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ir voids, binder content, and aggregate gradation on the indirect tensile strength (IDT) and cracking tolerance index (CTindex) of cored asphalt pavements. METHODS : Cored samples were obtained from roads in Incheon city, and several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First, the cored samples were first to cut into a size appropriate for the IDT test. Subsequently, the air void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The damaged sample from the IDT test was loose mixed at 150 ℃ before the binder content was determined, which was conducted via an asphalt extraction test. Finally, the clean aggregates obtained from asphalt extraction process were analyzed in the aggregate gradation test. RESULTS : The result shows that an increase in air voids from 4% to 8% decreases the IDT and cracking tolerance index (CTindex) by 30% and 28%, respectively. Incorporating a binder enhances the ductile behavior of the asphalt mixture, resulting in a higher CTindex. Finally, the contribution of the aggregate grade on the IDT and CTindex is negligible. CONCLUSIONS : The IDT and CTindex are primarily affected by the air voids and binder content. A higher percentage of air voids results in a lower IDT. In addition, a higher amount of binder increases the IDT and CTindex of the cored samples. Meanwhile, the aggregate grade does not affect the IDT.
        4,000원
        2.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도균열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온도균열지수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시멘트종류, 타설높이, 양생조건, 타설온도, 단위시멘트량, 재료물성치 등의 변수를 변화시키며 해석하였다.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해석결과는 각 절점마다 나타나므로 모든 절점의 온도응력과 인장강도를 검토한 후 가장 불리한 위치에서의 온도균열지수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매스콘크리트 해석시 가장 불리하게 여겨지는 부분은 구조물의 중심부분과 구조물의 표면부분이다. 시멘트종류(대류계수)타설온도 MPC(8)MPC(14)OPC(6)OPC(8)10℃정밀식1.581.501.251.15간략식0.790.750.670.60(℃)18.919.922.524.920℃정밀식1.361.291.141.02간략식0.710.620.640.56(℃)2124.223.426.830℃정밀식1.141.061.080.95간략식0.600.550.650.58(℃)24.927.123.126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ig. 2와 같이 온도균열지수의 변동폭이 심하고 위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5곳을 미리 정하고, 몇 번의 수치분석결과를 통해 각 위치별 대표절점을 상부외측표면부(A2), 기초중심부(B), 하부외측표면부(C2) 3곳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그 절점에서의 온도응력을 파악한 후 온도균열지수를 분석하였다. 상부중앙표면부(A1)는 A2 위치에서의 온도응력과 유사하지만 조금 작은 값을 가져 제외하였고, 하부중앙표면부(C1)는 다른 위치에 비해 온도균열지수가 높고, 변동폭이 작아 온도균열에 가장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하였다.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보통포틀랜드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는 OPC로 표시하였고,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Moderate heat Portland Cement)는 MPC로 표시하였다. 또한, 단위시멘트량은 320,330,340kg/m3으로 나누어 각각 해석하였다. 콘크리트의 비열 및 열전도율은 일반적으로 Table2와 같이 일정한 범위를 가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 범위 중에서 MIN(열전도율2.6, 비열 1.05), MID(열전도율2.7, 비열1.15), MAX(열전도율2.8, 비열1.26)로 나누어 해석하였다.