 이용하여 버섯 자실체의 중금속 이행률을 알 아본 결과, Amanita volvata가 카드뮴과 비소의 이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구리의 이행률은 Agaricus praesquamosus 가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나타냈다. 납은 Mycena pura, 아연은 Marasmius pulcherripes, 니켈은 Laccaria laccata, 크롬은 Collybia confluens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지와 비오염지인 치악산 지역에서의 담자균의 발생 분포를 비교한결과, Russula 와 Collybia 속은 비오염 지와 오염지역 모두에서 발생되었으며 Leucocoprinus, Coprinus, Suillus, Lepiost, Gyroporus, Lepista, Microstoma, Stropharia, Agrocybe 속은 오염지에서만 발생되었다. 담자균 자실체의 중금속 흡수능을 살펴보기 위해 중금속오염토양에서 담자균의 자실체 유도를 하였으 나 우수 균주로 밝혀진 균주들의 자실체 발생이 어려웠으 며 P. ostreatus 만이 자실체가 발생하였다. 이 때, 중금속 흡수능을 조사한 결과, 건전토양보다 오염지 토양에서 자 실체내에서 월등히 많은 중금속이 검출되었다.
        12.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평가는 주로 세균의 군집구조를 해석하거나 물리적인 특성과 이화학적인 특성 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져 왔으며 곰팡이 특히, 담자균을 이용한 평가는 전혀 시도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곰팡이의 특징을 이용하여 폐기물 연용지 토양과 같은 극단적 토양의 건전성을 간이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평가대상 토양을 증류수로 20배 희석하여 200rpm 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PDA(감자추출배지)와 혼합하여 121℃에서 20분간 살균한 후 Coriolus hirsutus (MKACC 50560, 구름버섯) 균을 접종한다. 접종 완료 후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사 생장을 측정하여 담자균의 균사생장률(목적토양에서의 균사생장/PDA에서의 균사생장×100)을 계산한다. 이 기준에 따라 균사생장률이 60%이상이 되면 대상 토양은 작물생육에 적합한 토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토양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신속한 간이검사를 통하여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단기간 내 대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토양 건정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13.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의 생물적 개량연구를 위하여 구리, 납 등 중금속 오염지인 은성폐광과 도곡폐광 지역에서 야생버섯을 수집하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caria laccat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내 중금속함량이 높을수록 버섯 내 중금속 농도도 높았다. 그러나, 전이계수를 이용하여 버섯 자실체의 중금속 이행률을 알아본 결과, Amanita volvata 가 카드뮴과 비소의 이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구리의 이행률은 Agaricus praesquamosus 가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납은 Mycena pura, 아연은 Marasmius pulcherripes, 니켈은 Laccaria laccata, 크롬은 Collybia confluens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지와 비오염지인 치악산 지역에서의 담자균의 발생 분포를 비교한결과, Russula 와 Collybia 속은 비오염지와 오염지역 모두에서 발생되었으며 Leucocoprinus, Coprinus, Suillus, Lepiost, Gyroporus, Lepista, Microstoma, Stropharia, Agrocybe 속은 오염지에서만 발생되었다. 담자균 자실체의 중금속 흡수능을 살펴보기 위해 중금속오염토양에서 담자균의 자실체 유도를 하였으나 우수 균주로 밝혀진 균주들의 자실체 발생이 어려웠으며 P. ostreatus 만이 자실체가 발생하였다. 이 때, 중금속 흡수능을 조사한 결과, 건전토양보다 오염지 토양에서 자실체내에서 월등히 많은 중금속이 검출되었다.
        1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평가대상 토양을 증류수로 20배 희석하여 200rpm 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PDA (감자추출배지)와 혼합하여 121℃에서 20분간 살균한 후 Coriolus hirsutus (MKACC 50560) 균을 접종한다. 접종완료 후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사 생장을 측정하여 담자균의 균사 생장률 (목적토양에서의 균사생장/PDA 에서의 균사생장×100)을 계산한다. 이 기준에 따라 균사생장률이 60%이상이 되면 대상 토양은 작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토양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신속한 간이검사를 통하여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단기간 내 대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토양 건정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1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 춘계에 한국 농촌지역인 충남 서산에서 대기부유분진(SPM)과 곰팡이포자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부유분진의 농도는 1차 황사기간(3월 23-24일)에 199.8μg m-3, 2차 황사기간(4월 7-9일)에 249.4μg m-3, 비황사기간(5월 12-6일)에 98.9μg m-3으로 각각 나타났다. 2회의 황사기간들간에 부유분진 농도는 차이를 보였지만 5μm 정도의 입경 크기를
        4,000원
        19.
        197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와 이들 균류에 대한 약제별 살균효과를 알고저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 장려품종 및 통일품종의 변색된 벼알에서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일반 장려품종에서는 Pyricularia oryzae, Helminthosporium oryzae, Epicoccum purpurascens, Curvularia lunata,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고 통일 품종에서는 Trichoconis padwickii, Fusarium dimerum, Nigrospora oryzae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 2. 벼 이삭도열병에 이병된 이 삭의 각 부위로부터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이삭목에서는 Pyricularia oryzae, Nigrospora oryzae, Curvularia lunata 균등이 이삭가지에서는 Helminthosporium eryzae, Trichoconis padwickii, Stemphylium sp.,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벼알에서는 Phema spp. 균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다. 3. 각종 균류에 이병된 이삭가지 및 벼 알에서의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의 살균효과를 실내에서 시험한 결과 Difolatan 800배 액은 Helminthosporium oryzae,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 균 등에 살균효과가 좋았고 Dithane M-45 500배 액은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s padwickii, Curvularia lunate 균등에 비교적 효과가 좋았다. 4. 약제 방제시기는 유숙기살포구, 출수개화기살포구의 순으로 효과가 좋았으며 약제별 방제효과는 본 시험포장에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았던 관계로 도열병 방제 약제인 히노산유제, 가스가민유제가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에 비하여 다소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두산 일대에서 2002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많은 균류을 채집하여 동정 하였다. 그 결과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종은 비단깔대기버섯 (Clitocybe alnetorum), 접시깔대기버섯 (C. catinus), 변색깔대기버섯 (C. metachroa), 흰깔대기버섯 (C. odora var. alba), 나뭇잎깔대기버섯 (C. phyllophilla), 예쁜광대버섯 (Amanita muscaria var. formosa), 노랑마귀광대버섯 (A. pantherina var. lutea), 반먹물버섯 (Coprinus semitalis), 광택볏짚버섯 (Agrocybe dura), 줄무늬땀버섯 (Inocybe grammata), 회색껍질끈적버섯 (Cortinarius epipolius), 거미집끈적버섯 (C. nemorensis)이 였다. 이들 미기록종을 한국산 버섯목록에 추가하여 균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